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738 건 / 처리 시간 0.346초

제기동역

…했다. 원래 정릉천은 산업화 이전 시대에 시공된 강둑 간의 너비는 50m를 넘길 정도로 상당히 넓었다. 이 때문에 대합실 구조도 여느 역과는 차이가 있는데, 승강장 위 하천이 지나는 지점을 중심으로 동서 양쪽에 대합실을 만들어놨다. 이 때문에 서쪽의 1, 5…

신설동역

…1호선과 2호선 성수지선이 신설동역 지하 3층의 유령 승강장에서 직결된다.[3]4. 인접 정차역 [편집] 서울 지하철 1호선청량리 방면제기동← 0.9 ㎞쾌속快速천안 방면동묘앞0.7 ㎞ →동두천 방면제기동← 0.9 ㎞각역정차各驛停車인천…

신촌오거리역

…인접 정차역7. 주변 교통1. 개요 [편집] 서울 지하철 2호선 240번.[1]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촌로 지하90 (창전동 146) 소재.원래 노고산동 소속이었으나 행정구역 정리 과정에서 2018년 창전동에 편입되었다. 원래 노고산동이 신촌역 로타리 육각형 부분을 전부 다 차지하고 있어서 신촌역이…

성신여대입구역

…편집] 역명은 인근에 성신여자대학교가 있어서 붙여졌다. 병기역명은 '돈암'인데, 정작 법정동으로서나 행정동으로서나 이 역은 돈암동에 있지 않다. 돈암1동은 길음역 쪽에 거의 붙어 있으며, 돈암2동은 이 역의 역세권이긴 하지만 역 북서쪽으로…

성수역

…성수지선을 이용하면 4분 정도 걸리지만, 중랑천 통과로 인하여 버스 또는 차량을 이용하면 20분 정도가 걸린다.이 역의 각 승강장에서 대합실로 내려가는 계단에 적힌 뛰지맙시다 문구에 지하철체가 잘 보존되어 있다. 이 문구는 종로3가역 1호선 인천/신창 방면 ↔…

사당역

…차량을 대체할 우진산전 신차가 전 편성 직류전용으로 발주된 것 자체가 직류전용 차량 때문에 사당행이 존재함을 부정하는 것이다.또한 2023년부터 삼성왕십리라인이 정부과천청사역~금정역 구간을 과천안산선 선로로 운행하는데다 인천발 KTX도 오이도역~…

합정역

…는 경쟁 노선인 경의·중앙선과 인천국제공항철도가 있다. 물론 그 노선들을 환승할 수 있는 디지털미디어시티역이 막장환승으로 악명이 높지만 디지털미디어시티역에서 6호선과 경의·중앙선 간 환승은 개념환승이다. 공항철도 환승은 경의·중앙선과 공항철도 간 환승보다 낫지만 6호선도 썩 좋…

홍대입구역

…대역 섬식 승강장 너비만큼 상대식 승강장 폭을 매우 넓게 지었다. 이 역은 유일하게 전동차 안에서 열차와 승강장 사이가 넓다는 방송을 한다.3.3. 경의·중앙 완행선 [편집] ↑ 가좌1ㅣㅣ2서강대 ↓1 경의·중앙 완행선고양·일산·개성 방면2용산·청량리·용문 방면4. 인접…

공덕역

…29)6호선서울특별시 마포구 백범로 지하200 (공덕동 439)남서울철도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지하300 (공덕동 458)역 운영기관경의·중앙 완행선인천공항선5호선6호선신안산선개업일5호선1996년 12월 30일용산선2012년 12월 15일6호선2000년 12월…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인접 정차역 [편집] 서울 지하철 2호선시청·홍대입구 방면을지로4가← 1.0 ㎞외선外線내선內線왕십리·잠실 방면신 당0.7 ㎞ →<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5f5f5,#373a3c> 서울 지하철 4호선당고개 방면충무로← 0.7…

신도림역

…기지1 2호선영등포구청·홍대입구·시청 방면 당역 출발 (문래 방면 출고 열차)2사당·강남·잠실 방면 일부 당역 출발 (대림방면 출고 열차)3양천구청·까치산 방면 당역 종착 (대림에서 온 열차)4당역 출발 (대림 방면 출고 열차) 일부 열차 당역 종착 (문래에서 온 열차)== 인접…

오류동역

…에서 시/종착하는 열차가 있었으며 주로 서울지하철공사 차량으로 운행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1990년대 후반까지도 소수의 하행 오류동행이 있었다. 현재는 구일역 교량 개량공사 때마다 가끔씩 인천발 구로행을 오류동행으로 행선을 변경하여 운행한다…

대방역

…있다.대방역 1~4번 출구는 본래 역 출구가 아니라 1991년 7월에 완공된 대방역지하보도로[1], 그 이전의 대방역은 노량진로 남쪽 방향으로 출입구가 없었기 때문에 대방역과 노량진로 남쪽을 연결하기 위해 마련된 지하보도이다. 신역사 건립 후 대방역 5번…

노량진역

…일 인천역에서 진행된 경인선 개통식에 참석하기 위한 귀빈들을 태우기 위한 열차가 노량진역(영등포 위치 임시역사)에 도착한다. "화륜거의 소리는 우레와 같아 천지가 진동하고 기관차의 굴뚝연기는 하늘 높이 솟아오르더라. 차창에 앉아서 밖을 내다보니 산천초목이…

송내역

…승강장4.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소통의 광장과 물안개분수가 만드는 무지개송내역은 1974년 수도권 전철이 개통하며 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1983년 보통역 승격하였는데, 당시 역사는 141㎡ 규모의 아담한 철근콘크리트 슬라브 2층 선상 역사였다. 1998…

가산디지털단지역

…일대 개발 후 단 한 번도 가산디지털단지역을 넘어선 적이 없다. 역 자체 승하차 수요(가산디지털단지 통근 수요)뿐만 아니라 인천광역시, 부천시, 광명시와 안양시, 군포시, 의왕시, 수원시, 화성시, 오산시, 평택시, 천안시 등 지역 간의 환승객도 많아서 무척 혼잡한 역이다. 경부선 전철의 역사는 서울 지하철 7호선 방향 환승…

능길역

…3.1.2. 온천 개발 [편집] 오랫동안 한다고 말만 나오던 온천 개발 사업은 지금도 여전히 말만 나오고 있다. 2021년 4월 23일 박태순 안산시의회 도시환경위원장 주최로 개발사 측이 참여한 간담회가 열렸다. # 박 의원은 앞서 2020년 12월 27일 제267회 제2차…

석계역

…석계역의 인천 방면 승강장 바닥 타일을 보면 세로로 줄이 가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폭만큼 승강장이 확장된 것이다. 4등분된 팔각형 타일이 승강장 바닥 전체에 깔려 있었는데, 군데군데 떨어져 나간 부분이 있었다. 확장공사를 하면서 이 타일들을 전부 뜯어내…

스크린도어/종류

…는 당연히 승강장을 완전히 밀폐시키고 공조시스템을 일일이 추가하려면 돈이 많이 들기 때문.[5] 녹동역은 과거엔 상하식 스크린도어였다. 즉, 반밀폐로 교체된 시기는 2016년.[6] 특히 2호선이 이런 경우가 믾다. 1호선은 밀폐형이 더 많은편이다.[7] 세종…

과천안산선

…이 당시에는 안산선처럼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일부로 운행했다. 6량 편성 셔틀열차가 인덕원역에서 안산역까지 운행하는 방식이었다. 1994년 4월 사당역 ↔ 인덕원역 구간이 개통하며 과천선이 완전 개통하게 됐고, 서울 지하철 4호선 ↔ 과천선 ↔ 안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