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346 건 / 처리 시간 0.123초
호포역
…고 이곳은 밀려났다. 그리고 같은 노선의 2단계 개통으로 다시 서생역~남창역 구간이 1위가 되었다.[3] 역명판 개정 전까진 역번호도 안 적혀 있었다.[4] 물론 지금은 양산신도시 조성이 활발히 진행되어 예전보다 수요가 많아졌다. 도시철도 역이 가까운…
평양역
…방면순 안23.1 ㎞ →서울 방면대동강← 2.6 ㎞경의본선평 양신의주 방면경 흥2.7 ㎞ →기점평원본선평 양고원 방면경 흥2.7 ㎞ →기점평남선평 양평남온천 방면보통강3.9 ㎞ →기점평덕선평 양구장 방면대동강2.6 ㎞ →…
단양역
…편집]
1942년 4월 1일 경경선의 마지막 구간인 제천-영주 구간이 개통하면서 지금의 충청북도 단양군 단양읍 현천리 237 일원에 충북단양역이라는 역명으로 개업하였다.1985년 5월 1일 충주댐 건설로 인해 지금의 위치로 이전하였으나 현 위치가 단양읍내에서 그나마 가까이 위치…
가산디지털단지역
…분당선) 역 중 가장 많은 사람이 하차하는 역으로 나타났다. 1974년 건축 이후 47년이 경과한 탓에 건물에 균열, 누수가 발생하는 등 이용승객 안전을 위협하는 불안요인으로 작용, 2023년 역사가 신축될 예정이다. 개업 당시의 역명은 가리봉역(加里峰驛…
영주역
…경상북도 영주시 선비로 64 (휴천동 257) 소재.2. 역 정보
[편집]
예전에는 현 영주기독병원 및 영주중앙시장 일대에 위치해 중앙선과 영동선의 여객 및 화물을 처리해왔지만, 1966년 10월 경북선 연장 개통으로 인한 구 역사의 협소한 규모로 인해 1967년 12월 현 위치에 신…
인천역
…과 함께 개업하였다. 역사는 1900년 5월에 이르러 단층 흙벽돌조, 아연철판 경사지붕의 연면적 약 300㎡규모의 건물로 지어졌다. 1896년 조선 정부는 일제로부터 경인철도 부설권을 지키기 위해 15년 뒤 조선정부가 철도를 사들인다는 조건으로 미국인 모스(J. R…
안인역
…영역 3급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인입선이 전철화가 안 되어서 여기에서 기교체를 진행한다.1년 수입이 불과 100만원이면서 매년 6억 6,900만 원씩 적자를 보는 비효율적인 역이라는 보도가 있었다. 이 당시에 쌍용리역과 더불어…
홍대입구역
…서강대0.9 km →4.2. 서울교통공사
[편집]
2호선신도림·강남 방면합 정← 1.1 ㎞외선外線내선內線시청·왕십리 방면신촌오거리1.3 ㎞ →[1] 개정 전 39번.[2] 2023년 700만원으로 인상됐다.[3] 강원철도 직속 광고사. K홀딩스 홍보및 강원철도…
홍성역
…:>보통普通시종착[1] 전신인 충남선 개업일은 1922년 6월 1일[2] 외관은 인근의 예산 수덕사 대웅전에서 따 왔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역 내 설명판에는 홍주성의 조양문을 따 왔다고 적혀 있다.[3] 상업시설 대부분은 홍성역이 아닌 홍성종합터미널에 있다…
동탄역
…인덕원선 DI27.2. 역 정보
[편집]
동탄1, 2신도시 입주민들이 교통분담금 명목으로 1가구당 500~1,000만 원씩 아파트 분양가에 포함하여 모은 1조 원 가량으로 만들어졌다.단순한 지하 시설을 넘은, 거의 지하벙커 수준의 규모이다. SRT와 수서동탄선을 타려면…
경의·중앙 완행선
…에 철길 반대편의 일산 원도심 수요까지 겹치면서 더더욱 혼잡하다. 최근 대곡역에서 수도권 전철 서해선으로 갈아타는 인원으로 서울로 가는 승객의 분산효과는 있지만 아직도 승객이 많은건 현실이다. 대곡역은 서해선과 경의중앙선이 승강장을 같이 사용하기 때문에 매우…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서울운동장역(서울運動場驛) (1983~1985, 2호선, 4호선 개통 초기)1976년 2호선 계획 당시에는 2호선 본선의 이명인 '을지로순환선'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을지로4가역에 이은 '을지로6가역'이었다. 그러나 개통 직전인 1983년에 역명을 '서울운동장역'…
지축역
…면서, 지금도 서울교통공사가 모든 시설을 관리한다.[2]예전에는 철도청 측 정산기 역시 설치되어 있었고, 두 운영 기관이 '따로따로' 승하차 인원을 집계하기도 했으나 2013년에 동국철도 측이 게이트를 철거하였고 현재는 서울교통공사에서만 역무를 본다…
개봉역
…라는 상가가 함께 있다. 이 때문에 민자역사로 종종 오인되고는 하지만 개봉역은 엄밀히는 민자역사가 아니다. 민자역사는 민간사업자와 사철이 합작법인을 설립해 역사를 지은 후 역무시설을 국가로 귀속하고 그 대신 합작법인에 상업시설 부분에 대해 점용허가를…
수유역
…남서울철도, 강원철도 전동차에서는 수유 역명만 방송한다. 역 대합실에는 강북구립도서관 지하철 예약대출기 및 반납기가 있다. 강북구립도서관 정회원 대출카드만 있으면 누구나 굳이 도서관까지 가지 않아도 인근 지하철역[6]에서 강북구립도서관 7곳(강북문화정보도서관, 강북청소년문화정보…
모란역
…를 이용해도 상관없다. 하차 후 15분 이내 재승차 환승 할인을 받을 때에도 8호선 게이트를 찍은 다음에 환승통로를 이용하면 수인ㆍ분당선 탑승이 가능하다. 예외적으로 기후동행카드는 수인·분당선 게이트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복정역과 모란역 사이…
연천 버스 9980
…역대 경기도 직행좌석버스 노선들중, 유일하게 수도권 밖으로 진출하는 유일한 노선이였으나 현재는 그 타이틀을 상실했다.현재 연천영업소 차고지가 포화상태인지라 대광리영업소로 이전하여 예전처럼 다시 대광리역까지 연장하고자 하지만, 그러면 운행거리가 300km를 넘어간다는…
스크린도어/종류
…에 설치된 스크린도어는 대부분 이 형태이다. 예외 사례라면 사진에도 나온 인천공항선 영종역인데 밀폐형 스크린도어를 설치한 지상역사이다.[3]강력한 풍압도 막을 수 있고 우천시에도 물이 들어오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당연히 자연 통풍이 안 되므로 공조…
월곶역
…#039;월곶포구역'으로 변경을 요구했다.[1] 그러나 결국 확정된 역명은 원안이었던 월곶역. 월곶포구 상인들은 바로 이웃에 있는 소래포구에 비해 밀리면서 관광객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월곶포구역 역명 변경을 통해서 악화일로에 있는 포구 상권 번영을 노렸으나, 현실은 월곶포구가…
정왕역
…당 5~7대 정도는 오는 편이다. 다만 가끔 운전정리로 오이도행 열차가 안산역에서 타절하는데, 이 때는 예전 수준처럼 돌아간다.이 역부터 오목천역까지 수인·분당선의 배차간격이 크게 벌어진다. 출근 시간대 기준 무려 25분이며, 주말에는 30~40분까지 벌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