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436 건 / 처리 시간 0.048초

아현역

…1]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촌로 지하270 (아현동 329) 소재.2. 승강장 [편집] 이대 ↑내ㅣㅣ외↓ 충정로외 서울 지하철 2호선홍대입구·합정·영등포구청·신도림 방면내시청·을지로3가·신당·성수 방면3. 인접 정차역 [편집] 2호선홍대입구·신도림 방면이 대←…

삼송역

…개요 [편집] 일산선 KI18번.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삼송로 지하194 (삼송동 18-5) 소재.대화역에서 출발한 오금 방면 열차가 지축차량사업소에 입고하기 위해 이 역에서 종착하는 경우가 꽤 있다. 보통 낮에나 늦은 저녁에 많은 편이다.2. 승강장 [편집] 2.1. 일산선 [편집]…

입석역

…시곡리에 위치한다. 다행히도 입석리와는 매우 가까운 편인데 역 앞에 있는 입석1교를 건너가야 입석리다. 역 출구는 입석리 방향으로만 나 있다.이 역 구조가 상당히 특이하다. 이 역에서 갈라지는 전용지선으로 아세아시멘트선과 현대시멘트영월선이 있는데, 태백선 본선…

대동역

…을 붙였는데 사실 판암역에서 내려 대전대학교를 가는 것보다 대동역에서 내려 대전대학교를 가는 게 훨씬 빠르다. 다만 어디까지나 비교적 빠르다는 거고 실제로는 거리로 대략 2km, 도보로 20~30분 정도는 걸리는 거리인지라 맨몸이 아닌 이상 보통은 605번…

울진역

…승강장5.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동해본선의 철도역.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 읍남리 433-2 소재.2. 역 정보 [편집] 울진읍내 남쪽에 건설되어있다. 이는 울진분천선을 위한 것이다.3. 역 주변 정보 [편집] 917번 지방도(울진북로)에 들어선다. 울진읍 읍내 끝자락에 있고 울진종합버스터미널, 울진…

탕정역

…일대 대부분의 개발 계획이 취소되면서[2] 사실상 이 역의 신설은 무산된 상태였다.[3] 그 후에도 지역 내에서 신설해야 한다는 여론이 지속적으로 나왔지만 신도시 개발이 취소되면서 영업손실을 아산시가 세금으로 전액 보전해야 한다는 이유로 역 신설 계획의 진척이…

판암역

…개요 [편집] 대전 도시철도 1호선 101번. 대전광역시 동구 옥천로 지하162 (판암동 484) 소재.판암차량사업소 내부의 직원 전용 승강장을 일반 승객들도 이용할 수 있게끔 개량해서 신설하였다. 본래 충청선과 대전 1호선에 모두 건설해 환승역으로 개통할 계획이었으나 충청선은…

중문역

…제주순환선 JL08번.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1100로49번길 지하101 (중문동 2774) 소재.2. 승강장 [편집] ↓ 창천 ↑외ㅣㅣ내↓ 월드컵경기장 ↑외 제주순환선서귀포중앙·성판악 방면내 제주순환선노형·제주국제공항·제주버스터미널 방면3. 인접 정차역 [편집] 제주순환선외선순환월드컵경기장← 8.3 km<:…

온릉역

…개요 [편집] 교외선의 철도역.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 산16-13 소재.2. 역 정보 [편집] 역명은 역 주변에 있는 온릉에서 따왔다.역사내 시설이라곤 승강장과 수도권용 1회용 교통카드 단말기[1]와 교통카드 승·하차 단말기가 전부이다. 화장실 역시 설치되어있지 않다.2.1. 승강장 [편집]…

청소역

…배치간이역으로 처음 영업을 개시, 1958년 보통역으로 승격하였다. 장항선 복선화가 완료되면 이제 오랜 세월 동안 열차를 맞이해오던 역사의 업무도 끝이 나게 된다. 역사는 1960년대 초 지어진 것으로 단층구조의 벽돌조 역사이다. 정면에 역전 광장이 자리하…

경인선

…계속해서 표준궤로 공사가 진행되었다.화륜거 구르는 소리는 우레 같아서 천지가 진동하고 기관거의 굴뚝에서 연기는 반공(半空)에 솟아올랐다. 수레 속에 앉아 영창을 내다보니 산청초목이 모두 활동하여 도는 듯하고, 나르는 새도 따르지 못하였다…

잠원역

…"院"은 조선 시대에 공무를 위해 여행하는 관리나 상인을 위해 국가에서 설치한 숙박시설인 원(院)에서 유래했다. 하지만 원은 잠원동 지역이 아닌 근처 동네인 신원리(현 서초구 신원동)에서 유래했다. 사실 이 동네도 원래 잠실이었는데 송파구의 잠실동이 서울에 먼저…

일원역

…지역 중에서 비교적 늦은 1990년대에 조성된 택지지역의 아파트 단지들 사이로 역이 지나가며, 역 남쪽의 대모산 자락으로는 5층 내외의 저층 아파트도 있다. 또한 대청역 방향의 비탈에는 삼성서울병원이 존재하여 많은 지방 내원객들이 이용하는 역이기도…

송골매(열차)

…울산광역시[通], 부산광역시 운행개시일2004년 4월 1일운영자강원철도쌍도교통노선기점신의주역종점부산역운행거리901.6 ㎞경유노선경의고속선, 경부고속선차내 서비스좌석⠀[ 펼치기 · 접기 ]↑ 신의주1 우등실2지정석3지정석장애인석4지정석5지정석6지정석7지정석…

제주버스터미널역

…아래 지하에 지어졌으므로 지하 통로를 통해 제주버스터미널과 연결되어있다.2. 승강장 [편집] ↓ 제주시청 ↑외ㅣㅣ내↓ 제주국제공항 ↑외 제주순환선제주국제공항·중문 방면내 제주순환선제주시청·아라·제주대 방면3. 인접 정차역 [편집] 제주순환선외선순환제주국제공항← 2.3…

미아사거리역

…년에 생긴 Y-스퀘어의 지하 연결통로가 있다.역 대합실에는 강북구립도서관 지하철 예약대출기 및 반납기가 있다. 강북구립도서관 정회원 대출카드만 있으면 누구나 굳이 도서관까지 가지 않아도 인근 지하철역[2]에서 강북구립도서관 7곳(강북문화정보도서관, 강북청소년문화정보도서관…

방이역

…용도는 8호선 열차를 반입할 때와 이 열차들이 중검수를 위해 5호선 고덕차량기지로 이동할 때 쓰기 위한 것. 이 역에서 오금역 방향으로 출발하자마자 오른쪽 창문으로 내다 보면 갈라지는 선로가 나오는데, 이것이 5-8호선 간 연결선이다…

삼릉역

…역명은 인근에 위치한 서삼릉에서 따왔다.[1]1969년 4월 10일 무배치간이역으로 승격되었으며, 승격 이후에도 승강장만 덩그러니 남아 있었다.교외선이 교통이 불편한 벽제(관산동, 고양동) 바로 앞을 지나가고 있지만 해당 구간에 정차역은 없고 역간 거리…

군포역

…차역1. 개요 [편집] 1905년 삼각 박공지붕의 군포장역으로 출발군포역은 1905년 경부선 군포장역으로 처음 영업을 개시하였다. 구군포사거리와 안양천(맑은내) 사이에 군포장(軍浦場)이 생기면서 마을이 들어섰고, 현재의 군포역 자리에 군포장역이 만들어진 것이다. 이후…

태백본선

…지선1. 개요 [편집] 충청북도 제천시 제천역과 강원도 태백시 백산역을 연결하는 철도노선으로, 일제강점기 이후 최초로 신설된 간선철도이다.노선색은 회색인데, 이는 석탄의 회색[2]을 상징한다고 한다.전 구간이 전철화되어 있는 노선이다. 함백선과 병주하는 구간을 제외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