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606 건 / 처리 시간 0.378초
서동탄역
…km경부본선병점기지 지선서동탄동탄 방면솔빛나루2.3 km →1. 개요2. 역 정보2.1. 역명 관련2.2. 배차 간격3. 승강장4.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경부선 GB57-1번. 경기도 오산시 외삼미로15번길 75-60 (외삼미동 258) 소재.2. 역 정보
[편집]
병점역 개통 후 생긴 병점차량사업소…
수도권 전철 1호선
…Metro Line 1노선 정보분류운행계통(경원본선[1], 서울 지하철 1호선, 경부본선[2], 경인선, 경부본선/동탄 지선)기점동두천역종점인천역, 천안역, 동탄역역 수94개구성 노선경원선(동두천~청량리)서울 지하철 1호선(청량리~서울역)경인선(구로~인천)경부선(서울역~천안)병점기지선(병점~동탄)상징색남색 (…
광운대역
…디젤동차 운행이 폐지되고 나서 바로타 승강장으로 개량된 이후 에도 경춘선 일반열차가 당역을 경유 했기에 여전히 좌측 지하 계단을 사용하였다. 그러다 2010년 12월 경춘선 복선전철 개통으로 의해 상봉역으로 이설되면서 좌측 지하 계단을 사용할 이유가 없기에 일부 폐쇄…
신도림역
…영등포← 1.5 km경부본선신도림부산 방면구 로1.1 km →인천대입구 방면부천종합운동장← 9.1 km제2경인선신도림용산 방면신도림3.4 km →1. 개요1. 개요
[편집]
도시철도역 중 이용률이 단연 돋보이는 분주한 역신도림역은 경부선 전철의 개통과 함께 서울…
차량기지/대한민국
…을 띄우고 다니는 경우가 있긴 하다.[5] 때문에 천안역이나 신창역 출발 계통의 경우 첫차는 대부분 구로차량사업소 소속의 전동차가 운행한다.[6] 군자차량기지는 1호선 개통한지 3년만에 완공되었다.[7] 병점기지는 광역본부의 기지이고 누리로는 본래 여객…
구로역
…역이 가리봉역(현 가산디지털단지역)이라 헷갈려서 열차를 잘못 타는 사람이 많았다.서해철도 소속 전철역 사무직이 SR시설운영 등의 자회사 직원으로 대체되는 중에도, 구로역의 규모와 운전 취급의 중요성으로 인해 이 역은 직영으로 운용 중이다.이 역에도 광운대역, 병점역과 같이…
의왕역
…월 1일남부화물기지선1984년 7월 20일신분당선2022년 5월 28일철도거리표서울 방면당 정← 2.6 km경부본선의 왕부산 방면성균관대2.9 km →용산 방면수원야구장← 6.5 ㎞신분당선의 왕반월 방면반 월4.5 ㎞ →기점남부화물기지선의…
세류역
…한국전쟁 당시 미군 공군 기지로 사용되면서 관련 시설이 설치되었던 곳이기도 하다. 1987년 역사 증개축으로 완성된 옛 세류역사는 27㎡ 규모의 목조 기와 지상 1층의 모습으로, 여객열차가 무정차 통과하는 곳이었다. 2003년 4월 수도권 광역전철이 병점…
이문차량소
…편집]
중앙본선/망우지선이 부설되면서 영업을 시작한 이문역(里門驛)[2]의 후신이다.[3] 화물 전용역이라 그때도 여객열차가 정차하지는 않았다.서울 시민의 월동을 책임지던 무연탄 저탄장을 가지고 있던 역으로 주로 영동본선, 태백본선을 통해 서울로…
태백본선
…지선
[편집]
노선번호노선명기종점거리역수31501함백선예미역↔조동역9.6㎞331503태백삼각선문곡역(태백선)↔동백산역(영동선)0.8㎞2태백선에는 총 2개 지선이 있다.[29][1] 철도요람상. 현재 태백선의 모든 정기열차는 동백산역을 경유하여 동해역으로 간다.[2] 석탄은 검…
석계역
…25-2)역 운영기관경원선6호선개업일경원본선1985년 1월 14일6호선2000년 8월 7일철도거리표용산 방면신이문← 1.4 ㎞경원본선석 계안변 방면광운대1.1 ㎞ →1. 개요2. 역 정보2.1. 수도권 전철 1호선(경원선…
수원역
…동일역 승하차이므로 이동거리는 증가하지 않으며 개찰구를 벗어날 때 환승 제한시간도 다시 30분으로 초기화된다.2.1. 승강장
[편집]
2.2. 지상역사(경부본선 일반열차, 경부선)
[편집]
4면 8선의 4섬식 승강장이다. 전철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오산역
…오산대← 2.7 km경부본선오 산부산 방면진 위4.0 km →1. 개요2. 역 정보3. 승강장4.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경부선 개통과 함께 한 지역사회의 중심오산역은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등 우리나라 근현대사와…
부산역
…여객 취급 중지 이후 부산신항역이 관리권을 뺏었기 때문에[6] 부산역이 관리할 역이 없다. 경부본선 종점이라서 회차나 주박 역할을 빼면 크게 중요한 일은 없는 듯 싶다.2.2. 부산교통공사 부산역
[편집]
개통 당시의 로마자 역명은 Pusan Station도 아니고 소리…
세마역
…거기서 따왔다. 개통 당시에는 서쪽의 1번 출구만 있었다가 세교신도시 개발이 진행되면서 2015년에 역 동쪽에 2번 출구가 신설되었다. 이 2번 출구는 한국토지주택공사의 기부채납 형식으로 지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수도권 전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경기 지역은 낙후지역으로 떨어지는 등 부동산 가격의 양극화 주장이 있다.도심-배후지역 철도연결은 배후지역 상권을 무너뜨리고, 배후지역을 베드타운으로 만들며, 오히려 중심부 집중을 가속화한다는 주장이 있다. 일례로 일본 도쿄의 근교 지역은 거주만 하는 곳으로 전락해…
제천역
…간 고치고 고쳐 쓰고 있었는데 좁은 공간과 노후화를 리모델링으로 고쳐 쓰기엔 한계에 다다른 상황이라 2000년대 이후 계속해서 신축해달라는 시민들과 정치권의 요구가 있어왔다.2010년대 들어와서 제천 - 원주, 제천 - 쌍용, 제천 - 도담간 복선전철화…
을지로입구역
…구 조흥은행 본점인 광교영업부가 있다. 인천 지하철 2호선에도 이 은행의 ATM이 설치된 역이 있다. 하나은행은 이 역 외에는 주로 신분당선 역에 설치되어 있다. 역 바로 앞에 본점이 있다. 우리은행은 전철역에 ATM이 설치된 경우가 별로 없…
기후동행카드
…계좌만 연동하면 쉽게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수로 서울 외 다른 지역에서 이용해도 잔액 또는 후불카드를 등록해 두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한 점이 있다. 그외에도 환불이 간편하고, 스마트폰 배터리가 모두 방전돼서 전원이 꺼진 상태…
합정역
…에 영업을 개시하였다.성수대교 붕괴 사고 후 한강에 건축된 교량들의 안전성을 정밀 시험한 결과 당산철교의 전면 재시공 결정이 내려졌고 따라서 당산역과 이 역간의 노선이 1997년부터 1999년까지 한시적으로 끊기게 되었다. 이 역의 경우는 홍대입구역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