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423 건 / 처리 시간 0.092초
삼척해변역
…삼척해변역의 역사도 이와 비슷하다. 삼척해변역은 삼척역과 함께 1944년 2월 11일 후진역이란 이름의 역원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당시 후진역은 출퇴근하는 직장인들과 학생들을 실어 나르는 완행열차가 오가던 작은 간이역으로 삼척역의 여객…
구절리역
…영업이 중단되었고 여객열차는 한동안 정선역까지만 운행했다.2004년 2월 10일에 복구공사가 완료되어 영업을 재개하였고 2004년 4월 1일부로 운행등급 개편으로 통일호에서 보통열차로 등급이 전환되었다.2004년 9월 22일 철도청고시…
쌍용리역
…태백·동해 방면(직통 영월·정선·아우라지 방면)4. 인접 정차역
[편집]
■ 태백선제천 방면제 천← 18.3 ㎞쾌속快速아우라지 방면영 월16.4 ㎞ →제천 방면입 석← 4.6 ㎞보통普通동해 방면연 당7.6 km →[1] 그래서 거의 화물역이라 역무원들이 엄청 고생했다고 한다…
비동역
…5. 인접 정차역
[편집]
<rowbgcolor=#f5f5f5,#373a3c> 영동본선영주 방면분 천← 4.2 km보통普通철암 방면양 원2.0 ㎞ →[1] 지명유래: 봉화군 소천면사무소[2] 국토교통부고시 제2014-170호, 철도거리표 중 개정[3] 아마 추락사 방지인 듯.[4] 일반열차, 관광열차 운행 조정 알림(2022.07.21)@
묵호역
…개요2. 역 및 승강장3.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서울 광화문의 정동쪽묵호역은 1961년 5월 5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 현재의 역사가 지어진 것은 1988년 12월 15일이다. 1939년부터 삼척의 무연탄을 묵호항으로 반출하기 위한 묵호항선의 종착역이다. 까만…
양원역
…원곡마을 주민들의 염원으로 탄생한 작은 역사. 영동선의 양원역이 바로 그곳이다. 양원역은 세계에서 가장 작은 역사라는 타이틀 말고도 한 가지 타이틀을 더 가지고 있다. 바로 국내 최초의 민자 역사라는 것이다. 정식철도역으로 등록되지 않은 역사이지만 무궁화호가 오고…
병점역
…군포시로 편입됐으며, 현재의 화성시 일대에 한정된 영역으로 간주하면 최초의 전철역이기는 하다.병점 ~ 오산 구간은 원래 삼미동 쪽으로 방향을 크게 트는 곡선이었다. 하지만 당시 수원 ~ 천안 간 2복선화 사업을 진행하면서 1번 국도 서쪽의 고가 선로…
도화역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2001년 쑥골 고가교 아래 신설, 쑥골역으로 불려도화역은 2001년 11월 30일 경인선 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기존 경인선에는 없던 역으로, 1995년과 1996년 제물포역과 주안역 사이 쑥골 고가교 아래 부근에 역사 신설을 요구하는…
강매역
…경의·중앙 완행선3.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자연의 흐름을 담아낸 환경 친화적인 역사강매역은 1974년 경의선 행주역(임시승강장)으로 처음 영업을 시작, 역원 무배치간이역으로 승격하였다가 1976년 현재의 강매역으로 역명을 변경하였다. 2009년 경의선 복선전철 개통으로 행신역과 통합…
양수역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1939년 개업, 한때 화재로 역사 소실되기도양수역은 구불구불한 철길 위로 완행열차가 오가던 곳으로 1939년 중앙선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1970년 원인을 알 수 없는 화재가 발생하여 역사와 대합실, 각종 비품들까지 모두 타버리는…
세종대왕릉역
…1. 개요
[편집]
철도역, 한글을 입다.세종대왕릉역은 경기도 여주시 세종대왕면에 위치한 역으로 2016년 경강선이 개통하면서 영업을 시작하였다. 역명에서 찾아볼 수 있듯이 약 3km 정도 거리에 조선 제4대 임금인 세종대왕과 소헌왕후의 능, 영릉…
명학역
…개통과 함께 개업한 경부선 늦둥이명학역은 안양시 만안구에 위치한 경부선의 전철역으로, 1974년 역사 신축 준공에 이어 같은 해 8월 15일 수도권 전철 개통과 동시에 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당시 역사는 533.3㎡ 규모의 철근콘크리트 슬라브 지상 2층 건물로…
제물포역
…들이 다수 생겨나면서 통학 수요 때문에 역을 신설할 필요가 생겼다. 지역 민원에 힘입어 1957년에 고시가 뜨게 되었고, 숭의동 방면에 목조 역 건물을 1959년 3월에 준공하여 그해 7월에 영업을 시작하였다. 이후 경인선 주안 - 동인천 구간 복선화에 맞춰…
직산역
…가 있다. 2001년 고상홈으로 플랫폼이 개량되면서, 2선 바깥쪽에 저상 임시 승강장을 만들어 일반열차를 취급했다. 일반열차를 취급하던 2004년경에는 경부선상에 있는 역임에도 장항선 통일/무궁화호(무궁화호는 통일호 폐지 후 정차)만 정차했다. 해당 열차…
송추역
…국립공원 송추계곡에서 왔다. 송추계곡 송추계곡에서 이름을 따 와서 송추역이 생겼고, 이후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나들목 이름도 동네 이름이 아닌 송추IC로 정해진 것.교외선의 역사 있는 역들이 으레 그렇듯 1961년 교외선 개통과 함께 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하…
서정리역
…준공되었으며 이듬해 수도권 전철이 개통, 인근에 국제대학교와 고덕신도시가 들어서면서 주한미군의 평택기지가 이전하였다. 그리고 2015년 지제역과 서정리역 사이 삼성 반도체 평택캠퍼스가 조성되기 시작하여 다시 제2의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다.남서울철도 공식 소개…
홍성역
…승강장4.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조형물을 닮은 수려하고 웅장한 역사홍성역은 1923년 장항선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2008년 12월 장항선 개량사업으로 선로가 직선화되면서 현재의 역사로 신축 이전하였다. 홍성의 상징인 조양문을 형상화…
화서역
…으로 영업을 개시했다. 1981년 경부선 서울-수원간 복복선이 개통하며 승강장을 한차례 이전하였으며 1989년 4월 역사를 개축하였다. 당시 역사는 109㎡ 규모의 116㎡ 부대건물을 갖춘 철근콘크리트 슬라브 지상 2층 건물로, 3개의 여객 승강장 고상홈이 있…
마차리역
… ■ 태백선 직통 태백·영월·제천 방면)2하행신기·동해 방면3미사용 승강장44. 인접 정차역
[편집]
■ 영동선·■ 태백선철암·제천 방면하고사리← 3.5 km보통普通동해 방면신 기5.4 ㎞ →[1] 고사리역으로써의 개업일로, 고사리역이 늑구리로 이설된 이후 1967년에 하고사리역으로…
안양역
…역 정보3. 승강장4.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역사와 문화가 숨 쉬는 공간안양역은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옛 시흥의 작은 시골 동네였던 안양, 그러나 역과 함께 도시가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인구 증가, 역사 노후에 따라 여러 차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