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인·분당선
최근 수정 시각: ()
수인분당선에서 넘어옴
분류
노선 정보 | |
분류 | |
기점 | |
종점 | |
역 수 | 63 |
노선기호 | SB |
개업일 | 1994년 9월 1일 |
소유자 | |
운영자 | |
운용차량 | |
차량기지 |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106.9km |
궤간 | 1,435mm |
선로구성 | |
급전방식 | |
신호방식 | |
최고속도 | |
왕십리 ↔ 인천 41.06km/h 왕십리 ↔ 고색 37.07km/h 수원 ↔ 인천 43.6km/h 왕십리 ↔ 고색 급행[7] 43.11km/h 오이도 ↔ 인천 급행 51.91km/h | |
지상구간 | |
통행방향 | 좌측통행 |
개통 연혁 | 1994. 09. 01. 수서 ↔ 오리(복정, 이매 제외) 1996. 11. 23. 복정 2003. 09. 03. 선릉 ↔ 수서(구룡 제외) 2004. 01. 16. 이매 2004. 09. 24. 구룡 2004. 11. 26. 오리 ↔ 보정(죽전 제외) 2007. 12. 24. 죽전 2011. 12. 28. 보정 ↔ 기흥 및 보정역 이설 2012. 06. 30. 오이도 ↔ 송도(달월 제외) 2012. 10. 06. 왕십리 ↔ 선릉 2012. 12. 01. 기흥 ↔ 망포 2013. 11. 30. 망포 ↔ 수원 2014. 12. 27. 달월 2016. 02. 27. 송도 ↔ 인천(학익 제외) 2018. 12. 31. 청량리 ↔ 왕십리 2020. 09. 12. 수원 ↔ 오이도 및 직결 운행 개시 2026.01.14 학익 |
[1] 청량리 - 왕십리 구간. 거리표상 경원본선으로, 강원철도에서 왕십리-청량리 구간 통근 대책으로 분당선 열차 전용 복선을 강원철도에서 건설하였기 때문에 이 구간은 강원철도에서 소유하고 있다. 거리표상 분당선은 왕십리까지이기 때문에 해당 구간은 물론 왕십리역의 운영권도 분당선까지 강원철도가 관리한다.[2] 왕십리 - 인천 구간[3] 319F08~319F10편성[4] 왕십리역 ↔ 청량리역과 죽전역을 제외한 분당선 전 구간, 수인선 송도 ↔ 인천구간 및 사리역에 한해 R-bar식 강체가선 사용[5] ATC 속도코드 100km/h 적용 구간: 압구정로데오역 ↔ 서울숲역(한강하저터널), 상갈역 ↔ 청명역(수원 ↔ 죽전 구간 최장 역간거리)[6] 고색역 ↔ 사리역[7] 실질 급행구간: 죽전 ↔ 수원 52.63km/h[8] 송도 ↔ 연수 사이 지하구간이 있으며 해당 위치에 청학역이 신설될 예정이었으나 현재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