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473 건 / 처리 시간 0.165초
남서울판교역
…정도 소요된다.이렇게 역을 설계한 이유는 LH가 판교신도시를 계획하면서 남서울판교역을 끼고 알파돔시티라는 거대한 주상복합단지를 예정하고 있는 부지였기 때문. 이 알파돔시티는 규모가 PF만 5조원대에 이르는 거대한 사업이다…
남태령역
…하기 시작하고 본격 4호선에도 적용된 건 1997년이었다. 물론 남서울철도 구간과는 달리 우측통행에 직류 1,500V 방식이긴 하지만 한때 철도청의 역 분류 방식에 따라 역 등급(3급)이 부여됐다가 2000년에 폐지됐다.주변에 있는 시설은 남태령…
제기동역
…6호선 마포구청역도 역사 한가운데 홍제천이 지나가기 때문에 대합실이 동서로 분리되었다. 다만 여기는 이용자 편의를 위해 두 대합실 모두 화장실을 설치했단 차이점이 있다.[2] 「서울시, 노후 지하철 역사 리모델링 설계공모 당선작 발표」, VMSPACE, 2020-06-11[3] 60km/h 속도 제한 구간이다…
신둔도예촌역
…답게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추구하였고, 건물 모서리를 곡선으로 처리하여 도자기의 부드러움을 담아내었다. 경강선 개통으로 함께 지어진 이천역, 여주역과 더불어 도자기를 주제로 한 대형 조형물이 설치되어있는데, 금빛 도자기를 빚는 거대한 장인의 손으로 표현…
상월곡역
…에 승강장 엘리베이터 공사를 시작했으며, 2024년 10월 승강장으로 내려가는 엘리베이터가 완공되었다.3. 승강장
[편집]
상월곡역 승강장은 개통 당시 주박을 위해 2면 3선 혼합식 승강장으로 만들었으며, 5호선 상일동역, 방화역, 7호선 수락산역, 청담역, 온수역과 같은 구조로 구성되어 있…
태백본선
…를 가지고 있다.[8] 본래 1949년부터 1971년 사이에 여러 단계에 걸쳐 지하자원 수송을 위해 건설한 지선들이 기원이며, 1973년에 이 지선들 중 고한선과 황지지선을 연결한 후 주요 구간을 하나의 노선으로 통합하여 현재와 같은 형태의 노선이 되었다…
동묘앞역
…동묘 정전 '뒤'에 있는 1호선 2번 출구를 제외하면 모든 역 시설이 동묘 '옆'에 있다. 대부분 사람들은 '동묘역'이라고 읽고 '동묘앞역'이라고 읽지는 않는다. 안내 시설의 로마자와 간체자 표기도 각각 'Dongmyo'와 '…
신설동역
…이동해 광운대역까지 가서 승무교대를 진행한다. 차량기지 입고 열차의 경우 바로 전 역인 동묘앞역에서 종착한 후 2호선 신설동역 유령 승강장을 통과하여 군자차량사업소로 회송한다.1983년 9월 을지로입구-성수 구간이 개통되면서 2호선의 이 역이 있는 구간은 본선…
곤지암역
…가 주박하는 용도나, 작업하는 열차가 정차한 경우를 제외하면 전혀 쓰이지 않았다.그러나 경강선에 KTX가 운행을 시작하면서 대피선 목적으로 바깥쪽 선로가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마침 경강선 판교~여주 구간에서는 여주역과 함께 대피선을 갖춘 단 둘…
낙성대역
…없게 되었다. 다만 강감찬, 귀주대첩 벽화는 남겨두었다.서울특별시는 2020년 3월 낙성대역 역내에 서울창업카페 낙성대점을 열었다.관련 영상 (지하철 2호선 보충(1983년))3. 역 주변 정보
[편집]
역 주변은 준주거지역으로 상권과 오피스, 오피스텔, 원룸이 혼재되…
수도권 전철 1호선
…23만) 등도 인구 20만명 이상의 결코 작지 않은 도시들이다. 서울 내에서도 1호선은 주요 철도역인 서울역, 용산역, 청량리역, 영등포역을 모두 경유하며, 여기에 종로와 서울시청, 남대문, 동대문, 영등포, 노량진, 가산디지털단지 등 최중요 지역들을 여럿 거쳐가며 신설동역과 광운대역 사이 구간…
진접역
…산역 ↔ 사당역 구간에서 열차를 갈아타야 한다. 사당행 배차는 평일 77회, 토요일과 공휴일은 57회다. LCD 전광판에서는 "오이도 방면"이라고 적혀 있지만 실제로는 사당역까지밖에 가지 않는다.또한 이 역부터 별내별가람역까지는 서울 시계외로서 서울전용 정기권의 사…
풍양연평역
…는 두 지하역 사이에 지상구간이 있으나 역은 없는 형태가 된다. 이 역이 개통되면 오남역부터 불암산역까지 지하역과 지상역이 번갈아 나타나게 된다.왕숙신도시 북쪽에 진접 2지구의 중앙에 위치하여 남양주시 북부의 관문역이 되었다.3. 역 주변 정보
[편집…
지축역
…이 막힌 1면 1선 두단식 승강장이었다. 앞서 이야기했듯이 당시에는 3호선 시종착역이었고, 그리고 승강장 길이는 6량 기준이었다. 당시 서울 지하철 3호선의 모든 열차는 편성당 6량이었고, 인근 고양군 신도읍 지축리 주민들의 요구로 건설된…
신길역
…을 중단했으며, 2번 및 3번 승강장을 잇는 엘리베이터와 1호선 승강장에서 환승통로로 가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해야 한다.3. 승강장
[편집]
두 노선 모두 곡선으로 휘어진 승강장이기 때문에 발빠짐에 주의하여야 한다. 1호선 승강장의 경우 캔트각도 상당하고, 전동차와 승강…
하남풍산역
…단 기후동행카드 하차는 가능하다.역명은 역 주변의 택지개발지구 이름인 풍산지구에서 유래했다. 하남시에서는 이 역의 가칭인 '풍산역'이 경의·중앙선 풍산역과 겹치기 때문에 역명 후보로 나룰역, 덕풍역[1]과 함께 하남풍산역을 올렸고 주민들의 선호도…
하남검단산역
…초교사거리와 창우초교 앞으로 재조정되어 각각 현재의 하남시청역과 하남검단산역이 되었다.5호선 하남시 구간인 미사역 ↔ 하남검단산역은 경기도 지역에 있기 때문에 이 역에서는 서울전용 정기권과 기후동행카드의 사용이 불가능하다.[1]이…
삼성역
…으로 나와있으나 실제로는 70~80년대 당시의 토목 기술의 한계로 인해[3] 실제로는 교량을 살짝 남쪽으로 우회하여 탄천을 지나간다.[4] 이로 인해 종합운동장역 사이에는 급곡선 구간으로 인해 70km/h로 서행해야 한다.3. 역 주변 정보
[편집]
COEX와 연결되어 있다…
당산역
…m 국내 최장 에스컬레이터」, 아시아경제, 2009-05-29[7] 직접 보면 알겠지만 경치가 꽤나 아름답다.[8] 한 번은 아직 노선이 분리되기 전인 8601번의 2층 버스 시절[9] 당산역과 합정역 사이에 한강이 존재하기 때문. 폭이 넓은 한강을 횡단해야 하다보니 당연히 거리…
을지로입구역
…역 주변 정보4. 승강장5.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서울 지하철 2호선 202번.[3]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지하42 (을지로1가 100-1) 소재.2. 역 정보
[편집]
1983년 당시 을지로 구간 주행 영상영등포 구간을 남겨두었을 때(을지로입구-서울대입구 사이)는 이 역이 시종착역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