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432 건 / 처리 시간 0.16초
남영역
…만 선로 아래에 있는 선하역사이고, 승강장이 위치한 부분은 일반 노반이다. 남영역 승강장 바로 옆의 골목길을 따라가 보면 선로 쪽이 높다란 축대인 것을 알 수 있다. 승강장이 지상 2층 이상에 있는 역인데도 고가역이 아닌 드문 경우이다. 이 역이 생기기 훨씬…
교대역(서울)
…이다. 대한민국 국내 지하철역 중에서는 최초로 대학 이름이 붙은 사례이다. 역이 건설되던 강남구 소재 역 당시 이 역 주변의 랜드마크가 될 만한 곳은 서울교대[3]밖에 없었을 뿐만 아니라 동네 이름인 서초를 쓰려 해도 이미 현재의 서초역이 계획, 건설중이었고, 그…
을지로입구역
…이나 주요지점이 많아서 역 구내에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의 ATM이 동시에 설치돼 있다. 모두 공동망 제휴기기가 아닌 입금까지 가능한 은행 자체기기로 은행들이 이 역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VAN사 제휴까지 포함하면 도보 5분…
외대앞역
…기존 1번 출구를 폐쇄하고 6월경부터는 1번 승강장과 1번 출구를 평면으로 연결하는 공사를 진행하면서 어느 방향이든 열차를 타기 위해서는 무조건 계단을 올라가 2층 대합실을 경유해야 했던 비효율적인 동선이 상당 부분 해소되었다…
불암산역
…고 8월 보도에 따르면 노원구 지명위원회가 당고개역을 불암산역으로 개명하는 안건을 통과시켰다. 특히 일대 재개발 후 새로 들어온 주민들이 적극적으로 역명 개정을 요구했는데, 이는 당고개라는 이름은 잘 알려지거나 쓰이지 않았던 이름이고[5] 민간 신앙과 관련…
선바위역
…원래 인근 양재천 시냇가 한가운데 서 있던 선바위가 없어져서 가장 비슷한 바위를 가져와 세워둔 것이다.이 역과 남태령역 사이에는 절연구간이 존재한다. 이 역 출발과 동시에 당고개 방면 열차는 시속 75km까지 가속해서 절연구간과 꽈배기굴을 넘어서 남태령역에 도착한다…
하남선
…경전철 사업을 1995년에 민간투자사업으로 지정했으나, 당시에는 참여하려는 기업이 없었다.한편 서울특별시와 강동구는 강동역 대신 상일동역을 경전철의 종점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하남시의 강동-하남 경전철 구상과 대립했다. 서울시와 강동구가 상일동역 노선안을 지지…
온수역
…서울 지하철 7호선4.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역곡역과 오류동역 사이 긴 거리 때문에 탄생온수역은 1988년 1월 16일 역사 신축 준공과 동시에 경인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기존 역곡역과 오류동역 사이의 구간이 길고, 지역 내 거주하는 지역민이 증가…
노량진역
…산천초목이 모두 움직이는 것 같고 나는 새도 미처 따르지 못하더라." 1899년 9월 19일에 발행된 독립신문은 시속 20km로 노량진과 인천을 달리던 경인선 열차를 보고 이와 같이 표현했다. 한강철교가 완공되기 전 노량진역은 경인선의 시종착역으로…
개봉역
…줄이 세워지던 역이지만 7호선이 개통되고 나서 광명시 방면의 승객들이 광명사거리역과 철산역으로 분산되어 유동인구가 줄어든 것이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경인로에서 거리가 멀고 심지어 경인로변에는 영등포 교도소가 버티고 있는 데다가 남부역쪽 개봉2동 주민들…
삼척역
…과거 삼척화력발전소에 석탄을 공급하는 것이었으나, 발전소 폐쇄 이후 연탄공장에 석탄을 공급하고 삼척항에 시멘트를 공급하던 기능을 수행했다.봉황산터널 부근의 선로에서 바다방향까지의 오십천 제방의 일부가 노반의 흔적으로, 지금은 자전거 도로로 용도…
오이도역
…이고, 대신 역 3층[1]에 스낵 코너, 타임아웃, 사회적기업 Store36.5가 입점한 상태이다. 2번 출구에서 역전로로 가는 길에 푸드컨테이너가 들어서, 역 1층 공간이 활용될 가능성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정왕4동주민센터가 역에서 10분 거리에 있고…
월곶역
…#039;월곶포구역'으로 변경을 요구했다.[1] 그러나 결국 확정된 역명은 원안이었던 월곶역. 월곶포구 상인들은 바로 이웃에 있는 소래포구에 비해 밀리면서 관광객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월곶포구역 역명 변경을 통해서 악화일로에 있는 포구 상권 번영을 노렸으나, 현실은 월곶포구가…
동묘앞역
…동선이 다소 꼬여 있다. 서로의 승강장은 별도의 지하 통로 2개를 통해 드나들 수 있다.1호선 동묘앞역은 다른 1호선 역에 비해 승강장이 상당히 넓은데 본래 이 공간은 종로를 지날 예정이던 1970년대 초기 양택식 서울시장 재임 당시의 지하철 5호선 건설…
안산역
…1937년 8월 5일 수인선이 개통하면서 원곡역이 영업을 개시하였다. 급수대가 설치되었던 기차역으로, 이후 1988년 10월 25일 안산선 개통과 함께 현재의 안산역이 영업을 시작하면서 옛 수인선 원곡역이 1994년 폐지되고 안산역과 통합하게 되…
능길역
…으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2020년 9월 12일 수인·분당선 직결 운행 개시와 함께 3년 2개월 만에 준쾌속 정차역에서 제외되었으며, 동시에 서해선 환승역이자 향후 KTX의 정차역이 될 초지역에 정차하도록 조정되었다.3. 과거 역명 문제
[편집]
3.1. 온천 없…
영종대교
…틱 케이슨은 브루클린 다리에서 사용된 공법으로 과거에는 인부들이 빈번히 잠수병에 걸리는 공법이었다. 영종대교의 경우 인부대신 로봇들이 들어가서 작업하였다.영종대교는 보이는 것과 같이 2층 구조를 하고 있다. 광안대교는 차량만 다니는 2층 교량이지만…
서동탄역
…불편 해소가 주 목적이었다. 기존에는 동탄신도시에서 전철을 타기 위해 시내버스를 이용해서 최소 20분 이상 병점역까지 이동해야 해서 추가역 건설에 대한 민원과 차량기지 인근 지역의 차량기지 소음 문제와 관련된 보상 민원이 끊이지 않았고, 화성시가 민원을 해소하기…
병점역
…는 쾌속 열차를 먼저 보내는 등 두 열차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들어오는 경우가 아니라면 천안 착발 완행 열차도 1, 4번 승강장으로는 들어오지 않는다. 다만 가끔 동탄행 남서울철도 열차가 (보통 앞서가던 천안행 열차가 지연이나 고장으로 타절했을 때)…
세마역
…교동 244-5) 소재.2. 역 정보
[편집]
경부선 수원~천안 2복선 전철화 당시에 신설된 역이다. 1995년 2복선 계획이 입안될 시기에는 당시 존재했던 병점역과 오산역 사이에 현재의 세마역에 해당되는 '죽미역'이라는 역을 신설하기로 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