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370 건 / 처리 시간 0.194초

신대방역

…2] 서체는 서울시 디자인 정책의 서울서체를 사용하면서 디자인은 A4용지 스타일에서 완전히 탈피한 모습이다. 원래는 디자인서울 초기 양식을 반영해 한/영/한자만 표기되어 있었으나, 2019년 8월 중순에 있었던 2호선 전체 구간 역명판 대개정 때 4개 국어 표기로…

창동역

…슬라브 2층 역사였다. 1985년에 경원선 복선 전철 개통으로 역사를 신축 준공한데 이어 2005년 민자 역사 설립공사가 시작되며 2007년 임시역사로 이전하였으나 건설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공사가 지연되기도 했다.강원철도 공식 소개 문구경원선 HK16번, 서울 지하철…

하양역

…개시한 대구선의 역사로 1938년 광궤선 개량과 함께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옛 역사는 24㎡ 목조 건물로, 인근에 위치한 동촌역과 닮은 모습이었는데 2001년 현대식 건축으로 다시 지어졌다. 이후 2021년 대구선 복선전철 사업과 함께 새롭게 준비중인 하양역…

석계역

…년 1월 14일6호선2000년 8월 7일철도거리표용산 방면신이문← 1.4 ㎞경원본선석 계안변 방면광운대1.1 ㎞ →1. 개요2. 역 정보2.1. 수도권 전철 1호선(경원선)2.2. 서울 지하철 6호선2.3. 역명 분쟁2.4. 환승3…

청량리역

…갈아탈 때에 요금을 다시 내야 했다. 경원선 용산-성북 구간 수도권 전철이 개통된 1978년 12월 9일부터 민자역사와 환승통로가 완공 전(2010년 8월 19일)까지 32년 가까이 별개였다. 그러다 민자역사를 건설하면서 환승통로를 공사하기 시작했…

판교역

…다른 순수 도시철도역인 신분당선 판교역과 달리 장항선 판교역은 일반열차만 운행하고 있었기에 큰 문제가 없었다. 나중에 남서울철도가 운영하는 경강선이 판교역을 경유하기 시작했음에도 당시 경강선 판교~여주 구간은 수도권 전철만 운행했기 때문에…

중앙본선

…탓인데, 이는 일반열차의 단선 구간 지연이 상당히 많다 보니 짜놓은 다이어도 무용지물이 되는 사태가 많았다.그래도 각종 선로와 신호개량을 통해 이런 혼란은 잠시 줄어들었으나 강릉선 운행으로 인해 선로용량 포화는 물론 지연도 늘었다.[12]3.1. 근성…

대전조차장

…을 지나야 운행할 수 있었다. 그렇다 보니 당시 호남선·전라선 연선을 오가는 이용객들의 불만이 쌓여갔다.[5]1980년대 경부고속선 계획 초기에 둔산신도시의 수요를 겨냥해 이 역을 KTX 전용역으로 하려는 계획이 있었다. 물론 정책상 KTX가 한…

부성역

…다가 2018년 경부터 다시 부성역 신설에 대한 주장이 지역 정치인들로부터 나오기 시작했다.[10] 2019년 6월 9일 수도권 전철 부성 지역 외 2개 지역 역(驛) 신설 사전 타당성 검토 연구 용역을 발주하면서[11] 부성역 신설을 다시 추진하기 시작했고[12]…

수원역

…본선경전선호남선전라선장항본선충북선용산·서울 방면8 경부선각역정차쾌속통근쾌속안양·용산·광운대 방면93번 승강장은 서울역~천안 간 통근쾌속 외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배선에 있는데, 3번 승강장은 수원역 진출입 시 일반열차가 다니는 1선을…

대방역

…수도권 전철 1호선 [편집] ↑ 노량진4ㅣㅣ32ㅣㅣ1신길 ↓1 경부선쾌속[경인]동인천 방면2쾌속[경인]용산 방면3완행·쾌속[경부]구로·인천·동탄·천안 방면4완행·쾌속[경부]용산·광운대·의정부·동두천 방면2021년 2월부터 스크린도어 개량공사를 진행했었다.3.2…

제천역

…기사에 따르면 이미 2014년 12월에 설계 용역을 발주했고 올 7월 즈음해서 공정에 들어갈 것이라고... 우선은 신축과 더불어 역 구내 전체를 가로질러 강제동 일대와 역이 위치한 영천동을 하나로 잇는 육교까지 건설할 계획이라고 지난 7일 주민설명회에서 밝혔다…

영등포역

…고속열차 접근성 면에서 수혜를 보았다. 1호선을 타고 구로역에서 또는 7호선을 타고 가산디지털단지역에서 광명셔틀 열차로 갈아탈 수 있었지만, 경강선의 월곶-판교 구간 연장과 함께 폐지되었다. 특히 광명역과의 거리가 매우 먼 서구, 계양구 등 인천 북부지역은 인천…

동탄역

…인덕원선 DI27.2. 역 정보 [편집] 동탄1, 2신도시 입주민들이 교통분담금 명목으로 1가구당 500~1,000만 원씩 아파트 분양가에 포함하여 모은 1조 원 가량으로 만들어졌다.단순한 지하 시설을 넘은, 거의 지하벙커 수준의 규모이다. SRT와 수서동탄선을 타려면…

이문차량소

…이후 중앙선이 용문역까지 수도권 전철로 개통되자 중앙본선은 용문차량사업소를 새로 지어서 옮겨갔다.원래 2009년에 용문차량소를 완공하려 했는데 티스푼 공사로 인해 2012년 4월에야 완공시켰다. 그러나 용문차량소가 유치 및 경정비만 담당하기 때문에 이후…

성균관대역

…로 2149 (율전동 495-2) 소재.[1]2. 역 정보 [편집] 1979년 2월 1일 율전역(栗田驛)이라는 이름으로 영업을 개시한 수도권 전철 최초의 중간 추가역으로, 1984년 1월 1일에 근처의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에서 따와 성대앞역(成大앞驛)으로 역명…

모란역

…기 전까지 수도권 전철 환승역 중 서울시 바깥에서 환승하는 역은 금정역, 모란역, 부평역, 계양역, 대곡역 5개 뿐이었다. 2010년 이후가 되어서야 정자역(2011년), 원인재역, 부평구청역, 회룡역(이상 2012년), 기흥역, 수원역(이상 2013년), 구리역, 별내역(이상 2024년) 등 비서울 수도권 전철 환승역이 대거 추가…

범계역

…법정동은 그대로 호계동이지만 행정동은 1992년에 범계동으로 명명되었다. 평촌신도시 전체가 안양시의 여타 지역과 달리 법정동과 행정동 명칭이 서로 다르다.[2]건설 당시에는 8개 출구가 있었지만, 2008년에 범계역에서 뉴코아아울렛 평촌점 방향으로 4-1번 출구가 개설…

금정역

…경부선 부설 당시에는 없었던 역으로, 안산선 개통과 더불어 1988년 수도권 전철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역명은 어느 곳이나 파기만 하면 물이 잘 나와 물 긷는 여인들의 옷을 적신다는 뜻의 동명의 지명에서 유래하였다. 처음 역이 만들어질 당시…

춘양역

…[편집] ↑ 녹동ㅣ12ㅣ법전 ↓1 영동본선하행분천·양원·철암 방면2상행봉화·영주 방면3. 인접 정차역 [편집] <rowbgcolor=#f5f5f5,#373a3c> 영동본선영주 방면봉 화← 23.2 km[특급] 동해산타열차[特急] 東海산타列車강릉 방면분 천21.4 ㎞ →영주 시발봉 화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