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330 건 / 처리 시간 0.174초

의정부역

…경원선 KK10번. 경기도 의정부시 평화로 525 (의정부동 168-54) 소재.경기도 북부 지역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철도역이자, 명실상부 강원철도를 대표하는 주요 역 중 하나이다.이 역을 지나는 모든 운행계통은 이 역에서 착발하는 열차가 존재한다.교통카드 이용시 경전철의정부역과 환승할…

불광역

…당시 현 연신내역이 가칭 불광역이었다. 여담으로 3호선의 경우 본래 역번호는 12번을 쓰다가 2000년 역번호 전면 개정 때 정발산역에 해당 번호를 내줬으며[2] 2014년 원흥역이 개통되면서 해당 번호는 현재 마두역이 가지고 있다. 그리고 6호선에서 다시 12…

신림역

…이며, 구로디지털단지역은 애초에 동작구와 금천구, 구로구 사이에 껴서 신림동에서 가장 이질적인 조원동에만 약간 접해 있을 뿐이다. 심지어 조원동 중에서도 구로디지털단지역과 접한 서부 지역은 행정구역 개편 전에는 금천구 독산동 관할이었다.외선순환은 이 역부터 봉천역을 지나 서울대입구역까지 섬식 승강장이며…

신길역

…호선은 영등포시장에서 1호선과 최대한 가까이 붙었다가 여의도로 가야 하는 선형을 취하고 있기에, 5호선 신길역은 R=450의 급곡선 승강장을 가지고 있다. 1호선 승강장도 R=600 커브 위에 지어져서 급곡선 승강장을 가지고 있다. 1호선…

옥수역

…용문 방면응 봉1.8 ㎞ → 서울 지하철 3호선대화 방면금 호← 0.8 km<:>각역정차各驛停車하남시청 방면압구정2.1 ㎞ →[1] 2000년 이전에는 25번. 현재 3호선의 25번은 무악재역이 가져갔다.[2] 철도청 민영화 이전엔 K128번.

인천역

…시작한 역으로, 한국 최초로 생긴 8개 철도역 중 한 역이다. 경인선과 수인·분당선의 시종착역이며 1호선의 경우 대한민국에는 드문 두단식 승강장을 사용하고 있는 역이다.대한민국의 모든 철도역 중에서 가장 오래된 종점역이기도 하다. 대한민국 최초의 철도인 경인선, 그리고 서울…

복정역

…하지 않아 이 역만 영업하지 않고 무정차역으로 운영했다. 초기에는 비상등 외에 조명은 전부 꺼진 상태였고 감속 없이 가속으로 통과했지만 1996년 하반기 즈음에 일부 조명이 켜지고 감속운행을 하였다. 그리고 8호선 잠실역 - 모란역 구간이 개통…

고속터미널역

…방면사 평1.1 km →[1] 개정 전 29번. 현재 3호선의 29번은 종로3가역이 가져갔다.[2] 약칭이자 기존 정식명칭은 강남성모병원[3] 의과대학과 간호대학이 위치해있다.[4] 단, 뉴코아아울렛은 7호선에서 갈 경우에는 반포역이 더 가깝다.[5]…

창동역

…차역1. 개요 [편집] 1911년 경원선 개통과 함께 영업개시창동역은 1911년 경원선 부분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하였다. 당시 창동은 경기도 양주군에 있으면서 경성과 가장 가까운 역으로 경기 북부에서 경성으로 들어가는 중요한 관문이었다. 동시에 북으로는 함경남도 원산항을 잇고, 만주…

광운대역

…피어나고 있다.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화물취급도 했었기 때문에 구내가 굉장히 넓으며, 이렇다보니 서울 북부에서 가장 넓은 철도부지를 지니기도 했다. 2020년부터 화물량이 점차 줄어들고 있었다가 2022년 4월부로 공식적으로 화물 취급이 중단…

안인역

…업무며, 2010년 기준으로 연간 거의 100만 톤에 달하는 화물 취급을 하는 곳이다. 그런데 이러한 특성을 무시하고 이용객 수만을 가지고 언플을 한 것이다. 연간 80만 톤 정도 화물을 영동화력발전소에 전달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역이고, 여기…

동탄역

…인덕원선 DI27.2. 역 정보 [편집] 동탄1, 2신도시 입주민들이 교통분담금 명목으로 1가구당 500~1,000만 원씩 아파트 분양가에 포함하여 모은 1조 원 가량으로 만들어졌다.단순한 지하 시설을 넘은, 거의 지하벙커 수준의 규모이다. SRT와 수서동탄선을 타려면…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1983~1985, 2호선, 4호선 개통 초기)1976년 2호선 계획 당시에는 2호선 본선의 이명인 '을지로순환선'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을지로4가역에 이은 '을지로6가역'이었다. 그러나 개통 직전인 1983년에 역명을 '서울운동장역'으로 바꿔 개통하였다. 4호…

동작역

…동작역~이촌역 구간은 2.7km로 서울 지하철 4호선에서 역간거리가 가장 길다.이렇게 동작역과 이촌역의 거리가 멀어진 이유는 동작대교를 건너고 지하로 내려가 급드리프트 이후 서빙고로를 쭉 따라가서 도착하기 때문이다.사당행 열차는 이 역이 마지막 지상역이…

조치원역

…남쪽 공간에는 행정복합공간 및 북세종 상생돌봄지원센터가 조성되었다.조치원읍과 이웃한 도시 청주시와 공주시에서 가장 가까운 경부선 상 역이기 때문에 경부선 철도를 연계하는 관문으로 발전했던 만큼[5] 현재도 이들 지역에서 일반철도를 이용하기 위해 청주시 시내버스…

화서역

…[편집] 평소에는 한가한 역으로 보이지만, 출퇴근시간 및 주말에는 호매실지구와 정자지구같은 택지지구에 사는 주민들이 많이 이용해 역이 붐빈다.오래된 벽돌 모양의 가장 바깥 승강장의 벽면과 조화가 잘 되어 있다. 역사가 승강장 북편 끝에 있어 각각 10번…

익산역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호남에서 가장 바쁜 역익산역은 과거 이리역으로 불리던 역으로 1912년 3월 6일 호남선 및 군산선 개통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이 만나는 곳으로 호남의 가장 바쁜 역이다. 1977년 11월 11일 이리역 폭발사고 1년…

천안역

…역 정보3. 승강장4.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국가철도 6개 노선이 경유하는 분기역천안역은 1905년 1월 1일 경부선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 하늘 아래 가장 편안한 땅이라는 지명을 따라 이름 붙여졌다. 천안역은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과 수도권 전철 등 국가 철도 6…

경기광주역

…수 있는 광주지구축산농협과 직선 거리로는 1.1㎞ 거리. 이렇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철도가 없는 지역에 시가지가 만들어지다 보니 지상 철도가 들어갈 부지를 따로 만들지 않았기 때문이지만, 한편으로는 신설 역 주위의 개발을 유도하여 아직도…

양재역

…환승을 강조한(?) 주황색이다.3호선을 타고와서 신분당선 환승 게이트를 지나더라도 실제로 신분당선을 타고 가지 않으면 추가요금 1,000원이 지불되지 않으니 화장실이나 7~10번 출구로 가려면 안심하고 이용하도록 하자. 3호선을 이용하기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