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476 건 / 처리 시간 0.208초
남서울판교역
…하게도 블럭 한가운데 떡하니 위치해 있다. 동서남북 4방향 출구가 있는데 각 출구에서 대로까지 나가려면 걸어서 1~2분 정도 소요된다.이렇게 역을 설계한 이유는 LH가 판교신도시를 계획하면서 남서울판교역을 끼고 알파돔시티라는 거대한…
송내역
…이 아닌 남서울철도가 직접 투자했기 때문에 민자역사라 부를 수는 없고 '복합역사'라 부르는 게 적절할 수 있다. 남서울철도에서는 처음으로 시도하는 실험이었다는 것 같은데, 시행사가 어딘가 문제를 일으켜서 개장연기를 한 번 했…
종각역
…곡선. 실제 선형은 파란색 덧그린 선과 같다.[3]이 역과 시청역 사이에는 일명 '종각 드리프트'라고 불리는 급곡선 구간이 있다. 상행선(시청역 → 종각역)은 곡선반경 140R, 하행선(종각역 → 시청역)은 곡선 반경 136R인 구간으로, 이는 한국의 철도 노선 중 최저반경이다…
대야역
…따른 1명 근무지정역이며 역장 혼자서 근무한다.tvN 드라마 시그널 2화, 3화의 현풍역 기찻길이 이 역의 구 역사에서 촬영한 것이라고 한다.2021년, 군산시가 쌍도교통에 익산역 시종착 KTX를 대야역까지 연장해달라고 건의하였다. 이에 군산시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대청역
…실제로 역사 공간 규모가 동네 역 치고는 상당한데, 승강장을 자세히 보면 중간 부분이 좌우로 돌출되어 있는데 아마 이건 대청역 설계 당시 추후 환승역이 될 수 있도록 고려해 놓은듯 하다. 하지만 결국 수인·분당선 환승 기능을 하는 인근의 도곡역, 수서역이 너무 가깝다는 점…
불암산역
…지고 낙후된 느낌이 들며, 종로구 창신동이나 용산구 용문동 등 서울 내 다른 지역에도 있는 이름이라는 것이 개명 추진 명분이다. 기사해당 안건은 2024년 9월 23일에 서울시 지명위원회를 통과하였으며 # 이에 따라 2024년 10월 31일에 역명 변경 결정 고시가 올라와 공식…
남서울철도
…진행하곤 한다. 현재 남서울철도 기관사들에게는 이러한 안내방송이 하나의 전통으로 자리잡았다.구 철도청 진입음[17]을 현재까지도 애용하고 있다. 2020년대에 들어서도 신설되는 남서울철도 노선들에도 쓰인다. 중장년층들은 익숙하다는…
종합운동장역(서울)
…거리의 지하도인 아시아공원 앞 지하보도와 연결되어 있다. 다만 2호선 쪽에선 바로 갈 수 없고, 9호선을 통해서 가거나 1번 출구나 8번 출구로 나가서 직진을 해야 한다. 그리고 아시아지하보도에 지하철 타는 곳이라는 폴사인이 있기 때문에 몇몇…
의왕역
…한 의왕이라는 이름으로 변경하였으며 2007년에는 일제강점기 적용된 것으로 추정되는[오류] 거동할 의(儀), 왕성할 왕(旺)에서 고유지명인 옳을 의(義), 임금 왕(王)으로 한자를 변경하였다. 주황색 원통형 계단이 인상적인 역사로 철도 특구 도시의 역사답게…
방배역
…곡선이라 소음이 심하지만 서초역 사이보다는 덜하다. 효령로에서 남부순환로로 바뀌는 구간은 서초역으로 가는 구간보다는 곡선이 완만하다.2023년 기준 재설치된 스크린도어 시운전을 완료하였고, 정상가동 중이다. 개폐음은 5678호선에서 쓰는 개폐음…
역삼역
…강남 구간 중에서 유일하게 승강장이 지하 3층에 있다. 지상에 올라가 보면 이 역이 위치한 테헤란로가 강남역 방향으로 내리막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3. 역 주변 정보
[편집]
역 동쪽의 1~2, 5~8번 출구 쪽은 가파른 오르막길에 있어서 조금…
일산역
…일산역이 자리하고 있다. 일산역명은 일제강점기 면사무소를 옮기면서 큰 산을 뜻하던 한산마을의 고유 명칭 '한뫼'를 '크다'가 아닌 '하나'로 바꾸어 행정지명으로 사용한 것이 유래가 되었다고 한다. 다른 이야기로는 고봉산을 순…
천안아산역
…아산시 관계자가 '열어도 상관없음'이라고 하여 쌍도교통 측은 '네, 열겠습니다.' 식의 전격적인 조치를 한 것이다.[2]사진촬영을 하려면 먼저 역장실에서 허락을 받아야 한다.2009년 12월 한 철싸대가 무임승차로 이 역으로 온 다음 고속선을 걸어가…
중앙역(경기)
…선이라는 노선 이름이 부각되지 못할 것 같다는 철도청의 판단 하에, 최초 명칭이 원곡역으로 내정되었던 원곡동에 위치한 시종착 역명을 오늘날의 안산역으로 변경했고, 대신 1980년대 중반 당시 이 역 부지의 행정동 명칭이었던 중앙동의 이름을 따서 중앙…
가산디지털단지역
…거의 걷는 구간이 없다. 마찬가지로 1호선 하행도 상행선에서의 환승+경부선 복복선을 지나간다는 정도였다.구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관할 역(5~8호선) 중에서는 이 역이 이용객수가 가장 많다. 개통 이래 부동의 1위였던 광화문역은 가산디지털단지 일대 개발 후 단…
신도림역
…사회복무요원이 다른 일을 보는 사이에 끄고 뛰어 내려가는 이용객이 있다고 한다. 2012년 여름 공사를 통해 문래역 방향 쪽으로 나있는 2대의 에스컬레이터 중 노후된 3호기는 신형으로 교체되었고 4호기는 급한 일 있는 승객들이 걸어 갈 수…
송추역
…로 나들목 이름도 동네 이름이 아닌 송추IC로 정해진 것.교외선의 역사 있는 역들이 으레 그렇듯 1961년 교외선 개통과 함께 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2년 뒤인 1963년에 보통역으로 승격했으나 1984년에 다시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당했고, 같은 해에…
석계역
…데다가 유휴 부지가 있어 확장이 가능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쳤다.인천행 임시 승강장을 개설인천행 승강장 폐쇄 후 1호선 하행 열차를 망우선으로 우회1호선 하행 선로를 걷어내고 그 폭만큼 승강장을 확장확장 공사 완료 후…
범계역
…가장 이용객이 많으며, 4호선 승하차객 수 전체 6위로 상위권 자리를 차지한다. 평촌신도시의 상업 중심지이자 안양시의 새로운 교통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어서 이미 주변 지역의 개발이 완료되었음에도 2014년까지 빠른 속도로 이용객이 늘어났다. 2005년에 하루 이용객…
서동탄역
…내리실 문'이 '오른쪽 문'이라고 한다면 동탄행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단 천안행도 가끔 쾌속을 먼저 보내려고 좌측 선로로 들어가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때에는 차 내 전광판에는 내리는 문이 실제 열린 문과 반대 방향으로 표시되거나(이 경우 기관사가 진입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