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561 건 / 처리 시간 0.323초
남태령역
…당시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 관할 역 중에서 유일하게 열차 도착 안내 방식이 전광판이었다. 철도청이 과천선을 건설하면서 이 역도 같이 지었기 때문에 다른 과천선 역에 설치된 전광판이 이 역에도 설치됐기 때문이다. 당시 서울지하철공사에서는 4호선을…
동대문역
…교차를 통해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 군자차량사업소로 입고하는 차량들은 이 역에서 종착역으로 기능하였다. 그러다가 신설동역 방향으로 입체교차선로가 나오기 직전에 동묘앞역이 생성됨으로써 동대문역 종착 기능은 사라졌다.이미 1970년대 후반에도 1기 지하철 계획 수립부터…
종로3가역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가 5호선을 운영할 때 부여되었고, 서울교통공사로 통합된 후에도 존치 중이었으나 현재 5호선 측 역명판이 서울남산체 폰트로 교체되어 '인사동 문화거리' 부역명은 표기하지 않는다.국내 지하철 역사 중 처음으로 2-1번이…
청량리역
…역사
[편집]
1974년 8월 15일 최초의 지하철 종로선 개통식이 열렸던 장소이다.한때에는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현 서울교통공사) 전동차들의 주요 종착역이었지만 2005년 천안 연장으로 심야 막차들만 이곳에서 종착하였다가 2023년 기준 서울교통공사 차량 3개 열차(S434…
병점역
…남서울철도(당시 강원철도) 관할 역사 및 전동차내에서는 병점행이라고만 표기했으나,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현 서울교통공사) 관할 역사 및 전동차 내에서는 수원·병점행이라는 복수 행선지 안내를 채택했다.이 역에서 분기되어 인근 병점차량사업소에 입고하는 열차는 이 역을…
교대역(서울)
…서울 지하철 2호선4.2. 수도권 전철 3호선5.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서울 지하철 2호선 223번[1]·서울 지하철 3호선 340번[2].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294 (서초동 1748-4) 소재.법원·검찰청은 서울시 고시로 정한 병기역명이다.2. 역 정보
[편집]
강남 일대의…
당산역
…강서구 주민들은 모두 당산역을 이용했다. 5호선 개통 후로는 주로 화곡역을 이용한다. 이 때문에 출퇴근시간마다 환승객으로 붐비던 영등포구청역도 조금 한산해졌다.2.1. 서울 지하철 2호선
[편집]
1984년 5월 22일 2호선 서울대입구역 ~ 을지로입구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영업…
수도권 전철 1호선
…긴 거리를 운행하고 있다.서울 지하철 1호선 구간은 과거 서울특별시에서 비공식적으로 종로선이라 한 바 있다.열차 통행 방향은 전 구간 좌측통행이다. 다른 노선의 지하 구간은 도시철도건설규칙의 적용을 받아 우측통행이 원칙이지만, 서울 지하철 1호선 구간(서울역…
명동역
…개요
[편집]
서울 지하철 4호선 424번[1].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지하126 (충무로2가 109-2) 소재.2. 역 정보
[편집]
4호선 도심구간(동대문~서울역)은 지하철 공사로 인한 교통 대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개착식 공법 대신 1기 지하철이 건설되던 당시의 기준으로는…
대림역
…빠르고 편리하다.전 역인 구로디지털단지역과 더불어 자갈 도상으로 되어있는 단 둘뿐인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역이기도 하다. 다른 역들은 모두 콘크리트 도상으로 되어 있다. 신대방역과 당산역도 원래 자갈 도상이었지만 선로공사를 하면서 콘크리트 도상이 되었다…
회현역
…개요
[편집]
서울 지하철 4호선 425번[1].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지하54 (회현동1가 107-2) 소재.2. 역 정보
[편집]
4호선 도심구간(동대문~서울역)은 지하철 공사로 인한 교통 대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개착식 공법 대신 1기 지하철이 건설되던 당시의 기준으로는…
오류동역
…는, 버려진 건물이 오류동역 역사였다.이 역은 한때 시종착 역할도 수행해서 서울시에서 발간한 서울지하철 30년사(2003)에 따르면 1979~1987년에 이 역에서 시/종착하는 열차가 있었으며 주로 서울지하철공사 차량으로 운행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신이문역
…옛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의 스크린도어 설치 초기의 개폐음이다.하행 막차가 일찍 끊긴다. 평일에는 23시 38분에, 주말에는 23시 37분에 구로행 막차가 이 역을 출발한다.경사가 있어서 승강장 틈새가 매우 넓다. 그래서 2010년에는 서울지하철공사 시절의…
과천안산선
…철도청에서 서울특별시에 속해있는 사당 ↔ 남태령 구간을 지하철공사에 양도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울 지하철 4호선도 사당역에서 남태령으로 한 정거장 연장됐다.4. 운행 환경
[편집]
4.1. 안내방송
[편집]
운영사서울교통공사남서울철도한국어강희선은영선영어제니퍼 클라이드중국어조홍매연홍…
기후동행카드
…한국철도공사 등과 협의 없이 발표했기 때문이다. 심지어 김포시가 참여하자 경기도가 '경고' 하였는데, 이에 대한 비판은 서비스 확대를 견제한 경기도가 아니라 도리어 서비스 확대를 추진하고 있는 서울특별시를 향한다.조삼모사라는 비판이 있다. 서울시내 버스, 지하철 적자를 원인…
스크린도어
…군자역 스크린도어도 철거되었다. 2019년 6월 마지막으로 남아있던 우장산역마저 에스티이엔 제품으로 교체되면서 이 업체의 모든 스크린도어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P]NRT: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에 스크린도어 부품을 납품했던 업체. 국제안전인증(SIL)을 받은 회사였으나…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교통공사서울 지하철 1호선Seoul Metro Line 1서울 地下鐵 1號線노선 정보애칭종로선(鐘路線)분류도시철도기점서울역종점청량리역역 수10노선 기호1개통일1974년 8월 15일소유자파일:서울특별시 휘장_국영문.svg파일:서울특별시 휘장_국영문_다크모드.svg…
선바위역
…2004년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와 지하철 간 환승할인이 시행되고, 2007년에는 경기도까지 확대되자 입소문을 타고 선바위역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선바위역에서 47번 국도를 이용하면 빠르게 강남권(강남역, 양재역 등)에 들어갈 수 있지만, 지하철로 강남에 가려면…
경의 쾌속선
…직통KO010.0서 울¶동해철도 ■ 경의고속선, 중앙 쾌속선, ■ 경의본선, 운정동탄라인서울특별시용산구KO023.1신 촌新 村서대문구KO035.8가 좌加 佐¶동해철도 경의·중앙 완행선KO047.5디지털미디어시티¶동해철도 인천공항선, 경의·중앙 완행선¶서울교통공사 서울 지하철 6호선은평구…
종합운동장역(서울)
…2호선 게이트 끄트머리에 환승통로가 있다.1988년에는 을지로입구역과 함께 1988 서울 패럴림픽에 대비하여 서울 지하철 최초로 경사형 휠체어리프트가 4대 설치되었다.[2] 해당 시설은 2004년에 2호선 종합운동장역이 모든 동선에 엘리베이터를 갖춤에 따라 완전히 철거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