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로역
최근 수정 시각: ()
九老驛
Guro Station
Guro Station
1. 개요 [편집]
1974년 수도권 전철 개통과 함께 출발구로역은 1974년 역사가 신축 준공되며 같은 해 8월 15일 수도권 전철 개통과 함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그보다 이전이었던 1969년과 1973년에 설치되었던 경부선 구로신호소와 구로남신호소가 구로역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도시와 함께 빠르게 성장하여, 1983년 사무관역 승격에 이어 1991년에는 신역사 B동이 준공되어 영업을 시작했다. 기존의 구로역이었던 A동이 당시 2,229.4㎡ 규모의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건물로 지상 3층, 지하 1층에 이르며, 새롭게 준공된 B동이 4,301.5㎡ 규모의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건물로 지상 5층, 지하 1층에 이른다. 경인선의 분기역으로 경부선, 경인선 방면으로 향하는 수도권 광역전철의 주요 환승역으로 많은 사람이 이용하며 구로 차량사업소가 위치하고 있을 만큼 교통의 중심지로 역할하였기 때문이다.서해철도 '철도역 이야기'에서 발췌.
경부선 GB41번, 경인선 GI41번.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중앙로 174 (구로동 585-3) 소재.
== 역 정보 ==
수도권 전철 개통 5년 전인 1969년, 경부선과 경인선의 분기 지점으로 구로신호장이 개설되었고, 1974년 수도권 전철용 승강장을 마련해 역으로 승격했다. 경부선 계통과 경인선 계통의 분기점으로, 수도권 전철 최초의 환승역이다. 다만 구로역은 1호선의 분기 환승역이고, 수도권 전철 최초의 타 노선과의 환승역은 1980년 2호선이 지어지면서 환승역이 된 신설동역이다.[1]
이 역부터 일부 급행 열차 상행은 완행이 되고, 하행은 그 반대로 여기서부터 급행이 된다. 물론 동인천 급행 같은 예외도 있지만, 그런 열차들은 운행 횟수가 적다.
예를 들어 경부선 천안쾌속 열차는 청량리역부터 이 역까지 모든 역에 정차하고 다음 역인 가산디지털단지역부터 쾌속으로 운행한다. 반대로 천안발 청량리쾌속 열차는 가산디지털단지역까지만 쾌속으로 운행하고 이 역부터는 평범한 청량리행과 같이 모든 역에 정차한다.
1995년 구일역 개통 전까지만 해도 인천 방향 다음 역이 개봉역이었고, 당시 수원 방향 다음 역이 가리봉역(현 가산디지털단지역)이라 헷갈려서 열차를 잘못 타는 사람이 많았다.
서해철도 소속 전철역 사무직이 SR시설운영 등의 자회사 직원으로 대체되는 중에도, 구로역의 규모와 운전 취급의 중요성으로 인해 이 역은 직영으로 운용 중이다.
이 역에도 광운대역, 병점역과 같이 승무사업소(서해철도 수도권광역본부 구로승무사업소)가 있다.
수도권 전철 1호선 중에서 서해철도 소속 열차는 이 역에서 승무교대를 하기 때문에 열차가 이 역에서 조금 길게 정차한다.
1980년대 후반 선로용량이 포화 상태에 이르고, 차내혼잡도가 극에 이르다시피 했던 1호선에 대한 대책으로 3복선화와 함께 구로역~신도림역~영등포역~대방역~여의도(여의도한강공원)역~서부용산역(용산전자상가)~남영역~서울역에 이르는 전철 노선이 입안되었다. 구로역에서 대방역까지는 기존 경부선과 병주하다가 여의도 구간으로 잠깐 빠진 후 용산부터 다시 경부선 옆에 붙어 서울역까지 가는 형태로 계획했다. 그러나 이 대안은 토지 보상비가 너무 많이 들었고, 따라서 구로역에서 서울역까지 경부선 선로 자체를 3복선으로 확장하는 대안이 선택되어 폐기되었다.
== 승강장 ==
5면 11선의 4상대+섬식 승강장이며 전국의 도시철도 전용 역 중 가장 많은 승강장을 가지고 있다.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운용 중에 있다.
이 역의 4번·5번 승강장은 각각 인천역·영등포역 방면으로, 가면 갈수록 두 승강장의 높이 차이가 나고 단차가 생겨서 두 승강장 사이에는 계단이 있다. 높이는 4번 승강장이 더 높다.
7번을 제외한 홀수 번대 승강장은 경부선과 이어져 있고 짝수 번대는 경인선과 이어져 있다. 경부선 타는 곳들은 가산디지털단지역 방면으로 가는 방면은 모두 오른쪽 문이 열리고 반대로 구로역으로 들어오는 열차는 모두 왼쪽 문이 열린다. 반면에 경인선은 구일역 방면으로 가는 열차는 모두 왼쪽 문이 열리고 반대로 구로역으로 들어오는 열차는 모두 오른쪽 문이 열린다.
3번 승강장 1-4번 플랫폼 기둥에 영문 표기가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으로 된 철도청 시절의 구형 역명판이 마지막까지 남아있다가 교체되었다. 1990년대 중후반에 설치된 것으로 추정된다.[2]
2025년 2월부터 리모델링 기간동안 역사에서 6, 7번 승강장으로 내려가는 계단이 공사로 폐쇄된다.
맨 오른쪽 두 개의 선로는 일반열차 및 경부선 통근쾌속 통과선이다.
1 상행 2 3 하행 4 5 상행 6 7 구로역 출발 8 하행 9
== 인접 정차역 ==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