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519 건 / 처리 시간 0.122초

산본역

…2000년대 초반에 오이도 방면으로 연장 설치되었다.고가 선로에 추가로 건설된 역 치고는 2면 4선식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제법 규모가 있는 역이다. 그 이유인 즉슨, 산본역을 회차가 가능한 시·종착역이나 중간 대피 선로의 목적으로 활용할 계획…

상록수역

…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일대가 심훈의 소설 〈상록수〉의 배경이자 인근에 최용신의 묘가 그대로 보존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특정 인물보다 소설의 제목이 더 적합하다는 철도청의 판단에 따라 상록수역으로 명칭을 바꾸어 문학작품을 역명으로 사용한…

정왕역

…었다. 종착역인 오이도역이 직전역인데도 불구하고 하행 배차보다 상행 배차가 더 뜸한 4호선/과천안산선의 특징과 사당역과 안산역에서 열차가 돌아가는 종착역 분산 때문에 출퇴근 시간을 제외하면 평균적으로 열차가 1시간 당 5대밖에 없었다. 현재는…

동대문역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 군자차량사업소로 입고하는 차량들은 이 역에서 종착역으로 기능하였다. 그러다가 신설동역 방향으로 입체교차선로가 나오기 직전에 동묘앞역이 생성됨으로써 동대문역 종착 기능은 사라졌다.이미 1970년대 후반에도 1기 지하철 계획 수립부터 4호선…

종로5가역

…있으나 스크린도어에 가려져 잘 보이지 않는다. 1980년대 초중반에 벽면 상단에도 타일을 마감하였다.1호선 종로5가역은 1호선 지하 구간 중 역명판이 서울남산체로 마지막까지 개정되지 않았던 두 역 중 하나로, 다른 한 역은 신설동역이다.↑ 동대문1…

고잔역

…운영이 시작되었다.언젠가부터 고대안산병원이라는 부역명이 붙었다. 1번 출구로 나오면 중앙대로 건너편에 위치한 고려대학교 안산병원이 바로 보인다.남서울철도 전동차 안내방송에서는 부역명(고대안산병원)까지 방송하지만, 서울교통공사 전동차에서는 고잔 역명만 방송…

영월역

…를 장착한 타워형 컴퓨터였다.[4] 하술했듯, 사진에 보이는 발전소 건물은 1998년에 활용이 중지된 후 각종 부속 등이 해외로 재매각되었고 최종적으로 2007년에 폭파해체되었다. 일제 시대 말기와 6.25를 치른 제1호기는 1970년대…

병점역

…대가 지나가면 인천행 두 대가 지나가기도 했고, 최악의 경우는 수원행이 1회 운행하고 인천 방향(인천, 부평, 주안 등) 열차가 연속 5회까지 온 적도 있었다. 게다가 신호 대기도 매우 잦았는데, 심지어는 2002년 2월 22일에 서울지하철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부천역

…년에는 수도권 전철 개통에 맞춰 선상역사를 신축하여 북쪽 출입구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1970년대 이미 6만 명이 이용하던 부천역 선상역사는 역사 협소로 인해 극심한 혼잡에 시달렸고, 결국 1980년에 부천역지하도상가와 연결되는 지하 맞이방을 새로 개설했다…

당정역

…만약 이때 대피선이 건설되었다면 군포역에 대피선을 건설할 필요가 없었을 것이다.역 내에는 던킨도너츠가 있었으며, 한때 폐점된 후 몇 년 동안 비어 있었지만 지금은 베이커리가 입점해 있다. 타임아웃, 모유 수유실 등이 있다.남서울철도 전동차 안내방송에서는 부역…

신대방역

…표기되어 있었으나, 2019년 8월 중순에 있었던 2호선 전체 구간 역명판 대개정 때 4개 국어 표기로 변경되었다.이 역부터 대림역까지는 지상 구간이다.사당 ~ 신도림 구간 중 출근 시간대 강남 방향으로 승차하기 비교적 편한 역이다. 경인선과 경부선…

보정역

…개통 전에는 오리행/보정행, 죽전역 개통 후에는 죽전행/보정행으로 이원화되었고 2024년 현재 보정역 배차간격과 별로 차이가 없었다.임시역사 시절 출퇴근 시간대 (구)보정역 일대는 사람들이 우르르 몰려다닐 정도로 꽤 흥했었고, 유동인구가 많다보니 역사…

남영역

…이라 부른다. 이 건물은 용산 방면 선로 바로 건너편에 있다. 바로 위의 1980년대 승강장 사진에도 한쪽 구석에 이 건물이 보인다. 역이 개통된 1974년에는 갈월동 동사무소가 존재했기 때문에 행정동 단위로도 틀린 이름이었다. 1977년에 법정동 갈월동의 일부 영역을 도로계획에…

가락시장역

…며, 암사방향의 경우 종착하는 막차는 없고[4] 첫차만 운행한다.3호선쪽의 수요가 꾸준하게 증가하는 와중에 옥의 티가 있는데, 3호선 승하차의 주출입구 역할을 하는 7번 출구쪽의 개집표기기가 고작 4대라는 점이다. 출퇴근…

주안역

…가 많다. 그리고 전도 사고가 일어지면 거의 전차선을 끊는다. 상행선 쾌속 마지막 열차인 부천행 쾌속 열차를 제외하면 평시에는 주안이나 부천에서 종착하는 열차는 존재하지 않는다.과거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중반까지 일부 인천지역 초, 중, 고등학교에서…

개봉역

…개봉2동 주민들은 개봉역과 반대방향인 개봉중앙시장 쪽 아니면 광명사거리 상권을 이용했기 때문에 오로지 전철 이용객 외에는 거의 유동인구가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였고 7호선 개통 전에도 대기업이 들어올 정도의 수요가 뽑히지는 않았다…

월곶역

…죽전역 이남으로는 없기 때문에 혼동될 여지가 없다.[5]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는 월곶역이 아닌 시흥철도차량정비단에서 회차한다. 다만 일부시간대에는 남서울철도 열차도 시흥철도차량정비단에서 회차할때도 있다.[회차] 수인·분당선 오이도행 열차와…

동묘앞역

…고, 1호선 동묘앞역은 2001년 11월 5일에 착공하여 2005년 12월 21일에 개통되었다.[4] 1호선 동묘앞역은 2000년대에 새로 지어진 역사답게 동시에 설계된 2호선 성수지선 용두역과 함께 내진설계가 반영되어 있으며…

시청역(서울)

…역명은 인근에 서울특별시청이 있어서 정해졌다. 서울 지하철 2호선이 순환선으로 대체되기 전인 1기 지하철 계획 시절부터 서울 지하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2호선의 환승역으로 기획되었던 역이다. 1호선 개통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초창기 2호선 계획이 백지화…

암사역사공원역

…로 되어 있다보니 굉장히 서행하여 운행한다. 반대로 암사역에서 이 역으로 주행할 때는 상대적으로 높은 속도로 운행하는 탓에 실제 시간표 상에서도 별내 방향과 모란 방향의 소요시간 차이가 난다. 암사역에서 암사역사공원역으로 올 때는 2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