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225 건 / 처리 시간 0.235초

강동역

…상일동·팔당 출발 열차)상2왕십리·광화문·김포공항·방화 방면(마천 출발 열차)하명일·상일동·미사·팔당 방면(본선)올림픽공원·오금·마천 방면(마천지선)이 역에서 마천발 방화행 열차(상2 승강장)를 타면 자신이 탄 문(왼쪽)이 다시 열리는 역이 4정거장 차이가 나는 군자역이다.4…

종합운동장역(서울)

…상당히 음침해 보였으나 2008년에 하얗게 역사 리모델링을 해서 승강장이 예전보다 더 크고 넓어 보인다.이 역은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가 넓은 편이며 내리고 탈 때 발빠짐에 주의해야 한다.본래는 승강장 횡단이 불가능했으나 9호선 개통 당시 환승 통로의 확보…

선바위역

…현재 있는 바위는 원조 선바위는 아니고, 원래 인근 양재천 시냇가 한가운데 서 있던 선바위가 없어져서 가장 비슷한 바위를 가져와 세워둔 것이다.이 역과 남태령역 사이에는 절연구간이 존재한다. 이 역 출발과 동시에 당고개 방면 열차는 시속 75km까지 가속해서 절연구간…

하남선

…결과, 땅값이 크게 상승하는 바람에 부대사업(택지개발)으로도 민자사업자가 이익을 낼 수 없다는 결과가 나와[3] 2005년에 민자 경전철 계획이 최종 무산되었다.[4] 이 와중에 하남시 정계 인사들은 경전철보다는 5호선 하남 연장을 희망했는데, 예비타당…

미금역

…홍대입구역, 김포공항역처럼 위아래층으로 평행하게 운행되는 노선 사이의 환승이지만 장래환승 가능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채로 지어져 있는 기존 분당선 시설물 하부에서 난공사를 하였고, 기존에는 비환승 정차역으로 방점을 찍고 거의 다 지었는데 갑작스럽게…

대방역

…선 개통 당시에 만들어졌다. 당시에는 대방역의 경부선 3복선 중 북쪽 2개 선로(1호선 완행이 사용하는 선로)와 남쪽 2개 선로(경부선 일반열차 선로)밖에 없었는데 대방역 남부역사는 이 두 선로 사이에 있었다. 출구는 노량진로에 있는 현…

강남역

…5~10번 출구는 서초구로 연결된다.신분당선 강남역은 서울시내에 있지만 '서울전용' 정기권 사용이 제한된다. 단, 2호선 운임구역 쪽에서 환승 게이트를 통과하는 것은 가능하나 하차 시 추가 차감된다.2024년 8월 9일 역명병기 유상판매 입찰 결과…

당산역

…외에도 더 많은 이용객들이 이 역을 오갔는데, 이는 이 역과 연계된 버스 노선망을 보면 알 수 있다. 5호선과 9호선 개통 후로는 수요가 조금 분산되었다. 또한 목동 북부나 염창, 가양 등 강서구와 양천구에서 2호선으로 갈아타는 이용객들이…

홍성역

…적인 한글 서체의 역명판과 함께 홍성역만의 매력을 한껏 뽐낸다. 홍성역 광장에는 나라를 지키기 위해 일어선 민족열사들의 모습이 모셔져 있다. 마지막까지 충의를 지켰던 고려 말 최영 장군, 조선 세조를 상대로 불의에 항거하였던 성삼문, 일제에 항거한 민족대표 33인 한용운…

주안역

…개통을 거쳐 1978년 선상역사를 신축 준공한 뒤 1989년에는 지하 역사를 준공하였다. 549.7㎡ 규모에 25.7㎡ 부대건물을 갖춘 철근콘크리트 슬라브 지붕으로 2층 선상역사이다. 2016년에 이르러 인천도시철도 2호선이 개통되며 환승역이 되었다…

수서역

…표현해냈다. 또한 역사 인근을 흐르는 탄천의 녹색성장과 함께하기 위해 주변 녹지와 연계한 친환경 계획으로 빠르게 질주하는 고속열차와 유려하게 흐르는 하천의 선형을 역사에 그대로 재현하였다.남서울철도 공식 소개 문구SRT를 상징하는 역으로, 모든…

양재역

…양재동과 강남구 도곡동에 걸쳐 있고, 신분당선 양재역만 온전히 양재동(양재1동)에 있다.신분당선의 경우 서울시내 역이지만 '서울전용' 정기권 사용이 제한된다. 다만, 3호선 운임구역 쪽에서 환승게이트 통과는 할 수 있으나 이 경우 하차 시 추가 차감된다.2. 역 정보 [편집]…

고모역

…대구권의 철도역사마다 시를 남긴 박해수 시인의 시비가 여기에도 있다.# 다만 남아있었을 법한 기차역 시절 흔적을 모두 없애버려서 아쉬워 하는 사람들이 많다.2018년에는 복합 문화공간으로 리모델링되었으며 고모 뮤지엄에는 고모역의 역사 전시관 등이 있…

석계역

…4만 명 넘게 이용하였으니 당시 석계역은 극심한 혼잡에 시달렸다. 현재 1번 출구에서 우이천 쪽 버스정류장(현재의 석계역 굴다리) 사이의 왕복 2차로에는 횡단보도가 없는데(원래부터 없었다), 당시에는 버스를 타려는 이용객들이 무단횡단하는 경우가 다반사였다…

신도림역

…으로 보이며[2], 최종적으로 영등포역-구로역 사이에 1·2호선간 환승역을 신설하는 것으로 결정되어 신도림역이 만들어졌다.1983년 6월 30일 역의 이름이 문래역으로 정해졌고[3] 지금의 문래역은 원래 문래3가역이 될 예정이었으나, 같은 해 10월…

스크린도어

…는데, 그 역은 바로 동탄역이다. 출입문 끼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안전문과 철도 사이의 길이가 넉넉하다.전철과 일반 철도가 같이 정차하는 역에 설치된 스크린도어의 경우, 경의중앙선 왕십리역처럼 일반 철도가 정차할 때에는 일부 스크린도어만 열리거나, 서해선…

동묘앞역

…숭인동 117) 소재.서울 지하철 6호선 636번. 서울특별시 종로구 지봉로 지하24 (숭인동 316-3) 소재.2. 역 정보 [편집] 역명의 유래는 임진왜란 후 명나라의 원군들을 통해 들어온 관우 장군 신앙에 따라 세워진 사당인 서울 동관왕묘에서 따 왔다. 정작 정확한 위치를 따지자면 동묘 정전 '뒤'…

금정역

…1986년에 미리 설치해 놓은 승강장을 철거하고 현재 위치로 수정하여 다시 만들었다. 당시 금정역 예정 부지는 현재 위치보다 남쪽(스마트호텔 삼거리 인근과 금정IC 사이, 지금의 안산선 분기 지점)이었으나[2] 안산선 공사 당시 승강장이 철거되어 지금은 승강장 흔적조차 볼 수 없…

신촌오거리역

…도 랜드마크이다.2014년 1월 6일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개통과 함께 1~4번 출구의 캐노피가 새로 단장되고 뉴타입의 폴사인이 설치되었다.대중교통전용지구 공사와 함께 1~4번 출구의 캐노피가 투시형 캐노피로 바꾸는 공사가 진행되었다…

춘양역

…거치게 했다는 설인 것. 어찌보면 철도 핌피의 시초로도 볼 수 있다.지도로 보면 실제로 직선으로 뚫고 갈 법도 한 곳을 S자도 아니고 아예 동탄인덕원선/111정거장보다 더한 곡선 또는 Ω형[1]으로 지나가고 있다. 과거에는 춘양에서 질 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