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230 건 / 처리 시간 0.267초

중앙역(경기)

…니, 안산선 초기 기획 당시의 역 명칭은 반월출장소(당시 행정구역)에서 따온 반월역 혹은 안산시에서 따온 안산역이었다.[1] 하지만 이 역은 안산선의 시종착역이 아니었기에 행선지 측면에서 안산선이라는 노선 이름이 부각되지 못할 것 같다는 철도청의 판단 하에…

신길역

…복선 시절부터 녹지가 철도 사이에 있어 부지 확보가 비교적 용이했으나, 그럼에도 승강장을 만들 공간이 부족하여 경부선과 노들로 사이 완충녹지를 매입하고 현재의 1호선 역사 자리에 있던 영등포로의 경부선 육교(신길고가교)를 서쪽으로 이설해 교각 사이 길이를…

부천종합운동장역

富川綜合運動場驛Bucheon Stadium Station남서울철도부천종합운동장역고양 방면원 종← 2.1 km서해선SO15홍성 방면소 사2.7 km →◀ 경의 쾌속선 직통◀ 교외선 직통장항 쾌속선 직통 ▶인천대입구 방면부 평← 7.7 km제2경인선PJ13용산 방면신도림9.1 km…

신촌오거리역

…지역본부대흥역 방면7서강대교 방면신촌삼익아파트8동교동삼거리 방면4. 일평균 이용객 [편집] 본래 신촌역은 1996년에 잠실역과 강남역에 이어서 전국 지하철 역 승하차 이용객 수 3위(140,324명)였다. 그러나 기존 신촌과 서울시청 방향 다음 역인 이대역 주변의 상권의 몰락과 더불어 홍대 상권의 성장…

시청역(서울)

…는 방향 구분없이 먼저 오는 열차를 타도 되지만 내선 맨 앞 칸(1-1)으로 간 후 을지로3가에서 3호선으로 갈아타는 것이 좋고, 이게 정석이다. 을지로3가역 환승 위치도 2 → 3호선은 시청과 동일하다.또한 시민청이라는 곳을 통해서 바로 을지로입구역으로 갈 수…

대전조차장

…명칭을 맞바꿔 정리한다. 대전선은 경부선의 지선으로 취급된다. 2.2. 특징 [편집] 대전조차장역은 핵심 노선이 합류하고 갈라지는 역이므로 만약 이 역에서 열차 사고가 발생하거나 역이 적으로부터 공격을 받으면 수도권과 한반도 남부와의 철도교통이 단절된다. 호남선이 우회하려면 호남고속선…

강변역

…입구·성수·왕십리·시청 방면내잠실·교대·사당·신도림 방면5. 인접 정차역 [편집] 서울 지하철 2호선왕십리·시청 방면구 의← 0.9 ㎞외선外線내선內線잠실·강남 방면잠실나루1.8 ㎞ →[1] 개정 전 14번.[2] 강변역의 행정구역은 구의동이지만 이전…

별내별가람역

…하지만 '별가람'은 단순한 마을명으로 인지도가 높지 않고 이런 식으로 순우리말 마을이름을 붙인 경우가 전국에 적지 않다는 걸 생각하면, 훨씬 인지도가 높은 별내신도시의 이름을 앞에 붙인 것이 외부에서 인지하기에 효율성 측면에서도 낫…

의왕역

…당시 행정구역은 수원군 일왕면 삼리였지만 역명은 인근 지역인 시흥군 남면 부곡리(현 군포시 부곡동)에서 따왔다.부곡역 개업과 함께 철도 관련 인력이 거주할 철도 관사가 일왕면 삼리 일대에 조성되었고, 오늘날 부곡이라 불리는 의왕역 인근 시가지는 이 철도관사를 중심으로 발전하…

영주역

…지역 관리역으로 변경되었다.4. 승강장 [편집] 종착↑ 영일↑ 북영주|12|||34||56||78|반구 ↓종착문수 ↓1 경북본선상행점촌·상주·김천 방면2미사용 승강장3 중앙본선상행풍기·단양·제천 방면45하행안동·의성·영천·동대구 방면67 영동본선하행봉화·분천·철암…

길음역

…강북횡단선과의 환승역으로 예정되어 있으며 4호선 측에는 급행화를 위해 대피선이 지어질 예정이다. 관련 보고서(p.928 참조)1992년에는 국민대의 요구를 받아들여 '국민대입구'라는 병기역명이 붙을 뻔했으나[3] 이에 대해 서경대가 강력히 반발해…

신이문역

…에 결국 [시니문]이 맞다.만일 지역명이 처음부터 "新里門"이었다면 [실리문]으로 발음될 수 있으나, 이때는 표기 자체가 '신리문'이 된다. 신례원(新禮院)역이라는 유사 사례가 있다.부역명은 한국예술종합학교이었으나 부역명 계약기간 만료로 해지되었다…

중동역

…하는 역이다.3. 승강장 [편집] ↑ 부천↑ 통과부천 ↓ㅣ12ㅣㅣ34ㅣ↑ 송내통과 ↓송내 ↓1 경인선각역정차구로·광운대·동두천 방면2쾌속당역 통과34각역정차부평·주안·인천 방면4. 인접 정차역 [편집] 경인선서울 방면부 천← 1.7 km<:>…

경부본선

…1일소유자남서울철도[1]쌍도교통[2]운영자노선 제원노선연장441.7km[3]궤간1,435mm선로구성6 (서울 ~ 용산)(2복선+2단선)6 (용산 ~ 구로)4 (구로 ~ 두정, 부산진 ~ 부산) 3 (동대구 ~ 가천)(1복선+1단선)2 (두정 ~ 동대구, 가천 ~ 부산진)급전방식단상 교류…

고잔역

…교각도 4선으로 확장 가능하게 놓여있는 흔적을 볼 수 있다.3. 승강장 [편집] ↑ 중앙1ㅣㅣ2초지 ↓1 과천안산선상록수·금정·명동·당고개 방면1 수인·분당선수원·서현·선정릉·청량리 방면2 과천안산선초지·안산·능길·오이도 방면2 수인·분당선능길·인천…

이동역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1937년 수인선 협궤열차 역사인 일리역이 전신2020년 부터 수인선과 안산선 분기역으로 역할한대앞역은 1937년 8월 수인선의 협궤열차 역사인 일리역으로 처음 영업을 개시하였다. 당시 역명은 주변 지역명인 일리에서 따온 것이다. 1988년 안산선이 개통…

건대입구역

…하차 동선을 철저히 구분했는데[8], 2호선에서 7호선으로 갈아타는 승객들은 지금의 온수/석남 방향 승강장 방면 환승통로를 이용해서 내려간 뒤 1-1 옆의 계단을 내려간 다음에 비로소 장암/도봉산 방면 승강장으로 갈 수 있었다. 즉 이 때는 2호선 구역에서 …

노원역

…하므로 비용 절감을 위해 4호선을 상계역부터 창동역까지 지상으로 올라오도록 설계하고 중간에 창동차량사업소를 설치했다. 1980년대 초반 4호선이 계획될 당시 상계역, 당고개역 인근은 달동네주택 밀집지역이라도 있었지만 노원역 인근은 위 사진처럼 허허벌판 수준이었다…

사당역

…는 이유는 직류전용 차량이 교류 구간을 운행하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오래간 철도 동호인과 시민들 사이에서의 정설이었다. 물론 틀린 말은 아니기는 하지만 이는 원인과 결과가 뒤바뀐 주장이다. 직류전용 차량이 교류 구간을 운행할 수 없…

가산디지털단지역

…기 전에도 혼잡했지만 1호선 자체만으로는 부천, 인천 방면으로 직접 연계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7호선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 덕분에 이 역만 지나면 하행 열차 맨 뒷칸은 상당히 한산해지는 편이다.하행 기준으로 이 역부터는 청량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