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223 건 / 처리 시간 0.142초
평택지제역
平澤芝制驛PyeongtaekJije Station남서울철도평택지제역(한경국립대)왕십리 방면동 탄← 21.0 km호남고속선목포 방면천안아산25.1 km →경전선진주 방면천안아산25.1 km →동해선포항 방면천안아산25.1 km →전라선여수 방면천안아산25.1 km →서울 방면서정리← 4.8…
행신역
…고양·일산·여현 방면4 경의·중앙 완행선고양·일산·개성 방면3. 인접 정차역
[편집]
경의 쾌속선여현 방면고 양← 3.3 km쾌속快速대천 방면디지털미디어시티7.4 km → 경의·중앙 완행선개성 방면능 곡← 1.5 km각역정차各驛停車용문 방면한국항공대2.4 km →
백마역
…를 거쳐 2009년 수도권 경의선 전철을 위해 설립된 현재의 새로운 역사로 이전하게 되었다. 역명은 인근에 한국전쟁에 혁혁한 공을 세웠던 백마부대가 주둔하여 붙여졌다는 설과 백석동, 마두동의 두 지명의 첫 글자를 따서 지어졌다는 설이 있다…
외대앞역
…그렇다. 정확히 휘경동 산7번지 일대로 서울시립대학교 후문 및 도서관이 있다. 휘경원은 뒤에 남양주 진접으로 이장한다.1996년 1월 1일에 당시 부역명이자 인근의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따온 외대앞역으로 바뀌었다. 당시 철도청에서도 역명 변경을 내심 바랐는데, 중대사고가…
경마공원역
…1월 1일에 경마공원역이라고 개칭했다. 서울경마공원이 다시 렛츠런파크 서울로 이름을 고치면서 한국마사회는 2015년부터 또 렛츠런파크역으로 역명을 변경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상대식 승강장이나 폭이 정말 넓다. 마사회가 승강장 폭을 넓혀달…
연안역
…1914년 연백군이 되었다. 1945년 38선으로 나뉘자 남한의 연백군은 벽성군의 동남부 지역을 편입했다. 한국 전쟁으로 북한 땅이 되고 남한의 연백군을 점령한 북한이 남연백군으로 바꿨다. 1952년 연안군으로 복귀되었다. 승강장은 1면 4선으로…
영동본선
…간이 완공되고 통리~심포리 구간이 1963년에 황지본선이라는 이름으로 개량되자 통합하여 영동선으로 하였다.나한정~흥전~심포리 구간에 한국 최후의 스위치백이 있었으며 1963년까지 있었던 인클라인[3]은 황지본선이라는 이름으로 수많은 터널을 뚫…
선정릉역
…선개통 후완공의 대표적인 한 예시. 분당선을 만들 때 한국철도시설공단이 서울시 도시철도건설본부의 위탁을 받아 9호선 부분까지 전부 완공해두었으며, 2015년 3월 28일에 서울 지하철 9호선(신논현-종합운동장 구간)이 연장 개통되어 환승역이 되…
부평역
…농경지가 넓고, 수확량이 많은 넓은 평야를 뜻하는 지명에서 유래한 역명처럼, 비옥한 토양을 갖춘 교통의 중심으로 주요 물산의 집결지였으나 일제강점기의 수탈과 한국전쟁, 산업화를 거치면서 대한민국 근현대사의 격동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이에 2017년 6월 민주항…
가산디지털단지역
…상행기준으로 구로역은 10-4, 가산디지털단지역 환승통로는 10-3이다.이 역에는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가 게이트 옆 정산실에 비치되어 있다.아침 출근 시간대에 구로역에서 이 역으로 오는 열차와, 저녁 퇴근 시간대에 이 역에서 구로역으로 가는 열차는 경부선 전철의…
영주역
…과도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건설된다. 실제 영주역은 대한민국 철도발전의 상징적인 곳으로 한국철도공사 경북본부가 위치하고 있으며 철도관사들이 포함된 근대역사문화거리가 있어 철도여행지로 인기 있는 곳이다. 또한 영주 이남지역의 중앙선 전철화가 완료되…
노량진역
…동작구 노량진로 지하130 (노량진동 60-11) 소재.2. 역 정보
[편집]
다른 일부 경인선 역과 더불어 한국 최초의 철도역이자 기점이다.1899년 9월 18일 개업한 한반도 최초의 철도였던 경인선의 시·종착역이었다. 이후 1900년 한강철교가 개통되어 남대문역(현 서울역)까지 노선이 연장되…
인천역
…일, 경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역으로, 한국 최초로 생긴 8개 철도역 중 한 역이다. 경인선과 수인·분당선의 시종착역이며 1호선의 경우 대한민국에는 드문 두단식 승강장을 사용하고 있는 역이다.대한민국의 모든 철도역 중에서 가장 오래된 종점역이기도 하다. 대한민국…
삼성역
…다.이 역과 종합운동장역 사이 구간은 지도 상으로는 삼성교 바로 아래를 따라서 가는 것으로 나와있으나 실제로는 70~80년대 당시의 토목 기술의 한계로 인해[3] 실제로는 교량을 살짝 남쪽으로 우회하여 탄천을 지나간다.[4] 이로 인해 종합운동장역 사이에는 급곡선 구간으로 인해…
신내역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 신내역이 포함된 망우-금곡 구간은 경춘선 춘천-망우 구간의 마지막 구간으로 기존 2009년에 완공될 예정이었지만 신내역과 이 구간의 지하화 문제로 당시 한국철도시설공단과 중랑구청의 의견이 엇갈리면서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2006년 신내역…
부산역
…욕실, 화장실을 두었고 2층 위로는 철도국 직영 호텔로 사용하였다.[2] 승강장 상옥 철골조는 한국철도 효시라고 할 수 있다.지금의 부산역과는 선로와 위치부터 달랐다. 선로는 중앙대로와 매우 가깝게 붙어 내려오다가 옛 부산역앞에서 약간 꺾여 현재 세관…
동해철도
…12]지방철도청, 쌍도교통 부산, 대구, 경북지사주요 주주강원도 40%강릉시 10%속초시 10%동해시 5%춘천시 5%원주시 5%한국광해광업공단 3%대한석탄공사 2%자회사관동여객운수 주식회사 100%주식회사 센트레 100%정선 레일바이크 100%강원석탄 70%공항철도 50%서해철도 10%1. 개요2. 본사, 지사 관계사2…
산본역
…2014년 1월 8일에 완공되어 가동되고 있다.[4]2015년 11월 7일 기준으로 에스컬레이터 공사를 시작하면서 한쪽 출구가 임시 폐쇄되었고 2016년 2월 에스컬레이터 공사를 완료하여 폐쇄되었던 출구가 다시 개방되었다.4층 승강장으로 올라가…
범계역
…지하 역사로 지어졌다. 인근에 학교와 주거지가 밀집하여 과천선의 역들 가운데 이용객이 가장 많은 역으로 <한국철도요람집 1993>에 따르면 당시 연간수입이 430백만원으로 인근 다른 역들의 1.5~2배에 달했다. 역명이 유래한…
정왕역
…한국공학대학교(영문명: Tech University of Korea)'로 부역명이 변경됐다.# 그러다 2024년 7월부터 계약만료로 '시화병원(영문명: Sihwa Hospital)'으로 부역명이 변경됐다. 여담으로 부역명이 '한국공학대학교'였던 시절에 전동차에서 2022년까지만 해도 '한국공학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