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문역

최근 수정 시각: ()
雙門驛
Ssangmun Station
파일:SM-4.svg
4호선
413
주소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지하486-1 (창동 703-4)
역 운영기관
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_White.svg
개업일
1985년 4월 20일

1. 개요2. 역 정보3. 승강장4. 인접 정차역

1. 개요 [편집]

서울 지하철 4호선 413번[1].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지하486-1 (창동 703-4) 소재. 도봉구 쌍문동과의 경계에 있다.

2. 역 정보 [편집]

편의시설로는 1번 출구에 엘리베이터가 있으며, 2~4번 출구에는 에스컬레이터가 있다. 4번 출구는 2009년 11월부터 공사하여 2010년 5월부터, 2번 출구는 2015년 1월 9일부터 공사하여 2016년 3월 18일부터 에스컬레이터 운행이 시작되었으며 3번 출구 또한 2020년 8월 18일부터 공사해 2022년 5월 3일 운행을 시작했다. 3번 출구 맞은편에 간단한 행정 서류를 발급받을 수 있는 공간이 있었으나, 그 후 철거되고 대신 무인 발권기가 설치되어 있다.

2009년 말 본래 상하행선 일체형이었던 개찰구가 양쪽으로 분리되었고, 이에 따라 2, 3번 출입구 쪽의 화장실 또한 개찰구 밖에 있었다가 2021년 10월 역사 리모델링으로 개찰구가 일체형으로 다시 바뀌면서 화장실도 개찰구 안쪽으로 들어가게 되었다. 스크린도어는 2010년 1월부터 작동하고 있다. 스크린도어 안내방송은 삼각지역종로5가역,을지로4가역의 것과 같은 종류를 사용하고 있다.

역 이름은 쌍문역인데 역무실은 창동에 있는 이유는, 쌍문역 자체가 창동과 쌍문동의 경계 지점이 되는 도봉로 상에 지어졌기 때문이다. 역무실은 지하에서 창동 쪽에 더 가깝게 위치해있었으나 그 후 1, 4번 출입구 쪽 개찰구가 분리형으로 바뀌면서 뒤로 자리를 옮겼다. 쌍문동과 창동을 나누는 경계 가운데 있는 셈이지만 주소는 그대로 쓰고 있다.

2014년 7월 도봉구는 쌍문역을 '쌍문(둘리)역'으로 변경하는 내용을 서울시지명위원회에 상정해달라고 요청했다. 하지만 병기역명에 역사적 인물도 아닌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이름이 들어간 전례는 없어서[2] 부결됐고 대신 테마역을 조성했다.

2020년 중순부터 역사 리모델링 공사가 진행되어 2022년 상반기에 완료되었다. 이에 따라 역사 구내의 상가가 모두 철거되었으며, 역무실도 대합실 통로 한가운데로 자리를 옮겼다. 3번 출구 앞 둘리 테마로 꾸며진 쉼터도 리모델링 공사로 인해 사라졌다. 대신 넓어진 대합실 가운데에 의자가 설치되었다.

2021년 하반기, 역사 리모델링의 일환으로 1번 출구의 캐노피가 철거되고 현대식으로 다시 세워졌다.

3. 승강장 [편집]

쌍문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가진 지하역이다. 도봉구의 유일한 지하역이기도 하다.
창동
수유

4. 인접 정차역 [편집]

[1] 개정 전 13번[2] 2019년 12월 낙성대역이 낙성대(강감찬)으로 바뀐 사례가 나왔다.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