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천역
최근 수정 시각: ()
汾川驛
Buncheon Station
Buncheon Station
주소 | |||||
역 운영기관 | |||||
개업일 | |||||
1956년 1월 1일 | |||||
철도거리표 | |||||
영동본선 분 천 |
1. 개요 [편집]
2. 역 정보 [편집]
역명은 여우천에서 내려오는 냇물이 갈라져 낙동강으로 흐른다 하여 부내라고 한데서 비롯되었다고 하며, 일제가 '부내'를 한자화 해서 분천(汾川)이 된 것이다.
1956년 1월 1일 영암선의 마지막 구간인 춘양-철암 구간이 개통하면서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고 1957년 3월 역사가 준공되었다.
1994년 1월 1일부로 소화물취급이 중지되었고 2008년 11월 1일부로 화물취급이 중지되었다.
2013년 5월 23일자로 스위스 체르마트역과 자매결연을 체결한 이후 역사 외관이 스위스 풍의 외관으로 리모델링 되기도 했다.
동해산타열차의 종착역이자 백두대간협곡열차의 회차역[1]으로, 협곡열차 운행 이후에는 일일 1,000여명 가까이 방문할 정도로 이용객이 급증했다.
1956년 1월 1일 영암선의 마지막 구간인 춘양-철암 구간이 개통하면서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고 1957년 3월 역사가 준공되었다.
1994년 1월 1일부로 소화물취급이 중지되었고 2008년 11월 1일부로 화물취급이 중지되었다.
2013년 5월 23일자로 스위스 체르마트역과 자매결연을 체결한 이후 역사 외관이 스위스 풍의 외관으로 리모델링 되기도 했다.
동해산타열차의 종착역이자 백두대간협곡열차의 회차역[1]으로, 협곡열차 운행 이후에는 일일 1,000여명 가까이 방문할 정도로 이용객이 급증했다.
3. 역 및 승강장 [편집]
4. 인접 정차역 [편집]
5. 기타 [편집]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