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213 건 / 처리 시간 0.178초
죽전역(경기)
…었고, 죽전역으로 가는 선로는 원래 본선에서 옆으로 빠져나올 예정이었던 차량기지 인입선이었다. 당연히 차량기지 인입선은 속도를 신경 쓸 필요가 없었기에 선형 자체가 불량했다. 애초에 분당 이남의 연장 선로도 전 구간 지하로 건설될 예정이었다. 예정대로…
과천안산선
…공사가 지연되는 바람에 1993년 인덕원역 ↔ 금정역 구간만 먼저 개통했고, 이 당시에는 안산선처럼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일부로 운행했다. 6량 편성 셔틀열차가 인덕원역에서 안산역까지 운행하는 방식이었다. 1994년 4월 사당역 ↔ 인덕원역 구간이 개통하…
대공원역(경기)
…따왔다. 개통 초기부터 2024년까지 병기역명은 서울랜드로, 서울대공원에 딸린 서울랜드에서 따온 것. 남서울철도 관할구간 중 신창(순천향대)역 처럼 대공원역의 병기역명은 서울랜드였다. 현재는 병기역명이 해지되었다.이용객들은 기본이자, 원칙적으로 서울대공원과 서울랜드, 국립과천과…
판교역
…선의 단선 운행, 굴곡진 노선, 배차간격이 긴 여객열차로 장항선을 경유하는 철도 교통이 쇠퇴했고, 서천군의 인구 감소로 인해 이용객이 급속도로 감소되었다.2008년 11월 28일에 장항선 직선화 1단계 공사로 인해 현 위치로 이설되었다. 이설되면서 지은 신…
시청역(서울)
…대 이후로는 절전 문제로 전원을 모두 차단한 상태이다.1, 2호선 공동 유실물센터가 위치하고 있다. 유실물센터 전화번호는 02)6110-1122이다. 단, 서울 지하철 1호선 구간인 지하 청량리역 - 지하 서울역 구간만 관할한다. 청량리~서울역 구간이 아닌 남서울철도 구간은 구로역…
영종대교
…하부 다리로만 절반 이하의 속도로 통행을 허용한다. 운전자 입장에서는 히스테리급의 빡센 구간단속이 답답할 수는 있겠지만 저 강풍을 뚫고 과속하다가 차가 날아갈 위험에 빠지는 것보다는 훨씬 나으니 완화의 가능성은 크지 않다.위의 사건 사고 여파…
보정역
…구간 서울 지하철 4호선의 급행화 사업의 B/C가 2.8이었는데 이를 뛰어넘은 것이다.[3] 물론 역 주변의 혐오시설의 가로막긴 했지만[4] 물론 수지구 북부 주민들은 그냥 오리역을 이용했다.[5] 단 급행은 보정역을 정차하지 않기 때문에 다음 역인 죽전역에서…
압구정역
…차로처럼 쓰기는 한다.) 3호선이 지상으로 올라가는 구간이라 철거도 불가능하다. 한때 3호선을 위한 철로고가만 남기고 자동차고가를 전면 철거해서 진입부를 성수대교처럼 바꾸자는 이야기도 나왔지만, 공사기간 동안 생길 어마어마한 교통 정체등을 고려한 결과 무산되…
태백본선
…구간 수요(제천 ~ 영월, 영월 ~ 태백)는 제법 높다. 병행하는 38번 국도가 4차로로 개량되었지만, 영암고속과 화성고속이 운행하는 시외버스의 요금이 3만원 가량으로 무궁화호(청량리-태백)요금의 2배 이상이고, 시간 차이도 크지 않기 때문에 절반은…
을지로3가역
…가까운 구조라서 2호선 을지로4가역 방면 승강장 끝 쪽에서 약간 긴 통로를 따라 걸어야 3호선 승강장에 도착하는 구조이다.강북구간에서 2호선과 3호선이 만나는 유일한 역이기 때문에 환승 수요도 꽤 높지만 강남에 있는 같은 2-3호선 환승역 교대역에…
신당역
…관련 시설은 건설지에 일절의 언급도 없으며, 10호선 도심 구간의 선형이 제대로 표기된 자료도 없어서 서울역과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청량리역에서 환승한다는 정보만 있었을 뿐이다. 미래철도 DB의 자료에 따르면 10호선의 도심 구간은 을지로부터 신당역까지 2호…
서대전역
…역이 발전하며 역도 함께 성장해왔다. 1969년에 지어진 2층 짜리 모던박스형 옛 서대전역은 2004년 KTX 개통과 함께 내부 천장부와 전면에 대형 유리창을 설치하여 쾌적하고 세련된 모습의 현대식 역사로 탈바꿈하였다. 새의 날개 형태를 형상화한 역사…
성환역
…95.7㎞/h이었고, 두정-평택 또한 89.3㎞/h이고 역간거리는 각각 33.5㎞, 18.6㎞이었다. 수도권 일반 전동열차 중 표정속도가 가장 빠른 수도권 전철 경강선의 최고 주행속도는 110㎞/h, 표정속도는 69.3㎞/h이며, 평균 역간 거리도 평택역-성환역 간 거리의 절반 수준이다.
합정역
…서울 지하철 2호선
[편집]
1984년에 영업을 개시하였다.성수대교 붕괴 사고 후 한강에 건축된 교량들의 안전성을 정밀 시험한 결과 당산철교의 전면 재시공 결정이 내려졌고 따라서 당산역과 이 역간의 노선이 1997년부터 1999년까지 한시적으로 끊기게 되었다…
하남선
…공사는 전구간을 5공구로 나누어 1공구(상일동 시점~강일역~서울시계)는 서울시 도시기반시설본부, 나머지는 경기도 건설본부에서 주관하였다.2018년 개통을 목표로 했지만 공사가 지연되어 하남풍산역까지의 1단계 연장 구간은 2019년 6월로…
온수역
…흔할 정도로 엄청난 수요를 보이며, 각역정차 또한 경부선 계통과의 중복 구간(구로~광운대)에서의 신호대기와 더불어 신도림역과 온수역에서의 승하차 지연 때문에 출퇴근시간대에는 정시운행 자체가 어려운 실정이다.둘째로는 환승통로 문제이다. 위의 수용 능력 문제와 더불어…
당산역
…운행 중단 후에도 최소 3개월은 철교의 외형, 트러스 부분은 유지되었다.[3]당산철교는 1997년 1월 1일부터 1999년 11월 21일까지 전면 재시공되었으며, 이 기간에는 당산철교를 잇는 당산역, 합정역 그리고 유치선이 있어서 회차가 쉬운 홍대입구…
잠실역
…T자 혹은 +자 형태로 만날 수 있다.그러나 잠실역 인근은 하중도를 매립한 연약 지반이라[6] 터널식 공법이 불가능하고 개착식 공법으로만 공사를 진행해야 했는데 이 경우 인근 주민들의 생활도로인 올림픽로 35길[7]을 몇 년 동안 전면 통제해야 했다…
수서역
…무려 30개 가까운 역을 관리하였으나 조직개편으로 경기광주역이 경강선 역사들을 담당하게 되었다.[5] 수서역-오금역 구간 연장[6] 그리고 4번 출구는 좁은데다가 절반은 계단이기 때문에 무거운 짐을 끌고 이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7] 수인·분당선의 대모산입구역…
서울역
…33㎡의 단층 목조 건물로 처음 문을 열었다. 1923년 경성역으로 이름을 바꾸고, 약 3년간의 공사를 거쳐 1925년 스위스 루체른 역을 모델로 한 르네상스와 바로크 절충 양식의 역사(현, 문화역서울284)가 준공되었다. 1947년 서울역으로 명칭을 변경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