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역(r30)

해당 리비전 수정 시각: ()
[주의!] 문서의 이전 버전(에 수정)을 보고 있습니다. 최신 버전으로 이동
江陵驛
Gangneung Station
파일:KANGWON_Wlogo.svg강원철도
강릉역
서울 방면
서원주
← 122.1 km
만 종
← 115.5 km
시종착
수서 방면
평 창
← 56.6 km
진 부
← 40.3 km
시종착
시종착
운행계통 안내

주소
강원도 강릉시 용지로 176 (교동 95-10)
역 운영기관
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png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_White.png
개업일
1962년 11월 6일
2017년 12월 22일
철도거리표
동해본선
강 릉
경강선
강 릉
종점

1. 개요2. 승강장3. 인접 정차역

1. 개요 [편집]

자연과 예술의 도시를 담은 갤러리
1962년 11월 6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한 강릉역은 서울에서 영동과 태백의 험준한 산자락을 따라 6시간을 넘게 달려야 도착할 수 있던 곳이었다. 그러던 2017년 12월, 강릉역은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서울역을 1시간 54분 만에 연결하는 강릉선이 건설되면서 첨단역사로 다시 태어난다. 아득히 높은 천장 아래 경포대의 해돋이, 50년 만에 핀 경포호 가시연이 그대로 재현되는 명품 갤러리로 돌아온 것이다. 새로운 강릉역은 야경의 아름다움이 더욱 특별하다. 어두운 밤하늘 아래 떠오르는 해돋이를 형상화한 역사는 강릉을 다녀간 여행객들에게 오랫동안 남을 추억이 될 것이다.

강원철도 공식 소개 문구
경강선, 동해본선의 철도역, 강원도 강릉시 용지로 176 (교동 118) 소재.

강릉선 개업 이래 강원도내에서 이용실적이 두번째로 좋은 역이다.[1][2]

사내에서도 청량리역과 더불어 가장 많이 밀어주는 역 중 하나이다. 수도권은 물론이고 저 멀리 경의고속선이 있는 신의주에서도 볼 수 있다.

동해선 열차는 속초발이나 울진발이나 대부분 이 역에서 시종착하나, 동해발 열차는 주문진까지 운행한다.

2. 승강장 [편집]

2.1. 강릉선·치악산선 [편집]

종착역[3]
초당
8
7
6
5
4
3
2
1
진부
시동
1
상행
2
3
하행
4
5
상행
6
7
8

3. 인접 정차역 [편집]

[1] 첫번째는 남춘천역이다.[2] 강릉역의 이용객은 연선인구가 더 많은 순천역, 목포역보다 많은 수치이다.[3] 동해본선과 연결되어 있다.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