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142 건 / 처리 시간 0.075초

소정리역

…었고[2] 2005년에 3대 역사가 준공되었다.2008년 12월 15일 충청선이 역에 서게 되었고, 기존 경부본선 정차역에서 제외되었다.2018년 역사 개보수의 일환으로 3대 역사를 허물었고, 2021년 지금의 역사가 준공되었다.3…

세류역

…을 때도 화물열차를 대는 용도로만 썼고 여객용으로는 쓰지 않았다. 반대편 2번 승강장 옆은 아예 선로가 없고 주차장으로 활용되는지라 사실상 섬식으로 운용될 가능성이 희박하다.상행선에는 부본선이 있으며 아주 가끔 유류화물을 취급한다…

분천역

…을 개시하였고 1957년 3월 역사가 준공되었다.1994년 1월 1일부로 소화물취급이 중지되었고 2008년 11월 1일부로 화물취급이 중지되었다.2013년 5월 23일자로 스위스 체르마트역과 자매결연을 체결한 이후 역사 외관이 스위스 풍의 외관…

부호역

…가마실마을이 있다. 인근에는 국군대구병원이 있다.역 바로 남쪽으로 복선전철화된 대구선 고가철로가 거의 붙어 있다.이 역과 대구한의대병원역 사이에 코레일에서 여객취급을 했던 청천역이 존재하는데 현재는 화물만 취급한다. 1호선도 청천역…

원릉역

…같은 해 8월 1일부로 을종승차권대매소로 지정되었다.1995년 2월 1일부로 화물취급이 개시되었으나[2] 같은 해 9월 1일부로 중지되었다.[3]미각(구 장수마을)이라는 중화요리점 주차장을 통해서 승강장을 지나갈 수 있었으며…

벽제역

…년 10월 1일부로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1986년 1월 7일부로 소화물취급이 중지되었고, 1995년 9월 1일부로 화물취급이 중지, 2004년 4월 1일부로 여객엉업이 중지되었다.2010년부터 2011년 7월까지 원당천…

철암역

…활력을 잃어가던 철암역은 2013년 백두대간협곡열차의 운행과 2014년 문을 연 철암탄광역사촌과 더불어 새로운 미래를 열어가고 있다.강원철도 공식 소개 문구영동본선의 철도역이자 석포역과 함께 영동선에서 여객 업무와 화물 업무를 모두 하는 역[2]이다…

오류동역

…권 전철 개통에 따라 새로운 선상 역사로 문을 열고 1986년 증축을 진행하였다. 기록에 의하면 여객 승강장 외에도 화물홈과 야적장을 갖추고 있다고 한다. 현재에는 2층 선상 역사로 남쪽과 북쪽을 연결하는 개방 통로를 갖추고 지역주민들의…

봉양역

…게 성장해왔다. 충북선과 중앙선의 분기역으로 철도 여객, 화물 수송의 큰 역할을 맡고 있는 횡축 간선망 봉양역. 옛 역사는 108㎡ 규모의 부대건물을 갖춘 기와단층의 역사였으며 현재의 시멘트 벽돌조 슬라브 단층 역사로 새롭게 지어진 것은 1998년이었다. 이후 2015…

태백역

…1차 증축에 이어 1991년 2층 역사로 다시 증축하였다. 비록 2006년 화물 취급이 중지되며 옛날처럼 석탄이 오가진 않지만 대신 풍부한 관광자원으로 관광객들의 큰 사랑을 받는 태백선 대표역사이다.강원철도 공식 소개 문구2. 역 정보 [편집] 1989년 당시 태백역…

망우역

…gt;에 따르면 직원만 58명이었을 만큼 화물 운송에 매우 중요한 역사였다. 특히 망우역과 경원선 분기점인 광운대역(옛 성북역)을 잇는 망우선은 1963년에 준공한 화물선으로, 청량리, 성북, 망우를 연결하는 삼각선으로 무연탄 등 화물 운송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오늘날…

수색역

…준공하였다. 옛 역사는 254.2㎡규모의 벽돌조 능형 슬레트 단층 역사로 601.18㎡ 규모의 부대건물을 갖추고 있었다. 특히 여객승강장 외에도 화물 홈과 하치장을 갖추고 있어 <철도요람집1993>에 따르면 연간 1,267백만원의 수입…

태백본선

…되어 있는 노선이다. 함백선과 병주하는 구간을 제외하면 복선구간은 아예 없었으나 2013년 11월 14일에 제천 ~ 입석리(13.7km)간이 이설되면서 개통 64년 만에 신설되었다.특징은 화물열차 비중이 매우 높고[3], 선로가 대한민국에서 제일…

연천역

…포함되었던 역사이다. 통일 후 한국의 역사로 시작한 연천역. 군사적 목적이 중요했던 역사답게 1948년 북한이 군용물자를 수송하던 화물용 승강장이 남아있다고 한다. 1958년 세워진 역사가 최근까지 개보수 공사를 통해 이용되고 있다. 역사 외벽에…

청천역

…선이 표준궤로 개궤되면서 대구 동구 숙천동 203번지 등지에 구 역사가 준공되었고 1959년 9월 18일 보통역으로 다시 승격되었다.1977년 5월 1일 화물 취급이 중단되었고 같은 해 5월 16일에 수소화물 취급이 중단되었다.2.1…

중앙 쾌속선

…배차 간격 [편집] 경의·중앙 완행선에 비해 긴 배차 간격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중앙 쾌속선에는 쾌속열차 뿐 아니라 화물열차 및 특급열차도 같이 다니기 때문이다. 특히 청량리~망우 구간의 선로용량이 거의 포화 상태이다 보니 대대적인 증편은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전의역

…1993년 5월 11일 탄약창 인입선을 설치하여 2019년 9월까지 군용화물을 취급하기 시작했다.2005년 말 역사가 리모델링되었고, 2019년 9월 군용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전의면 소재지에 있는 역이라 이용객이 어느…

블라디보스토크역

…스카야·바라놉스키·우수리스크 방면5715플랫폼 번호 순서가 뒤죽박죽하다. 역 남쪽으로는 블라디보스토크 항으로 이어지는 화물 인입선이 이어져 있다.블라디보스토크 공항철도 전용인 2번 승강장은 다른 승강장과는 다른 건물을 통해서 입장해야 한다. 시베리아 횡단철도 역사 왼쪽에 있는 현대식 역사로…

일영역

…미역 인근이다.[13] 촬영시점인 2000년 ~ 2001년 초 당시에 함백선은 무궁화호와 통일호가 모두 운용되고 있는 등 여객영업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던 노선이었고 화물 수요 역시 꽤 이루어지던 노선이었다.[14] 지금이야 교외선이나 함백선이나 운영사가 같고…

여주역

…을 새로 짓기로 결정하였으며, 기존 여주원주선은 경강선의 일부로 합병되었다. 여주원주선은 화물 위주로 운영되고 있으며, 이 역과 서원주역을 왔다갔다 하는 여객열차가 2시간 간격[1]으로 다니고 있다. 강원철도도 버린 문막읍인 만큼 남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