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380 건 / 처리 시간 0.077초

문곡역

…않다.특급은 정차하진 않지만 화물수요는 어느정도 있기 때문에, 그리고 태백선의 열차 교행 관련해서 운전업무도 꽤 되기 때문에 역장과 역무원이 상주하는 직영역지위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현재는 무인역으로 변해버렸고, 열차교행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고사리역

…하고사리역 일대가 이미 하고사리라는 지명으로 정착된지 오래라 역명 개정은 하지않고 부역명으로 늑구리만 추가하는 것으로 끝났다.3. 승강장 [편집] ↑ 하고사리│12│↓ 도계1■ 영동선하행신기·동해 방면2상행도계·동백산·철암 방면 ( ■ 태백선 직통 태백·영월…

상정역

…의 역사는 1986년 12월 24일에 완공된 것이며, 2001년 9월 8일에 화물영업을 중지했다.3. 승강장 [편집] ↑ 신기│21│미로 ↓1■ 영동선하행미로·동해 방면2상행도계·동백산·철암 방면 ( ■ 태백선 직통 태백·영월·제천 방면)4. 인접 정차역 [편집] ■…

예미역

…■ 태백선영월·쌍용리·제천 방면2사북·태백·동백산·동해 방면3. 인접 정차역 [편집] ■ 태백선청량리 방면영 월← 17.4 km[특급] 정선아리랑[特急] 旌善아리랑아우라지 방면민둥산17.7 ㎞ →청량리 방면영 월← 17.4 km[특급] 태백산[特急] 太白山강릉 방면민둥산17.7 ㎞ →제천 방면영 월←…

민둥산역

…승강장3.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1966년 석탄 수송 위한 역으로 출발옛 역명 증산은 석탄 시대와 함께 퇴장 민둥산역은 증산역이라는 이름으로 1966년 영업을 개시했다. 석탄 수송을 위해 태어난 역으로 태백선에서 정선선으로 향하는 지선이 분리되던 역이었다. 증산역은 동쪽에…

추전역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사시사철 난로가 필요했던 추운 역사추전역은 1973년 태백선 철도 개통과 함께 같은 해 11월 10일 역사가 신축되며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이후 박공지붕의 옛 추전역사가 콘크리트 건물로 바뀌고 연탄난로가 있던 대합실이 기념관으로 바뀌…

쌍용리역

…개요 [편집] 한국전쟁 직후 태백선 보통역으로 출발1일 시멘트 5천톤, 백운석 5백톤 수송쌍용리역은 1953년 10월 태백선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같은 해 옛 쌍용리역사가 신축 준공되었으며 1972년 여객수의 감소로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가 1986…

도계역

…여담1. 개요 [편집] 영동선 석탄수송의 핵심역사, 서독 파견 광부들의 훈련소 역할도계역은 1940년 8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한, 영동선 석탄수송의 핵심역사였다. 도계역이 위치한 도계리는 세 갈래 길의 분기점에 있다 하여 길가말이라 불리던 이름이 와전…

도경리역

…영동선 철암-묵호 간 위치한 역으로 영동선에서 가장 오래된 역이다. 철암선이 삼척탄전의 개발을 위해 개통되었던 1940년 8월 1일 도경리역도 함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기록에 의하면 현재의 역사가 완공된 것은 1939년 5월이지만 일부 그보다…

고한역

…강원랜드에서 도박으로 돈을 잃고 자살 시도 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이다.3. 승강장 [편집] ↑ 사북│21│추전 ↓1■ 태백선하행태백·동백산·동해 방면2상행민둥산·영월·제천 방면4. 인접 정차역 [편집] ■ 태백선청량리 방면사 북← 4.6 ㎞[특급] 태백산[特急] 太白山강릉 방면…

마차리역

…직통 태백·영월·제천 방면)2하행신기·동해 방면3미사용 승강장44. 인접 정차역 [편집] ■ 영동선·■ 태백선철암·제천 방면하고사리← 3.5 km보통普通동해 방면신 기5.4 ㎞ →[1] 고사리역으로써의 개업일로, 고사리역이 늑구리로 이설된 이후 1967년에 하고사리역으로 재개업…

동백산역

…4] 동백산역에서 통리역까지는 버스가 태백 버스 1번과 4번이 합쳐서 하루 128번 운행한다.4. 승강장 [편집] ↑ 백산 / 태백││││21││↓ 도계1■ 영동선하행도계·동해 방면2상행백산·철암 방면■ 태백선태백·영월·제천 방면5. 인접 정차역 [편집] ■ 영동선·■ 태백선영주 방면철 암← 6…

사북역

…개요2. 특성3. 승강장4.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석탄의 역사, 사람의 역사 그리고 관광의 역사사북역은 1966년 태백선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1986년 역사를 개축 준공하였는데, <철도요람집 1993> 기록에 따르면, 여객열차가 12회 정차할 당시 화물…

동해역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북평역에서 동해역으로동해역은 1940년 북평역이라는 이름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현재의 역사는 1983년에 신축된 것으로 1980년 북평읍이 묵호읍과 합쳐져 동해시로 승격됨에 따라 1984년 동해역으로 개명하게 되…

영일역

…il Station쌍도교통영일역제천 방면풍 기← 10.6 ㎞중앙본선GJ09영주 방면영 주1.8 km →주소경상북도 영주시 영주동 539-1역 운영기관중앙본선개업일중앙본선2000년 4월 1일철도거리표청량리 방면풍 기← 10.6 ㎞중앙본선영 일모량 방면영 주…

영주역

…휴천동)역 운영기관중앙본선영동선경북본선개업일경경본선1941년 7월 1일~1948년 1월 21일중앙본선1948년 1월 22일영암본선1950년 2월 1일~1963년 5월 19일영동본선1963년 5월 20일경북본선1966년 1월 27…

풍기역

…1942년 4월 1일 경경선의 제천~영주 구간의 개통과 동시에 보통역으로 개업하였다.4. 승강장 [편집] ↑ 희방사|12||34|영일 ↓1·2 중앙본선상행단양·제천 방면3·4하행영주 방면5. 인접 정차역 [편집] 중앙본선제천 방면희방사← 4.1 ㎞보통普通…

지역별인구

…서구+남구+북구+월배구+성서구+수성구+고산구+칠곡구+안심구+다사구+달성구포항시 1,185,724ㄴ 중구+남구+북구+영일구구미시 685,307ㄴ 구미구+선산구안동시 512,890ㄴ 강남구+강북구경산시 510,984ㄴ 경산구+하양구경주시 504,881ㄴ 신라구+월성구김천시 408…

부천종합운동장역

…부천종합운동장이 있어서 최종적으로 지금의 역명으로 확정되었다. 북쪽으로는 여월택지지구와 인접해 있다.7호선 부천종합운동장역은 역이 위치한 종합운동장사거리를 지나는 당아래지하차도와 통합 시공되었으며, 당아래지하차도 바로 아래에 대합실과 승강장이 있다…

양원중랑숲역

#redirect 양원·중랑숲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