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604 건 / 처리 시간 0.142초
종각역
…간의 탈선사고가 빈번히 발생해서 탈선 방지를 위해 설치한 것이다.[5] 과거에는 정거장을 제외한 레일이 장대레일이 아닌 이음새로 서로 연결하는 방식이었다. 해당 구간은 자갈도상에서 콘크리트 도상으로 공사했을 때 잠시 보조레일을 해체한 적이 있었다.[6]4…
죽전역(경기)
…육교를 건너 포은아트홀 방향으로 가면 정류장이 있으며, 구성/동백 일대로 향하는 버스들과 죽전역 착발 일부 마을버스들은 1번 출구로 나오면 바로 정류장이 있다.상행의 경우, 죽전발 상계행 열차가 수시로 운행한다. 시간만 잘 맞춘다면 착석이 보장된다는 장점이 있다.3…
이동역
…해서, 이동역의 중앙역 방면에 인상선을 설치해서 과천안산선 열차의 절반을 이동역에서 중간종착하는 것을 계획했었다. #[10] 그런데 이 방안이 평면교차를 만들어서 교차지장으로 선로용량을 과중시키기 때문에, 철도 동호인들이 동인천역 형태 Y선식 배선을 제안한 적이 있었다…
모래위키:문서 삭제식 이동
…하여도 다른 사람의 기여분을 마치 본인의 기여인 것처럼 역사화되는 일이 벌어지지 않기 때문에 CC BY 위반이 아니며, 제재 대상 또한 아닙니다. 하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자체 문서 이동 기능을 쓰는 것이 여전히 권장사항입니다.4. 번외: 덮어쓰기 이동
[편집]
삭제식 이동에서…
신기역(강원)
…프로그램 손현주의 간이역 6번째 촬영지로 지정되었다.3. 승강장
[편집]
↑ 마차리│21││││↓ 상정1■ 영동선상행도계·동백산·철암 방면 ( ■ 태백선 직통 태백·영월·제천 방면)2하행상정·동해 방면4. 인접 정차역
[편집]
■ 영동선·■ 태백선영주 방면도 계← 15.3 km[특급] 동해산타열차[特急]…
사북역
…다른 역과 별반 차이 없이 수요가 급감하였으나 1998년에 이 역 부근에 강원랜드가 생겼다. 이후 강원랜드에서 유입된 사람들이 이 역을 많이 이용한 덕분에 현재는 특급열차 정차역일 정도로 사정이 많이 나아졌다.과거에 태백선 야간열차를 타봤다면 사북역 도착 1~2분 전부터…
강일역
…단계 구간은 본래 2020년 12월에 개통할 예정이었으나 1단계 구간에서 양보한 서울시가 강일역과의 동시 개통을 고집하여 미뤄졌다. 출구는 4개가 있다. 그 중 인구 밀집 지역인 고덕로의 북쪽 방향의 2번 출구는 공사 중에 한차례 설계변경이…
진접역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지역성과 역사성을 담은 진접역진접선의 마지막 역사인 진접역은 이용객의 이동 동선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하 2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역사 지상부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썬큰광장 상부의 거대한 지상 유리구조…
문래역
…예정이었으나 개통 전 신도림역으로 이름을 바꾸었다.[1][2] 2호선이 들어오고 1980년대 중후반 ~ 1990년대 초반까지는 아파트 두어 동을 제외하면 공장 지대였다.출입구는 총 7개로 1, 5, 6, 7번 출입구와 2, 3, 4번 출입구가 역사…
소요산역
…인 작은 간이역으로 제7차 중학교 교과서에 묘사되었을 정도로 특히 아름다웠다.강원철도 공식 소개 문구의정부선 KU12번. 경기도 동두천시 평화로 2925 (상봉암동 126-3) 소재.현재 한국에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팔각 역사이자 유일하게 폐역되지 않았다.[2]2006년…
신대방역
…들어간다.특히 삼성/서울대입구행 열차는 이 역이 마지막 지상역이다.5. 인접 정차역
[편집]
서울 지하철 2호선강남·잠실 방면신 림← 1.8 ㎞외선外線내선內線신도림·홍대입구 방면구로디지털단지1.1 ㎞ →이 문서는 #에서 가져옴.[1] 개정 전 31번.[2] 관련…
군포역
…금정역 인근 시가지(당시 구획 정리 중) 한가운데를 지나 지역 주민들이 반발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장물이 너무 많아 기각되었고, 그 대신 안산선은 시가지 단절을 방지하기 위해 현재처럼 번영로 위를 고가로 지나게 되었다.2020년 1월 28일부터 (지상 서울역 ↔ 천안 통근쾌속…
보정역
…번 출구가 나가는 북동쪽으로 갔다가 다시 서쪽으로 갈라지는 형태이다.3. 승강장
[편집]
↑ 죽전2ㅣㅣ1구성 ↓1 수인·분당선기흥·수원·안산·인천 방면2서현·수서·선릉·왕십리 방면임시역 시절에는 역으로 들어가서 반 층 정도 되는 계단을 오르기만 하면 바로 열차…
효창공원앞역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서울 지하철 6호선 627번, 경의·중앙 완행선 KJ38번. 서울특별시 용산구 백범로 지하287 (효창동 80) 소재.1978년 경의선 신호장 효창역으로 시작1978년 7월 경의선 효창역이 신호장으로 문을 열었다. 이후 1984년 배치간이역으로 승격되었는데, 당시의 역사는 113.95…
대방역
…방면노량진← 1.5 km경부본선노량진부산 방면신 길0.8 km →1. 개요2. 역 정보3. 승강장3.1. 수도권 전철 1호선3.2. 서울 경전철 신림선4.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경부선 GB37번.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방로 300 (신길동 1368-3) 소재.서울 경전철 신림선 S402번…
구의역
…[2]다른 지상역들과는 다르게 승강장 끝 부분은 지붕과 창문이 없는 개방형이었으나, 2006년에 이 부분들마저도 지붕과 창문을 설치하였다. 내선순환 9-4 승강장에는 위령비가 세워져 있는데, 안전문을 정비하다 열차에 치어 숨진 직원을…
성균관대역
…지상 2층 건물로 기와지붕이 인상적이었다. 이후 인근에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가 들어선 뒤 1984년 성대앞역(율전역)으로 변경되었다가 1994년 성균관대역으로 다시 개칭하였다. 학생들의 통학이 많아 하루 평균 3만 2000여 명이 이용하는 역사로…
둔촌동역
…년 3월 30일철도거리표기점길동삼각선둔촌동길동 방면길 동1.2 km →1. 개요2. 역 정보3. 승강장4.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서울 지하철 5호선 P549번. 서울특별시 강동구 양재대로 지하1369 (둔촌동 416) 소재.2. 역 정보
[편집]
'둔촌역'으로 명명했을 법한데도 '…
수리산역
…정차역
[편집]
과천안산선당고개 방면산 본← 1.1 ㎞각역정차各驛停車오이도 방면대야미2.6 ㎞ →[1] 2004년 12월 10일 전만 해도 이 역에서는 기차표를 발권할 수 있었던 창구가 열려 있었고 그 당시만 해도 배치간이역 이상…
상록수역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1988년 용신역으로 출발[1], 상록수역으로 개명소설 속 주인공 이름에서 소설 제목으로상록수역은 1988년 10월 25일 안산선의 개통에 따라 2층의 지상역사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안산대학교 등 학교와 아파트단지, 번화가가 인접하여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