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양역

최근 수정 시각: ()
望陽驛
Mangyang Station
파일:DH_Wlogo.png동해철도
망양역
주소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 남창로 911 (망양리 483-3)
역 운영기관
파일:동해철도.png파일:동해철도_White.png
개업일
2021년 12월 28일
철도거리표
동해본선
망 양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
3.1. 승강장
4. 인접 정차역5. 역 주변 정보6. 연계교통7. 기타

1. 개요 [편집]

동해선 GH29번,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 남창로 911 (망양리 483-3).

2. 역 정보 [편집]

역이 위치한 망양리는 행정구역 상 온양읍에 해당하지만, 온양읍의 중심지인 남창에는 과거부터 이미 남창역이 운영되어 왔고, 이 역은 인근 지역인 온산읍 덕신리에 더욱 가깝다.

울주군청에서 2020년 2월 25일부터 3월 9일까지 가칭 망양역의 공식명칭 제정을 위한 주민 의견 수렴을 가졌다. #

2021년 12월 28일, 2단계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 및 망양역 신설로 교통 인프라가 열악했던 망양과 덕신[1]에서는 울산 시내 방면(덕하, 선암, 삼산)[2] 및 온양읍 남창리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남창역에서 굳이 환승 경유할 필요 없이 동부산[3], 해운대, 벡스코(BEXCO)센텀시티, 부산교대, 부전 방면으로 신속하게 향할 수 있는 선택지가 추가되었다.

인근의 온산읍 덕신과 온산국가산업단지의 교두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교통적 요충지로 활용될 전망이 크다. 실질적으로 이 역을 이용할 사람들의 대부분은 망양, 덕신 주민들 및 주변 공단 근로자들이다. 과거부터 역의 위치로부터 덕신 시가지가 꽤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4] 2단계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 후 울산 시내버스의 인근 지역 연계 교통을 확충할 필요성이 요구되었고, 현재는 덕신리 경유 시내버스[5]의 노선 기점이 덕하공영차고지로 연장되면서, 접근성이 기존에 비해 높아졌다.[6]

울산신항역으로 이어지는 화물철도인 울산신항선이 이 역에서 분기한다. 장유역이나 서원주역처럼 노선의 분기를 위해 여객영업이 개시되지 않더라도 먼저 개업할 가능성이 있었으나[7] 실현되지 않았으며 그 대신 2020년 9월 15일 울산신항선 분기점 개통으로 인해 제일 먼저 임시 신호소만 설치되었다.[8]

이 역의 북쪽으로 철도차량 경정비, 중정비를 모두 담당하는 부울경 최대 부지의 울산차량사업소가 있어서 막차를 비롯한 동해선 전철 일부 열차가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 때문에 부전발 망양행과 태화강발 망양행 편성이 존재한다. 최초 망양역 개업 시에는 외선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지 않아 바로 앞의 남창역(부전 발착)이나 덕하역(태화강 발착)에 종착한 뒤 공차회송으로 이 역을 통과했는데, 2023년 3월 1일부터 외선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됨에 따라 망양행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9] 물론 망양발 부전행, 망양발 태화강행 열차도 있으며, 만약 망양발 부전행을 이용한다면 일광역까지는 높은 확률로 앉아갈 수 있다. 시간표를 잘 확인하자.

남창역 방향으로 본선 이외의 주박선이 설치되었다. 일부 화물열차 유치선 확보 목적으로 구철로 부지를 활용하여 부설되었으며, 복선으로 가다가 종단점 앞에서 단선으로 합쳐지는 구조이다.[10]

2024년 12월 20일 이후로 중앙선 전구간 복선전철화가 완료되어, 울산 남구 태화강역에서도 준고속열차 KTX-이음이 정차하기 때문에 시간이 잘 맞으면, 이 역을 무정차하여 통과하는 모습을 생생하게 볼 수 있다.

3. 역 주변 정보 [편집]

LX하우시스 울산공장이 망양삼거리 너머에 바로 있다. 역 바로 앞에는 GS칼텍스 우진주유소, 프랜차이즈 커피점, CU 망양회야점이 있다. 또한 울산 울주군 남부통합보건지소, 망양2리회관, 망양회야리버아파트, 성우빌리지가 역세권에 해당한다.

3.1. 승강장 [편집]

남창
1
2
3
4
1
상행
당역 시·종착[A]
2
3
하행
4
당역 시·종착[A]

4. 인접 정차역 [편집]

5. 역 주변 정보 [편집]

청량읍행정복지센터, 덕하시장, 울산덕하신일해피트리 아파트, 울산덕하한양수자인아파트가 있다.

동해고속도로(부산~울산)의 청량IC가 가장 가깝다. 덕하역에서 청량IC까지는 차로 3분도 걸리지 않는다. 재미있게도, 동해선 철도 덕하역은 덕하리에 없지만 동해고속도로 청량IC는 진짜 덕하리에 있다. 행신역강매역 그러나 청량IC-덕하역 이후로 동해고속도로동해선 철도(둘 다 속초시 방향)는 울산광역시 시내 구간에서 서로 만나지 않는다. 동해고속도로와 동해선 철도는 청량IC-덕하역 이후로는 남경주IC-외동역까지 가야 서로 만난다. 동해고속도로는 울산 시내를 서쪽(다운동 - 범서읍)으로 우회하고 동해선 철도울산시내를 그대로 통과하여 경주시로 향하기 때문이다.

6. 연계교통 [편집]

7. 기타 [편집]

  • 망양역 인근 원동삼거리의 시내방향 차로에서는 원래 유턴이 불가능했으나, 망양역의 설립으로 차로가 5차로로 확장되어 시내방향 차로에서도 유턴이 가능해졌다.
  • 본래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 전에는 남창역덕하역 사이에 외고산역이 있었는데, 역 자체가 2010년 열린 세계옹기문화엑스포를 위해 지어진 임시승강장이라 엑스포 기간 종료 후 바로 영업을 중지하고 2014년 폐역됐다. 그런데 그 이후 남창역과 덕하역 사이에 망양역이 생기면서 망양역이 외고산역의 역할을 간접적으로나마 계승하게 됐다. 다만 외고산역은 옹기마을이 있는 고산리에 있었고, 망양역은 망양리에 지어졌기 때문에 거리 상으로는 2km 넘게 떨어져 있다.
  • 망양역에서 온산읍 덕신리로 가는 시내버스[13]를 이용하려면, LX하우시스 울산공장 앞의 버스 정류장이나 S-OIL 주유소 앞의 원동마을 정류장까지 걸어가서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1] 자가용 차량/자전거, 시내버스, 택시 등 개인 차량, 대중 교통 이용[2] 북구 북울산역의 연장 운행은 북울산역 승강장 공사 착공 지연으로 인해 늦춰지면서 2026년 9월에 개통완료를 목표로 진행 중이다.[3] 월내↔좌천↔일광↔기장↔오시리아↔송정[4] 직선거리 기준으로 망양역과 덕신동원아파트 정류장 사이는 대략 2km, 덕신소공원과 온산읍행정복지센터와는 대략 3km 부근이다.[5] 울산버스 518, 715, 725, 735[6] 망양역은 GS칼텍스 우진주유소 근처의 망양역 정류장에서 하차하여 건널목에서 도보 3분 거리에 위치해있다.[7] 안 그러면 4.4㎞나 더 멀리 떨어진 남창역에서 분기해야 하기 때문.[8] 다만 이 당시에는 역명은 고시되지 않고 비고란에 동해선 부산진 기점 56.580 km라고만 표기되었다.[9] 태화강발 망양행 열차는 1번 승강장에서 승객들을 하차시킨 뒤 다시 온 길을 돌아가 울산기지로 간다.[10] 사진[A] 11.1 11.2 울산기지 입·출고 열차 한정[13] 울산버스 518, 715, 725, 735
파일:ccl logo.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나무위키 망양역 문서의 r42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l logo.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나무위키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2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