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양역

최근 수정 시각: ()
河陽驛 (大邱가톨릭大)
Hayang Station (Daegu Catholic University)
파일:Ssangdo_Wlogo.svg쌍도교통
하양역
(대구가톨릭대)
파일:SD-GG.png
대구선
GG30
파일:SD-GJ.png
중앙본선
GJ23-2
중앙본선은 직결임을 명확히 하기 위해 방향을 돌려놓음.
주소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대경로 528 (부호리)
역 운영기관
파일:쌍도교통 로고.png파일:쌍도교통 로고_White.png
개업일
경동선
1917년 12월 24일[1]
1938년 7월 1일[2]
철도거리표
1. 개요2. 역 정보
2.1. 승강장
3. 역 주변 정보4. 승강장5. 인접 정차역6. 연계 교통7. 기타

1. 개요 [편집]

팔공산 갓바위와 학사모를 담아낸 역사
하양역은 1917년 11월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한 대구선의 역사로 1938년 광궤선 개량과 함께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옛 역사는 24㎡ 목조 건물로, 인근에 위치한 동촌역과 닮은 모습이었는데 2001년 현대식 건축으로 다시 지어졌다. 이후 2021년 대구선 복선전철 사업과 함께 새롭게 준비중인 하양역은 비옥한 금호평야의 풍요로움을 바탕으로 교육의 도시답게 영험하기로 이름난 팔공산 갓바위와 학사모의 모습을 담아냈다. 하양의 중심지에 위치하고 있어 접근성이 뛰어나며 대구 도시철도 1호선 환승도 편리하다.

쌍도교통 공식 소개 문구

대구선의 철도역.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하양역길 1(금락리) 소재.

2. 역 정보 [편집]

1917년 12월 24일 경동선의 대구-영천 구간이 개통하면서 보통역으로 개업하였고 1938년 7월 1일 표준궤로 개궤하면서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

1991년 9월 1일 소화물취급이 중지되었고 2001년 구 역사가 신축 준공되었으며 2004년 9월 1일부로 화물 취급도 중지되었다.

2021년 5월 신 역사가 준공되었고 같은 해 10월 27일부로 신 역사로 모든 업무가 이관되었다.

역사 내부에는 자판기에 매표창구, 좌석, 정수기, 휴게실(냉온방이 되며 TV 존재), 화장실을 갖춘 형식이며 타는 곳에도 에어컨이 설치된 대기실이 존재한다. 단촐한 구성이지만 최소한 필요한 것들은 다 있으며 화장실도 작은 편은 아니다. 승차권 자동발매기는 2대가 설치되어 있다.

2.1. 승강장 [편집]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었지만 공사로 인해 2면 3선으로 바뀌었다가 상행선 부분 승강장의 고가화가 거의 완료되어 섬식으로 운영 중이었다. 기존 선로는 철거되었고 터파기 공사를 진행했으며 2019년 11월 1일 나머지 섬식 승강장이 준공되어 쌍섬식으로 운영 중이다.
1
2
3
4
5
6
부호
청천
1
하행
2
상행
3·4
상행
5·6
하행

2019년 11월 1일에 1, 2번 타는 곳이 준공되면서 승강장 부분은 완공되었다.

3. 역 주변 정보 [편집]

역 근처에 경일대학교, 호산대학교, 부호리 가마실마을이 있다. 인근에는 국군대구병원이 있다.

역 바로 남쪽으로 복선전철화된 대구선 고가철로가 거의 붙어 있다.

역사 남쪽 금호강변에 하양유채꽃단지가 있는데 계절별로 다양한 꽃이 피어 사진을 찍기 좋다. 예전에는 이곳으로 가는 길(옛 대구선 부호 건널목이 있던 곳)에 차량이 많이 다니고 인도가 없어서 보행 환경이 좋지 않았었다. 역사를 건설하면서 경일대삼거리를 사거리로 바꾸면서 기존의 도로를 폐쇄하고 신작로에 인도를 설치하여 보행 환경이 개선되면서 접근성이 좋아졌다.

4. 승강장 [편집]

5. 인접 정차역 [편집]

<width=120px><:><bgcolor=#ff7f00>쾌속
快速
포항·태화강 방면
영 천
12.5 km →
<width=120px><:><bgcolor=#808080>보통
普通
<width=6px><:><bgcolor=#ff7f00>쾌속
快速
<width=60px><:><bgcolor=#808080>보통
普通

6. 연계 교통 [편집]

정류장명
경유 노선
경일·호산대학교
부호역
802, 809, 814, 818, 818-1, 894, 55, 55-1, 55-7, 555, 555-1, 555-7, 와촌1, 와촌2, 진량2, 하양1, 하양2(경일대)
부호1리
802, 809, 814, 818, 818-1, 894, 55, 55-1, 55-7, 555, 555-1, 555-7, 와촌1, 와촌2, 진량2, 하양1, 하양2(경일대)
경일대 정문
809, 818-1, 894, 와촌1, 와촌2, 진량2, 하양1, 하양2(경일대)
경일대 정문 건너
809, 818-1, 894, 와촌1, 와촌2, 진량2, 하양1, 하양2(경일대)
호산대
809[3]

7. 기타 [편집]

  • 이전역인 청천역과 이 역의 거리는 4.1km로 대구 도시철도 중 가장 긴 역간거리[4][5] 기록을 경신했다.
  • '부호'라는 지명은 인지도가 크게 낮았으나 경산시의 역명 선정 논란으로 오히려 인지도가 크게 올라가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벌어졌다.
[1] 협궤철도역 개업일[2] 표준궤 개업일.[3] 영남대 방면 한정[4] 그 다음으론 대구 도시철도 2호선문양 ~ 다사 구간의 2.9km.[5] 정확히는 청천-영천 구간은 일반철도이나, 사실상 도시철도로 인식된다.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