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311 건 / 처리 시간 0.065초

이천역

…있다.일단 상대식 승강장으로 지었으나, 대피선 부지를 마련하여 건설하였다. 역 출구는 1번 출구 하나 밖에 없다.경강선 역들이 다 그렇듯 역 안에 편의점이나 식당을 열만한 공간이 따로 없다. 하지만, 결국 타임아웃이 입점하여 2017년 5월…

쌍문역

…번 출구 또한 2020년 8월 18일부터 공사해 2022년 5월 3일 운행을 시작했다. 3번 출구 맞은편에 간단한 행정 서류를 발급받을 수 있는 공간이 있었으나, 그 후 철거되고 대신 무인 발권기가 설치되어 있다.2009년 말 본래 상하…

매곡역(경기)

…강원철도 공식 소개 문구중앙 쾌속선 KC19번. 경기도 양평군 양동면 매월리 1031 소재.무인역으로, 역사 내에는 승차권 발매기, 간이 교통카드 단말기가 설치되어 있다. 승차권을 발권하여 이 역에 하차하는 경우 가져가거나 승차권 회수함에 투입하여야 한다. 단, 절대 패스나 도중하차 등 이후에도 계속…

연당역

…년부로 그마저도 중지되어 무인역으로 전락하였다. 1960년대 후반부터 70년대 후반까지 약 10년에 걸친 기간 동안 연당역에서 분기하여 평창군까지 철도를 부설하려는 비범한 계획이 간간이 제시되곤 했었다. 연당에서 분기되어 평창까지 32km에 달…

도고온천역

…도고면 외곽에 있던데다가 도고온천 자체의 인기가 많이 떨어진 탓에 여객 수요가 한 해에 10만 명도 안 되어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당했다.2012년 8월 10일 장항선 전철이 정차하면서 어느정도 수요는 증가했지만 여전히 다른 장항선 역보다 수요가 저조하다.3…

단촌역

…1940년 3월 1일 경경남부선의 역으로 개통하였다.2020년 11월 12일 옹천~단촌 구간의 복선전철화과 동시에 고가화되었다.2023년 11월 22일 단촌~의성 구간이 복선전철화로 인해 이설되어 다음역인 업동역이 폐역되었다.4…

도경리역

…역사가 완공된 것은 1939년 5월이지만 일부 그보다 먼저 지어졌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기도 한다. 인적이 적은 외진 곳에 위치하여 이용객이 줄어들면서 1997년 배치간이역이 되었다가 2001년과 2005년에 연이어 신호장, 무인 신호장으로 격하되었다…

대동역

…지족역. 또한 신흥역으로 가는 길에 급곡선 구간이 두 군데가 나와 열차 속도가 다소 느리다.그래도 대전 도시철도 1호선에 속해 있는 동구 지역 역 중에서는 제일 역 주변이 발달되어 있다. 2010년까지는 우송대학교/우송정보대학 학생들과 근처 중고등학교 학생들…

굽은다리역

…구조 특성상 냄새도 잘 빠지지 않는데, 복도 및 화장실 옆으로 기계실이나 비상시 대피용 등으로 마련된 큰 공간이 지어져 있기 때문인 듯하다.고덕역과 더불어 역명판이 꽤 납작하다. 그리고 역 이름처럼 승강장 마지막 부분이 살짝 굽어있는 곡선 형태의 승강장이…

석포역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석포로 134(석포리) 소재.2. 역 정보 [편집] 1956년 1월 1일 영암선의 마지막 구간인 춘양-철암 구간이 개통하면서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고 1957년 7월 17일 구 역사가 준공되었다, 역명은 역 소재지인 석포리에서 따온 것.1971년 (주…

서천역

…gt;보통普通익산 방면장 항4.8 km →[1] 전신인 충남선 개업일은 1922년 6월 1일[2] 기존 역사의 주소는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서문로 38 (군사리 55-6)이다.[3] 구 역사는 서천군청 신청사가 들어설 예정이여서 2019년 3월에 철거되었다. 2009년…

북영천역

…선의 개통과 동시에 신설되었다.2017년 9월 8일 대구선 복선전철화 공사로 인해 신녕역 방면 700m 위치로 이설되었다.2020년 5월 23일 현 위치로 다시 이전하였다.2024년 12월 20일 의성~영천 구간이 복선전철화 되었다.4…

신갈역

…된다.신갈역은 기흥구청이나 그 인근 상권을 갈 때 기흥역에서 가는 것보다 유용할 수 있다.이는 신갈역 3번 입출구에서 출발하든 기흥역 7번 입출구에서 출발하든 거리는 비슷하나, 기흥역 쪽은 오르막길이라 시간이 더 소요될 수 있기 때문이다. 3…

동인천역

…개통되었을 당시 동인천역이 시종착 기능을 수행했다는 잘못된 정보가 인터넷 상에 넓게 퍼져 있다. 경인선은 제물포-노량진 구간이 처음으로 개통되었다. 인천항의 당시 이름이 제물포였던 관계로 일제 초기에는 인천역이 제물포역으로 불렸다.서울쾌속과 서울 급행열차의…

거여역

…4, 4-1번의 가짓수로라도 출구 번호를 분리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것으로 보인다.엘리베이터가 승강장에서 대합실로 가는데 비운임구역으로 연결되어 승강장에서 올라가기전 간이단말기에 교통카드를 태그하고 탑승해야 한다.주로 주거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근에…

정선선

…여량 간 6.1㎞를 완공. 1974년 12월 20일: 여량 ~ 구절리 간 8.0㎞를 완공으로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2000년 1월 1일: 여량역을 아우라지역으로 개명.2000년 11월 14일 : 증산 ~ 구절리간 비둘기호 폐지로, 전 노선에서 비둘기호 등급 폐지2004년…

서동탄역

…서울 지하철 7호선 도봉산역~장암역, 서울 지하철 6호선 봉화산역~신내역 구간이 서행하며, 수인·분당선 오리역~죽전역 구간도 서행했었다.역 앞에 폴사인이 있었다가 2011년에서 2014년 사이에 철거됐다.천안 방면 열차를 타려던 이용객들이 동탄행 열차를 잘못…

경인선

…선이 1번(101)이다.개통 당시에는 노량진이 기점이었으며 1900년 7월 경성까지 연장되었으나, 1905년에 경부선이 개통되면서 구로 이북 구간이 경부선 구간에 편입되고 나머지만 경인선으로 남았다. 그 흔적은 경부선 용산 - 구로 구간 중 경부3선에 남아있는데…

오리역

…오리 ~ 죽전 구간의 뜬금 없는 커브와 분기기, 저속 주행 구간이 있는 이유 또한 이 계획이 어그러지고 죽전역이 차량기지 인입선상에 올라와 버렸기 때문이다.3. 승강장 [편집] ↑ 미금ㅣ43ㅣㅣ21ㅣ죽전 ↓1·2 수인·분당선기흥·수원·한대앞·인천 방면3·4서현·모란…

병점역

…하였다. 한국전쟁으로 역사가 소실 된 후 1957년 새롭게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으나 1990년 2월 간이역 격하에 이어 같은 해 5월 여객취급이 중지되었다. 당시의 역사는 97㎡ 규모의 부대건물을 갖춘 벽돌조 슬레이트 단층의 조그마한 건물이었다. 200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