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생역(r1)

해당 리비전 수정 시각: ()
[주의!] 문서의 이전 버전(에 수정)을 보고 있습니다. 최신 버전으로 이동
西生驛 (艮絶串)
Seosaeng Station (Ganjeolgot)
파일:DH_Wlogo.png동해철도
서생역
(간절곶)
주소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화산발리로 1 (화산리 1236-4)
역 운영기관
파일:동해철도.png파일:동해철도_White.png
개업일
1957년 11월 1일
철도거리표
동해본선
서 생
1. 개요2. 역 정보3. 전망4. 승강장5. 인접 정차역6. 역 주변 정보
6.1. 출구 정보

1. 개요 [편집]

동해선 GH27번,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화산발리로 1 (화산리 1236-4).

울산광역시울주군의 최남단 역으로, 부전역 방향에서 동해선을 따라 올라온 열차는 이 역부터 울산광역시에 진입한다.

2. 역 정보 [편집]

1999년 11월 3일에 역사가 철거되고 간이승강장이 설치되었다.

구 역사 시절 역 진입로는 2군데에 있었는데, 하나는 승강장 옆으로 바로 들어가는 길이 있고 다른 하나는 오솔길을 통해 철길을 건너야 하는 길이었다. 또한 S자의 철로를 볼 수 있는 것이 특징이었다. 특이하게 승강장에 민가가 있었는데 2016년 7월 들어 복선전철화 사업의 일환으로 부지가 매입되어 철거되었다. 서생역 승강장과 역명판도 사라졌다.

2021년 12월 28일 동해선 광역전철 2단계 구간인 태화강~일광 개통에 2선 승강장으로 갖추어져 있다.

2025년 8월에 부역명으로 간절곶이 추가 되었다.

3. 전망 [편집]

서생역의 수요가 다른 역들처럼 큰 폭으로 증가할지는 미지수이다. 동해선 기장군~울주군 구간의 역들이 대부분 한 읍면의 중심지쯤 되는 지역에 세워지는 반면, 서생역이 위치한 명산리는 인구가 겨우 400명 정도이며 서생면의 면소재지인 신암리나 지역 관광지인 진하해수욕장이 있는 진하리, 간절곶이 위치한 대송리 등 수요가 나올 법한 지역과도 멀기 때문이다.[1]

게다가 진하해수욕장은 굳이 대중교통으로 간다면 오히려 다음 역인 남창역에서 가는 게 편하고, 면사무소가 있는 신암리 역시 전 역인 월내역에서 가는 게 더 편하다. 월내역에는 기장3번과 함께 37번도 다니기 때문이다.

물론 간절곶이나 진하해수욕장으로 가는 연계 교통인 버스를 확충하여 수요처를 확보 및 보완할 수 있다. 간절곶을 거쳐 진하까지 약 11km정도가 나오는데 이정도라면 2대정도의 버스를 가지고 약 30분 간격으로 운행이 가능하다. 게다가 이미 1715번이 20~30분 정도의 배차간격으로 다니고 있어 시간연동만 잘 해놓으면 간절곶, 진하일대로 가는 관문지 역할을 수행하는데 큰 무리는 없을 듯 싶다.

그런데 1715번은 남창, 서생, 월내 다 가고 남창역이나 월내역은 추가로 버스가 더 있기 때문에 1715번을 확충해도 서생면 대부분이 남창역, 월내역에서 내려서 가는 게 더 편하다는 상황은 바뀌지 않는다. 서생역이 편해지면 남창역이나 월내역은 더 편해지는 식이다. 1715번이 남창역이나 월내역을 안 가도록 조정하지 않는 한, 굳이 서생역을 이용할 메리트가 있는 건 역 바로 근처에 있는 일부 리 뿐인 셈이다.[2]

하지만 이는 지자체의 의지만 있으면 해결이 가능하다. 그리고 교통편을 의도적으로 조정하여 거점역으로 만들어 버리는 방법도 있다. 예를 들어 간절곶, 진하행 마을버스를 서생역에서만 탑승이 가능하게 하는 방식이다. 그러면 1715번도 저 두 곳을 가지 않느냐고 하겠지만 일단 저 노선은 장거리를 운행하는 탓에 배차간격이 심하게 널 뛰는 경향이 있다.

서생역 동남쪽 1~2㎞ 지역에 한국수력원자력 인재개발원과 새울 원자력 본부(상업운전중 2기, 건설중 2기), 국제원자력대학원 등이 단지를 이루고 있으며 동쪽 2~3㎞ 지역에는 정부의 2015년도 투자선도지구로 선정된 에너지융합산업단지[3]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또한 서생역 바로 옆에 31번 국도의 국도대체우회도로가 2018년 3월 7일에 개통해 해운대에서 20분, 온산공단에서 10분내 접근이 가능한 대도시 근교지역으로 변모하였다. 따라서 접근성의 획기적 개선과 더불어 인근에 원자력단지와 에너지융합산업단지 등이 조성되고 간절곶이나 인접 지역간 연계 교통망도 확충되면 서생역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4. 승강장 [편집]

월내
1
2
남창
신역사 승강장은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으로 지어졌다. 동해선 광역전철의 울산시 구간 중, 개운포역과 함께 상대식 승강장을 가진 2개역 중 한 곳이다.

역 구내에 8퍼밀의 구배가 있다.

5. 인접 정차역 [편집]

6. 역 주변 정보 [편집]

역 바로 앞에 SK에너지 구동주유소, 모닝할인마트 서생점, 서생농협 구동지점, 서생농협 농산물 간이집하장, 서생농협 농산물 저온창고, 울주군 화산보건진료소, 세븐일레븐 울산서생화산점이 있으며, 조금 멀긴 하지만 역 주변에 새울 원자력 본부한국수력원자력 인재개발원이 위치해있다.

6.1. 출구 정보 [편집]

1
서생[5]
[1] 7km 이상 떨어져 있다.[2] 다만 현재 1715번은 길천삼거리에서 월내역 방향으로 가지 않고, 정반대편에 있는 고리원자력 방향으로 간다. 월내역으로 가려면 도보가 필요하다.[3] 다만 산단의 위치가 너무 외진점, 울산의 주력산업인 조선업불황, 문재인정부의 탈핵기조, 인근 기장군에서 대량의 산업용지를 분양하여 미분양부지가 발생하는 등 악재가 겹쳐 2017년 7월 현재 에너지융합산단의 용지분양율이 5%로 극히 저조하여 산단건설을 재검토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논란속에서 분양대금으로 공사를 해야 하지만 들어온 계약금이 없으므로 울주군이 예산을 투입하여 가까스로 착공하였다.[4] 진입방법은 애견훈련소 진입로로 들어가다가 중간에 구 철길 하고 만나는 지점이 있는데 그 곳으로 들어가면 된다. 지금은 폐쇄되어 있다.[5] 서생농협,명산초등학교
파일:ccl logo.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나무위키 서생역 문서의 r43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l logo.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나무위키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3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