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사역

최근 수정 시각: ()
長沙驛 (南亭)
Jangsa Station (Namjeong)
파일:DH_Wlogo.png동해철도
장사역
(남정)
주소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 진불2길 26 (장사리)
역 운영기관
파일:동해철도.png파일:동해철도_White.png
개업일
1962년 1월 1일
철도거리표
동해본선
장 사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4. 역 및 승강장5. 인접 정차역

1. 개요 [편집]

이야기가 샘솟는 역사(驛舍)
2018년 동해선 개통과 함께 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한 장사역. 긴 백사장 때문에 긴 불, 또는 장사라 이름 붙은 마을 이름에서 유래한 역답게 가까운 곳에 해수욕장이 위치하고 있는 바닷가역이다. 장사역은 많은 이야기를 담아내고 있는 이야기 역사(驛舍)로 특별한 볼거리가 가득한 공간이다. 장사의 바다와 기암절벽은 신라시대 <삼국유사> 헌화가가 탄생한 곳으로 알려져 있는데, 역사 앞에 세워진 조형물이 헌화가의 탄생 배경을 전하고 있다. 아름다운 바다는 때론 누군가에겐 눈물 나는 추억을 떠올리게 한다. 역사 앞 '망각의 전화'는 망각이라는 선물과 함께, 그 지워진 기억만큼 아름다운 바다와 또 다른 추억을 선물한다.

동해철도 공식 소개 문구
동해본선의 철도역.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 진불2길 26 (장사리) 소재.

2. 역 정보 [편집]

역명인 장사(長沙)는 순우리말 땅이름 '진불'을 한자로 훈차한 지명이다. '진불'은 '긴 벌'을 영동,영남사투리로 일컫는 말이다. 사투리로 '길다'를 '질다'라고 하며, '벌'은 '불'이라도도 하는데 고대 삼한, 삼국시대 지명도 벌伐, 불弗, 화(불)火 등의 한자로 기록이 남아있다.

역의 위치는 남정면 소재지 바로 옆이고 인근에 장사해수욕장이 있어서 입지는 나쁘지 않다. 초기계획에 따르면 신호장으로 건설될 예정이었으나 여객취급이 확정되어 보통역으로 개업하였다.[1] # 대합실과 매표소 건물을 짓지 않고 무인 간이역으로 운영되어서[2] 지역에서는 관련시설을 갖출 것을 요구하고 있다.

3. 역 주변 정보 [편집]

역 바로 앞에 남정중학교, 남정초등학교, 남정중학교병설유치원이 있다.

이외에 남정우체국, 남정파출소, 남정면사무소, 남정보건지소, 한국농어촌공사 영덕울진지사남정주재소, 장사리사무소가 역 주변에 있다. 한국도로공사 포항영덕건설사업단 3공구 현장사무실도 있다.

6.25 전쟁 당시 장사 상륙 작전이 있었던 곳으로, 역에서 멀지 않은 장사 해변에 장사상륙작전 전승기념관과 전승기념공원이 세워져 있다.

4. 역 및 승강장 [편집]

월포
1
2
강구
1
상행
2
하행

5. 인접 정차역 [편집]

보통
普通

[1]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428호[2] 승차시 차내에서 승차정리권을 발권 후 하차 시 승차정리권과 운임을 정산하는 방식. 승차권이 있다면 승차권을 운임함에 넣으면 되며, 교통카드를 이용하는 경우 버스처럼 열차 내 카드 단말기에 태그하면 된다. 유인역에서 승하차 하는 경우 차내가 아닌 역 개표구에 태그하면 된다.
파일:ccl logo.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나무위키 장사역 문서의 r24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l logo.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나무위키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4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