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109 건 / 처리 시간 0.096초

영등포역

…지역이 경성부에 편입되며 1938년 청량리역과 함께 각각 남경성역, 동경성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가 1942년 다시 영등포역으로 돌아오게 된다. 한국전쟁의 발발로 1950년 역사가 파괴되어 1965년에 다시 지어졌고, 1990년 대한민국 최초로 민간자본을 유치하여 설립…

서울 지하철 1호선

…km/h지상구간없음통행방향좌측통행개통 연혁1974. 08. 15. 청량리 ↔ 서울2005. 12. 21. 동묘앞1. 개요2. 역사3. 역 목록1. 개요 [편집] 서울 지하철 1호선은 1974년 8월 15일 개업한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다.2. 역사 [편집] 서해철도(당시 철도청) 관할 구간과의 노선…

동국철도

…하면서 38선 이북과 이남 지역에 모두 노선이 있는 회사는 강원철도가 유일하다.[6] 인천공항선을 두고 강원철도와 마찰을 빚었으나, 인천공항선은 공동 출자로 하고, 서울역의 재래선 운영권과 서해선 전구간을 가져가는 조건으로 일단락되었다.

횡성역

…6 km →경강선(강릉선) 서원주역~강릉역 구간은 특급열차만 운행. 단, 서원주-만종 구간은 치악산선 열차도 운행한다.만종역~강릉역 구간 내에서 특급을 이용하는 경우 보통열차 운임 적용, 내일로 티켓 사용 가능.정차하는 특급열차의 종류는 하단의 인접 정차역 문단 참조주소강…

연천 버스 9980

…긴 노선은 물론이고 대한민국 시내버스 노선들중에서도 가장 긴 노선이다.역대 경기도 직행좌석버스 노선들중, 유일하게 수도권 밖으로 진출하는 유일한 노선이였으나 현재는 그 타이틀을 상실했다.현재 연천영업소 차고지가 포화상태인지라 대광리영업소로 이전하여 예전처럼 다시…

의왕역

…기준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가동 중이다. 갑종은 천안역이나 대전역에서 많이 찍거나 포인트를 찾을 듯하다.노인 인구가 많은 부곡동 특성상 노인 이용객이 많았는데, 상하행선 각각 작은 엘리베이터 하나씩 있는 게 전부이다 보니 시민들의 불만이 많았다…

두만강철교

…선교 표지석에 적힌 문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대한민국 나선시 선봉구 두만강동과 러시아 하산을 잇는 다리.두만강역과 하산역을 연결하기 위해 건설한 교량이며 두만강을 경계로 양국의 국경이 갈린다.2. 역사 [편집] 6.25 전쟁 중이던 1951년에 건설했다.[3] 처음에는 철교…

충청선

…16. 논산 ↔ 익산1. 개요1. 개요 [편집] 2008년 12월 15일에 개통한 경부본선 및 호남본선의 전철 운행계통으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전철 운행계통이다.[1] 경부본선 운행 계통.[2] 호남본선 운행 계통.[구간1] 3.1 3.2 천안 - 대전[구간2] 4.1 4.2 세천 - 김천, 중촌 - 익산

상왕십리역

…또한 동시기에 센트라스에 면한 1번 출구가 이설되었다. 2호선 본선 구간 중 이용객이 두 번째로 적은 역이다. 2011년까진 첫 번째였는데, 2012년을 기점으로 아현뉴타운 및 북아현뉴타운 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아현역에 밀려 두 번째가 되…

경복궁역

…에 출발하는 게 원래 시간표다.버스 노선을 보면 한국BRT에서 운행하는 708번과 노선이 유사하다. 광화문역까지 노선이 중복되며, 그 이후로는 1020번, 7018번 등, 경복궁역, 효자동으로 가는 노선과 완전히 중복된다.4. 승강장 [편집] 독립문 ↑ㅣ하상ㅣ↓ 안국상…

이매역

…다.[1]원래 1999년에 개통하려 했으나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2004년에야 개통되었다. 2000년 3월쯤 착공했다. 대한민국 지하철 지하 구간 중 영업 중인 두 역 사이의 터널 한복판에 역을 신설한 최초의 사례이다.승강장 디자인은 1차 개통 구간과 달리 비슷한…

독립문역

…무악동에 걸쳐 있다.2. 역 정보 [편집] 역명은 주변에 있는 독립문에서 따 왔다. 3호선 초창기인 1985년 7월 12일부터 동년 10월 17일까지 종착역이었다. 무악재역 방향으로 양 선로 중간에 열차 주박을 위한 유치선이 있어서 지금도 대화행이나 구파…

영동본선

…波), 전압강하 등에 의해 같은 섹션내 전기차량의 전기·전자기기 고장을 방지하기 위함이었다.3. 개량 [편집] 3.1. 동백산 ~ 도계 [편집] 대한민국 철도 노선 가운데 험한 축에 속하는 구간이다. 큰 고저차로 인해 일제강점기에는 한량 한량 분리해서 강삭철도(인클라인)로 오르내렸다. 그러다가…

노량진역

…역과 더불어 한국 최초의 철도역이자 기점이다.1899년 9월 18일 개업한 한반도 최초의 철도였던 경인선의 시·종착역이었다. 이후 1900년 한강철교가 개통되어 남대문역(현 서울역)까지 노선이 연장되면서 중간역이 되었다. 이후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경인선 구간 중…

동인천역

…앞에. 쯥. 그냥 뭉탱이로 있단 말이야.스트리머 케인경인선 GI60번. 인천광역시 중구 참외전로 121 (인현동 1-613) 소재.2. 역 정보 [편집] 경인선의 철도역으로, 경인선 첫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했다. 즉 대한민국 철도사의 First 8(1899년 역사상 처음으로 운행한 8개 역)중 하나이다. 각각…

수서역

…이 있다.수인·분당선 직결로 서울교통공사 차량은 다른 종착역 서울교통공사 로고송 풀버전 송출과 다르게 서울교통공사 로고송의 끝부분만 송출한다.[8]3호선은 일원역과 가락시장역 둘 다 수서역에서 2km 미만으로 떨어져 있으나, 수인·분당선의 수서~복정 구간은 분당선 구간…

상록수역

…남서울철도 구간 중에서 역간거리가 가장 긴 구간이다.4. 인접 정차역 [편집] 과천안산선당고개 방면산 본← 9.4 ㎞준쾌속準快速오이도 방면중 앙3.1 ㎞ →당고개 방면반 월← 3.7 ㎞각역정차各驛停車오이도 방면이 동1…

역곡역

…년 경인선 구로 - 부평 구간 2복선화에 따라 바로타 구조를 가진 역사는 쓸 수 없게 되었고, 이에 현재의 역사를 신축하여 선상역사가 되었다. 선상역사가 된 현재에도 북부역, 남부역이라는 명칭은 북부광장, 남부광장의 의미로 계속해서 쓰이고 있다.부천…

부평역

…역의 역구내 여행사에서 일반열차 승차권 구입 및 발매 가능하다.인천역과 함께 경인선 인천구간에서 TMO가 있는 역이었으나, 현재는 군용화물만 취급하는 화물전용 TMO로 운영되고 있다.2.0.2. 지선 [편집] 이 역에서 군부대로 가는 2개의 지선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