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포역

최근 수정 시각: ()
石浦驛
Seokpo Station
파일:Ssangdo_Wlogo.svg쌍도교통
석포역
파일:SD-GY.png
영동본선
GY18
주소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석포로 134 (석포리 590)
역 운영기관
파일:쌍도교통 로고.png파일:쌍도교통 로고_White.png
개업일
1956년 1월 1일[1][2]
철도거리표
영동본선
석 포
1. 개요2. 역 정보3. 역 및 승강장4. 인접 정차역

1. 개요 [편집]

지역 산업발전의 주요 거점, 석개천과 석포리천이 합류하는 곳
석포역은 1956년 영동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 1957년에 역사가 신축되었으며 1971년 영풍제련소 전용선이 신설되며 지역의 산업발전에 중요한 거점으로 역할 해왔다. 기와단층의 작은 역사였지만 수입은 군청소재지인 봉화역을 크게 앞질렀던 주요 역사였다. 1996년 붉은 벽돌 외벽의 현재 역사가 신축 준공되었는데 역사 바로 옆으로 낙동강과 함께 거대한 영풍 석포제련소를 볼 수 있다. 석포는 석개천과 석포리천이 낙동강에 합류하는 교통의 요지로, 금강소나무가 뗏목으로 엮여 낙동강으로 운반되던 곳이다. 지금은 폐광되었지만 석포지역에 큰 영향을 끼친 연화광산은 우리나라 최대의 납, 아연 광산이었다.

쌍도교통 공식 소개 문구
영동본선의 철도역.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석포로 134(석포리) 소재.

2. 역 정보 [편집]

1956년 1월 1일 영암선의 마지막 구간인 춘양-철암 구간이 개통하면서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고 1957년 7월 17일 구 역사가 준공되었다, 역명은 역 소재지인 석포리에서 따온 것.

1971년 (주)영풍의 석포제련소 전용선이 부설되었고 1996년 12월 20일 현 역사가 준공되었다.
시기 불상 역에서 매표를 중단한 관계로 열차를 타려면 사전에 코레일톡 등 온라인으로 예매해야 한다.

2024년 6월 30일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산읍 온산역에 위치한 황산 수송 생산이 만료됨에 따라 7월 1일부로 석포역에서 출발하는 온산행 화물열차 운행이 중단되었으나, 7월 8일부터 운행이 재개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3. 역 및 승강장 [편집]

동점
2
1
승부
1
상행
2
하행
철암 방면

4. 인접 정차역 [편집]

[1] 영암선으로써의 개업일.[2] 1963년 5월 20일. 영동본선으로 편입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