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하역
최근 수정 시각: ()
德下驛
Deokha Station
Deokha Station
주소 | |||||
역 운영기관 | |||||
개업일 | |||||
1935년 12월 16일 | |||||
철도거리표 | |||||
동해본선 덕 하 |
1. 개요 [편집]
비대칭 박공지붕이 인상적인 역사, 새벽 기차 타는 소금 행상으로 북적
덕하역은 1935년 역사 신축에 이어 같은 해 12월 16일 동해남부선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이후 1941년 5월 옛 역사를 신축하였는데, 한쪽으로 치우친 박공지붕이 1930년대 동해남부선에 지어진 역의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어 매우 인상적이다. 매표소가 2곳이 있었을 만큼 장날이 되면 새벽 기차를 타려는 소금 행상들과 손님들로 북적였던 역사. 수도시설이 열악했던 옛날에는 역사 한 쪽에 위치한 우물이 덕하역사의 물이자, 지역주민들에게도 소중한 물이었다고 한다. 이후 2001년 역사 개보수를 거쳐 2021년 동해남부선 일광-태화강 구간 개통으로 옛 덕하역 바로 옆에 지어진 현대식 역사에서 새로운 시작을 맞이하게 되었다.동해철도 공식 소개 문구
2. 역 정보 [편집]
역 이름은 덕하역이나 실제로는 상남리에 소재해 있으며, 덕하리는 남남서 방향으로 약 1~2km를 더 가야 나온다. 역사를 이전해서 그런 것도 아니고 구 역사도 애초부터 상남리에 위치해 울산 남구와 얼굴을 맞대고 있었다.
이렇게 된 이유는 역이 개통된 1935년으로 거슬러 가는데, 당시 기준으로도 상남리 관내에 역이 신설됐으나 청량면사무소 소재지가 덕하리에 있었어서 덕하역으로 명명한 것이 시작이다. 덕하역이 세워지자 역을 중심으로 읍내가 발전했고, 나중에는 면사무소까지 상남리로 넘어올 정도로 청량면의 중심지가 상남리로 완전히 이동했다. 그러나 주민들은 딱히 상남리와 덕하리를 크게 구분하지 않고 덕하역에서 유래해 일대 중심지를 '덕하'로 통칭하면서 관습적으로 덕하라고 부르게 된 것. 역 앞 5일장도 상남리에 위치해있으나 오래전부터 덕하시장이라 불렀고, 인근의 약국, 아파트 등도 덕하에 있지 않지만 덕하라는 명칭을 붙인다. 현재는 상남리 관할 행정리에 신덕하1리, 신덕하2리 등 덕하라는 이름을 따온 지명까지 붙는 등 사실상 현지 거주민이 아닌 이상 이 곳을 상남리라고 아는 울산사람은 거의 없고 덕하로 통칭되는 중.[1]
구 역사는 상남리 523-3(덕하로 269-5)에 위치해 있으며, 1941년 5월 10일에 신축한 것이다.[2] 한때 새마을호가 부전 방면으로 1회 정차하기도 했으나 부전 방면으로 가는 무궁화호로 대체되었다.
울주군 지역이지만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 전 까지는 울산 시가지 중심인 공업탑 방면으로 가는 버스교통이 발달해서 이용객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었다. 덕하역 기차시간표를 보면 알겠지만 주민들 입장에서 2시간마다 오는 기차를 타고 가느니 버스타는 게 더 빨랐다. 광역전철 개통 이후로는 이용객이 늘었으나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
신 역사는 기존 위치에서 남서쪽으로 약간 이동한 상남리 553-15에 신축되었다. 2019년 6월 17일부로 타는 곳이 신선으로 이설되었으며 이 역부터 남창역 방향으로 선로 개량이 일단 단선 상태는 완공되어 이 역부터 남창역까지 이설된 선로로 운행하고 있다.
이렇게 된 이유는 역이 개통된 1935년으로 거슬러 가는데, 당시 기준으로도 상남리 관내에 역이 신설됐으나 청량면사무소 소재지가 덕하리에 있었어서 덕하역으로 명명한 것이 시작이다. 덕하역이 세워지자 역을 중심으로 읍내가 발전했고, 나중에는 면사무소까지 상남리로 넘어올 정도로 청량면의 중심지가 상남리로 완전히 이동했다. 그러나 주민들은 딱히 상남리와 덕하리를 크게 구분하지 않고 덕하역에서 유래해 일대 중심지를 '덕하'로 통칭하면서 관습적으로 덕하라고 부르게 된 것. 역 앞 5일장도 상남리에 위치해있으나 오래전부터 덕하시장이라 불렀고, 인근의 약국, 아파트 등도 덕하에 있지 않지만 덕하라는 명칭을 붙인다. 현재는 상남리 관할 행정리에 신덕하1리, 신덕하2리 등 덕하라는 이름을 따온 지명까지 붙는 등 사실상 현지 거주민이 아닌 이상 이 곳을 상남리라고 아는 울산사람은 거의 없고 덕하로 통칭되는 중.[1]
구 역사는 상남리 523-3(덕하로 269-5)에 위치해 있으며, 1941년 5월 10일에 신축한 것이다.[2] 한때 새마을호가 부전 방면으로 1회 정차하기도 했으나 부전 방면으로 가는 무궁화호로 대체되었다.
울주군 지역이지만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 전 까지는 울산 시가지 중심인 공업탑 방면으로 가는 버스교통이 발달해서 이용객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었다. 덕하역 기차시간표를 보면 알겠지만 주민들 입장에서 2시간마다 오는 기차를 타고 가느니 버스타는 게 더 빨랐다. 광역전철 개통 이후로는 이용객이 늘었으나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
신 역사는 기존 위치에서 남서쪽으로 약간 이동한 상남리 553-15에 신축되었다. 2019년 6월 17일부로 타는 곳이 신선으로 이설되었으며 이 역부터 남창역 방향으로 선로 개량이 일단 단선 상태는 완공되어 이 역부터 남창역까지 이설된 선로로 운행하고 있다.
2.1. 특징 [편집]
신역사 고상홈은 2면 4선 쌍섬식으로 지어졌다. 남창역, 망양역, 덕하역까지 3개역 연속으로 쌍섬식 승강장이 되었다.
구 역사에서 BBC 원작 OCN 리메이크 드라마 라이프 온 마스가 촬영되었다. 가상의 도시 인성시에 위치한 가상의 역 인성역으로 나온다.
신 역사가 나무를 활용해서 특색있는 디자인으로 조성했다보니, 마찬가지로 역사에 나무 디자인을 많이 사용하는 일본 JR 동일본의 흔한 시골역과 비슷한 분위기가 난다.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갤러리의 한 유저가 JR 간판을 합성했는데도 위화감이 조금도 없다.#
덕하역은 넓은 주차장을 가지고 있는데다 덕하역 진입로가 덕하시장 바로 옆에 있어 장날만 되면 주차하려는 차들로 주차장이 붐빈다.
위성지도로 보면 개운포역 방향에서 덕하역 진입 직전 선로가 분기되었던 흔적이 있다. 해당 사진은 2008년의 Daum 위성지도. 이 선로는 현재의 신정자동차전문학원과 GS한일주유소 사이를 지나 두왕천을 건넌 뒤 두갈래로 갈라져 각각 좌측의 울산석유화학단지로 들어갔던 것으로 보인다. 노반 상태를 보아 2005년 이전에 선로가 철거된 것으로 보인다.
울산광역시 시내버스 - 동해선 간 환승할인이 도입되고 배차간격이 짧아지면 덕하공영차고지와의 시너지 효과로 버스 - 광역전철 환승의 요충지가 되어 태화강역과 함께 울산구간 양대 역으로 흥할 가능성도 있다. 남구에 있는 역이 달랑 2개인 마당에 개운포역은 위치가 시망이라 사업성이 어둡고 남은 하나인 태화강역은 살짝 시가지 동쪽에 치우쳤다 보니 공업탑을 기준으로 남·북·서쪽에서 부산 방향으로 내려갈 땐 이 역까지 버스를 타고 와서 환승하는 것이 편한 위치이기 때문이다.
구 역사에서 BBC 원작 OCN 리메이크 드라마 라이프 온 마스가 촬영되었다. 가상의 도시 인성시에 위치한 가상의 역 인성역으로 나온다.
신 역사가 나무를 활용해서 특색있는 디자인으로 조성했다보니, 마찬가지로 역사에 나무 디자인을 많이 사용하는 일본 JR 동일본의 흔한 시골역과 비슷한 분위기가 난다.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갤러리의 한 유저가 JR 간판을 합성했는데도 위화감이 조금도 없다.#
덕하역은 넓은 주차장을 가지고 있는데다 덕하역 진입로가 덕하시장 바로 옆에 있어 장날만 되면 주차하려는 차들로 주차장이 붐빈다.
위성지도로 보면 개운포역 방향에서 덕하역 진입 직전 선로가 분기되었던 흔적이 있다. 해당 사진은 2008년의 Daum 위성지도. 이 선로는 현재의 신정자동차전문학원과 GS한일주유소 사이를 지나 두왕천을 건넌 뒤 두갈래로 갈라져 각각 좌측의 울산석유화학단지로 들어갔던 것으로 보인다. 노반 상태를 보아 2005년 이전에 선로가 철거된 것으로 보인다.
울산광역시 시내버스 - 동해선 간 환승할인이 도입되고 배차간격이 짧아지면 덕하공영차고지와의 시너지 효과로 버스 - 광역전철 환승의 요충지가 되어 태화강역과 함께 울산구간 양대 역으로 흥할 가능성도 있다. 남구에 있는 역이 달랑 2개인 마당에 개운포역은 위치가 시망이라 사업성이 어둡고 남은 하나인 태화강역은 살짝 시가지 동쪽에 치우쳤다 보니 공업탑을 기준으로 남·북·서쪽에서 부산 방향으로 내려갈 땐 이 역까지 버스를 타고 와서 환승하는 것이 편한 위치이기 때문이다.
2.2. 승강장 [편집]
3. 인접 정차역 [편집]
4. 역 주변 정보 [편집]
청량읍행정복지센터, 덕하시장, 울산덕하신일해피트리 아파트, 울산덕하한양수자인아파트가 있다.
동해고속도로(부산~울산)의 청량IC가 가장 가깝다. 덕하역에서 청량IC까지는 차로 3분도 걸리지 않는다. 재미있게도, 동해선 철도 덕하역은 덕하리에 없지만 동해고속도로 청량IC는 진짜 덕하리에 있다.행신역과 강매역 그러나 청량IC-덕하역 이후로 동해고속도로와 동해선 철도(둘 다 속초시 방향)는 울산광역시 시내 구간에서 서로 만나지 않는다. 동해고속도로와 동해선 철도는 청량IC-덕하역 이후로는 남경주IC-외동역까지 가야 서로 만난다. 동해고속도로는 울산 시내를 서쪽(다운동 - 범서읍)으로 우회하고 동해선 철도는 울산시내를 그대로 통과하여 경주시로 향하기 때문이다.
동해고속도로(부산~울산)의 청량IC가 가장 가깝다. 덕하역에서 청량IC까지는 차로 3분도 걸리지 않는다. 재미있게도, 동해선 철도 덕하역은 덕하리에 없지만 동해고속도로 청량IC는 진짜 덕하리에 있다.
4.1. 출구 정보 [편집]
1 | 청량읍행정복지센터 |
5. 연계교통 [편집]
- 덕하역/덕하시장(정류장 번호: 22103)
- 울산 버스 715 - 진하공영주차장행
- 울산 버스 735 - 화산보건진료소행
- 울산 버스 754 - 한솔그린빌행
- 울산 버스 1715 - 진하공영주차장행
- 울산 버스 울주11 - 망양역행
- 덕하역/덕하시장(정류장 번호: 22104)
- 덕하역(정류장 번호: 22109)
- 덕하역(정류장 번호: 22110)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