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609 건 / 처리 시간 0.188초

오류동역

…수 없다. 이 때문에 장마철 집중호우가 내리면 철길이 침수되는 일이 종종 생긴다.주변인들이 부르는 이름이나 마을버스 행선지 등을 보면 '동'자를 빼고 오류역으로 부르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정식 명칭은 오류동역이다. 왜 경인선 구간 역들 중에 이 역만 '洞…

이매역

…마침내 서현역과 철도청 등지에서 시위를 벌이는 노력 끝에 이매역 설치가 확정되었다.[1]원래 1999년에 개통하려 했으나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2004년에야 개통되었다. 2000년 3월쯤 착공했다. 대한민국 지하철 지하 구간 중 영업 중인 두 역 사이의 터널 한복판에…

마천역

…라는 생각을 하기 힘들다. 서울 지하철 역 중에서는 꽤나 특이한 편이다. 이 두 출구는 둘 다 큰 길과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다. 1번 출구는 역에서 나와 70미터(도보 1분)를 걸어가면 마천로가 나온다. 2번 출구의 경우 내리면 바로 주택가…

불암산역

…↑ 별내별가람하ㅣㅣ상↓ 상계상 서울 지하철 4호선 진접선별내별가람·오남·진접 방면 당역 종착하노원·창동·사당·오이도 방면역사 밖에서 보면 꼭대기가 일직선 승강장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곡선형 승강장으로, 이 역은 상계 방면으로 8퍼밀 내리막이 있다…

사당역

…복선전철 건설지: 금정~사당 간(철도청, 1994)[4] 4호선 계통 남서울철도 차량은 전부 직교류겸이며 신호체계 변경도 가능하기에 굳이 여기서 종착할 필요가 없다.[5] 물론 남태령역의 수요가 처참한 수준이라 운행 계통은 사당에서 끊긴다.[6] 서울 4호선 구간의…

대방역

…년 경부선 3복선화 전까지의 대방역은 현재와는 구조가 판이하게 달랐다. 경부선 3복선화 전 대방역은 역사가 남부와 북부로 나뉘어 있었다.남부역사는 1974년 1호선 개통 당시에 만들어졌다. 당시에는 대방역의 경부선 3복선 중 북쪽 2개 선로…

강남역

…역 정보 [편집] 서울특별시에 있는 도시철도역이다. 강남역은 1982년 12월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남 구간(종합운동장역~교대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영업을 시작했으며, 2011년 10월에 신분당선 강남역~정자역 구간이 첫 개통되어 29년 만에 환승역이 되었다.역이 있는…

가산디지털단지역

…역 정보 [편집] 2.1. 경부선 [편집] 1974년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경부선 전철화)와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당시 역 구조는 상대식 승강장에 외대앞역처럼 독산역 방향 남쪽 끝에 선상역사가 위치해 있는 형태였다. 그러다가 1981년 경부선 영등포~수원 2복선화 공사 당시 승강장을…

석계역

…는데 석계역에서 내리면 그럴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광운대발 소요산 방면 열차가 있을 경우 광운대역에서 갈아타야 한다.2015년 11월에 승강장으로 올라가는 계단 두 곳 중 한 곳에 올라가는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었다.[3]과거에는 경원선 하행의 경우 막차가 이 역…

이동역

…만약 잘못 내렸다면, 상록수역-사리역 사이를 안산 버스 16(사리역 1번 출구), 안산 버스 52, 안산 버스 80, 안산 버스 301(일반좌석버스)을 이용하여 이동하면 된다.[12] 평일기준 왕복 8회[13] 고색행이나 죽전행은 중간중간 오른쪽 문이 열리는 경우가 있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역삼역

…2호선선릉·잠실·성수·왕십리 방면내교대·사당·신도림·홍대입구 방면5. 인접 정차역 [편집] 서울 지하철 2호선잠실·왕십리 방면선 릉← 1.2 ㎞외선外線내선內線신도림·홍대입구 방면강 남0.8 ㎞ →6. 기타 [편집] 수도권 전철 역들 중에서…

구일역

…며, 2021년에야 스크린도어를 설치하였다.이렇게 된 이유는 경인선 쾌속 도입으로 선로 배치가 바뀌었기 때문이다. 경인선 2복선 구간 중에서 첫 삽을 뜬 구간은 개봉역 ~ 영등포역 구간이었고, 이 구간을 이용한 주안역 ~ 영등포역 반복 열차가 한시적으로 운행됐었다…

대림역

…전철 신안산선 개통 시 안산시, 시흥시 일대는 여의도역에서 9호선 급행으로 분산될 것이다.3. 역 주변 정보 [편집] 대림역은 대림2동, 3동에 걸쳐 있으며 1동이라고 해서 먼 것도 아니다. 2호선 역사에서 내리면 베이징을 연상케 하는 길목이 나타난다. 그…

신림역

…정보5,6번 출구5남부초등학교난곡 방면도림천6신림동 별빛거리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방면난곡 방면으로 이동할 때에는 5번 출구로 나가서 버스로 갈아탈 수 있다.6번 출구로 나가서 보라매공원 쪽으로 걷다 보면 '신림동 별빛거리'라는 골목이…

고속터미널역

…↓ 교대상 서울 지하철 3호선신사·옥수·충무로·지축 방면하교대·도곡·수서·오금 방면4.2. 서울 지하철 7호선 [편집] 반포 ↑하ㅣㅣ상↓ 내방상 7호선강남구청·상봉·도봉산 방면하보라매·대림·청라국제도시 방면7호선 승강장은 곡선으로 많이 휘어 있기 때문…

신도림역

…중 하나가 이것이다.1번 승강장의 선로는 2번 승강장과도 바로 맞닿아 있다. 승객들의 혼동을 유발할 수 있고 2번 승강장의 혼잡도를 증가시킬 수도 있어 2번 승강장과 맞닿은 곳은 막아두었다. 개봉역처럼 여차하면 내릴 수 있게…

죽전역(경기)

…km →1. 개요2. 역 정보3. 승강장4.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계획에 없던 역사가 북적이는 민자역사로[1]죽전역은 광역철도 분당선을 연장하는 오리-수원 간 복선전철 사업으로 2007년 12월 24일 영업을 개시하였다. 연면적 100,300㎡ 규모의 지하 1층, 지상…

문곡역

…역 정보 [편집] 흔히 "태백선의 마지막 역"이라고 알려져 있다. 실제 태백선의 종점은 백산역이지만 백산역은 영동선의 역으로 인식된 탓이 크다.더구나 모든 정기열차는 백이면 백 문곡역에서 바로 태백삼각선을 통해 동백산역으로 빠지기 때문에 더욱더 그렇다. 중부내륙순환열차의…

틀:대한민국의 관광열차

…관광열차 [ 펼치기 · 접기 ]특급 등급레일크루즈 해랑정선아리랑교육전용열차(E)서해금빛열차(G)남도해양관광열차(S)백두대간협곡열차(V)동해산타열차에코레일관광열차쾌속 등급전통시장관광열차충북영동국악와인열차폐지줌마렐라 녹색 관광열차부울경테마관광열차환상선눈꽃순환열차통통통뮤직카페트레인중부내륙순환열차…

서울대입구역

…정작 서울대입구역에서 내리면 서울대까지 버스를 타고 1.8km를 더 들어가야 하는 상황이 나오며, 신림선 개통 후에도 서울대입구역에서 내려 버스로 갈아타는게 유리한 서울 중부/동부권에서 오는 사람들도 서부선이 개통되면 이쪽으로 적잖게 넘어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