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399 건 / 처리 시간 0.115초

약수역

…금호터널 건설 이전에 약수터가 있었다는 데서 유래했다. 법정동 '신당동'에 속해있지만 이 일대가 약수동이라고 불려왔고, 실제로 1955~1970년까지 이 일대에 '약수동'이라는 행정동이 있었다가 법정동에 맞추어 신당3동으로 변경되었…

성수역

…는 국내 최대의 수제화 생산지로, 이곳 장점은 스스로 수제화 구두를 맞춤주문해서 제작이 가능한 공방들이 많다는 것이다. 하지만 코로나 후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수제화 공방들은 사라지는 추세고, 그 자리에 인스타 감성용 카페, 음식점들이 늘어나고 있다.1번…

교대역(서울)

…2, 3호선 모두 각각 강남역과 서초역, 고속버스터미널과 남부터미널로 이어지기 때문에 혼잡하다. 예상 밖으로 넓지만 붐빌 때는 매우 붐빈다. 환승인구가 많고 실제 지상으로 나오는 인구는 생각보다 적으나, 출퇴근 시간에는 아수라장을 방불케 한다. 특히 이 시간대에 3호…

을지로4가역

…왕십리역은 그나마 환승이 괜찮다. 까치산역은 개념환승이긴 하지만 거의 서쪽에 있는 역인 데다가 신정지선이어서 본선으로 가려면 신도림역에서 다시 환승해야 한다.다만 환승할 때 주의해야 하는 것이 있다. 5호선에서 2호선으로 가는 환승통로가 행선지별로 따로 있…

영등포구청역

…시설물로서 한계가 넉넉하여 가능한 수치이다.3. 역 주변 정보 [편집]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통 전에는 강서구나 양천구에서 강남으로 가는 이용객들이 이 역에서 환승을 많이 해서 러시 아워 때에는 매우 혼잡했지만, 9호선 개통 후에는 강서구 주민들이 9호선…

송추역

…유원지 행락객과 등산객이 이용객의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1980년대 이후 도로 교통이 발달하면서 이용객들이 자동차를 타고 다니게 되어 교외선 이용객수가 줄어들기 시작했다.[1]승객이 줄어 열차 운행이 줄어들고, 열차 운행이 줄어들어 승객이 줄어드는 악순환에 빠진 끝에 2004…

별내별가람역

…대부분 앉지 못한다. 그나마 전 역인 오남역에서 일부 빈자리를 남겨 와도 이 역에서 다 찬다. 수요가 많지는 않지만, 배차가 서울시내 구간 대비 3~4배로 벌어지는 데다 별내신도시 북부의 중심역이라 출퇴근 시간만큼은 혼잡도가 높다.2.1. 진접선 [편집…

두만강철교

…한국과 러시아는 나선시, 블라디보스토크와 같은 동해와 접한 항구도시가 있기 때문에 굳이 두만강을 통해 동해로 나갈 필요가 없지만, 중국은 만주에서 동해로 나가려면 여기를 통과할 수밖에 없는데 이 철교가 억제제가 되고 있는 셈이다.다리 위에 광 케이블이…

독립문역

…4괘다. 1기 지하철 중에서 이런 형태로 예술적인 멋을 살린 역이 몇 없어서 이 벽면의 존재 가치는 중요하다. 하지만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후부터 보기 힘들어졌다. 이로써 벽면의 예술성은 저 멀리 사라진 사례가 됐다.출입구는 6개이다. 본래…

송탄역

…및 공군방공관제사령부, 공군미사일방어사령부 본부와 그 예하부대들이 있을 뿐더러, 주한미육군 제35방공포병여단 예하 패트리어트 부대가 있기 때문에, 이곳에 근무하는 공군 및 카투사 장병 중 수도권 거주자라면 외박과 휴가시 집에 다녀오기가 매우 수월하다. 병사 수송도…

지행역

…의정부선 KU10번. 경기도 동두천시 평화로 2285 (지행동 424-1) 소재.동두천시 내에서 가장 수요가 많은 역이지만 동두천의 간선철도역 동두천역에 밀려 정차하는 열차는 동두천역에 비해 적은 편이다. 그래도 많은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의정부선(청량리서울라인) 계통은 특별쾌속을 제외한 모든…

신당역

…반대편은 황학동이다. 화장실은 퇴계로 북측에 붙어있기에 황학동으로 들어간다. 환승통로는 2호선처럼 신당동에 있지만 퇴계로 북쪽이 황학동과 흥인동으로 나뉜다.2.1. 역무시설 [편집] 243m에 달하는 환승거리로 인해 막장환승 반열에 오른 역이다. 2호선이 네거리…

전의역

…lt;:>각역정차各驛停車익산·김천 방면청 송5.0 km →[1] 철도청고시 제1991-17호.[2] 먼 옛날에는 서울남부터미널행 노선이 있었고, 비교적 최근인 코로나19 발생 전까지만 해도 천안~서대전 노선이 정차했지만 현재는 폐지된 상태이다.

킨텍스역

…을 제출시켰다. 그러나 이 결의안은 2018년 8월 30일 반대 다수로 부결됐다.[1] 결국 킨텍스 원시티 103동 지하에 킨텍스역이 마련되었다.역이 킨텍스사거리 지하에 지어지게 되면서 킨텍스 입구까지 직선거리만 500~600m 정도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완공된…

경의본선

…정도로 성장하였다.단 서울-문산 구간의 경우 전통적인 의주로의 노선과 다르다. 의주로는 서울-구파발-벽제-문산으로 이어지지만 경의선은 서울-수색-일산-문산으로 건설되었다.[1] 가좌~개성 구간[2] 서울~가좌, 개성~신의주 구간[3] 완행선의 경우 120km/h 까지.

석불역

…다. 모형 같지만 실제 기차가 정차하는 진짜 역인 석불역은 1967년 중앙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비록 이용객이 감소하면서 2008년 무인역으로 변경되었지만 45년간 지역의 거의 유일한 교통수단으로 역할하며 지역주민들의 삶을 함께해온 동반자였다. 때문…

평택지제역

…고, 평택역-서울역 ITX-새마을 요금이 7,200원임을 감안하면 평택지제역-수서역 SRT 요금 7,700원은 그리 비싸지 않다.일각에서는 남서울철도가 SRT 개통 후 경쟁을 시작했지만 평택지제역만큼은 경쟁사라고 할지라도 SRT의 개통을 바랐을 것이라는 의견이 있다. 평택…

충무로역

…심지어 개통까지 동시에 하여 개통 당시부터 환승역이었다. 역무실은 4호선 역무실 하나로 통합되어 있어서 주소가 같다.3호선 충무로역은 섬식 승강장이지만, 두 노선이 사선으로 교차하는 승강장 안에 환승통로를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가운데가 볼록…

대천역

…일 장항선 직선화 공사 1단계가 완공되면서 정확히 78년 만에 두 번째 새단장을 하게 되었다. 외곽으로 옮기기는 했지만 시내와 최대한 가까이 붙여놓았는데, 이미 1년 전 같은 장소로 이동한 보령종합터미널과 함께 적절한 장소로 옮겨온 역 이전의…

외대앞역

…이용할 수 없자 강남통학 외대생들이 전철 노선의 부활을 요구한 적이 있다. 하지만 선로 포화와 평면교차 문제로 운행을 하지 않는 만큼 이 노선은 부활하지 않았고, 강남통학 외대생들은 회기역에서 내려 동대문02 마을버스를 타는 쪽으로 타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