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화역

최근 수정 시각: ()
道禾驛
Dohwa Station
파일:NS-GI.png
경인선
GI57
주소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숙골로24번길 9 (도화동 668)
역 운영기관
파일:NS_logo.png파일:NS_logo_black.png
개업일
2001년 11월 30일
철도거리표
경인선
도 화

1. 개요2. 역 정보3. 승강장4. 인접 정차역

1. 개요 [편집]

2001년 쑥골 고가교 아래 신설, 쑥골역으로 불려
도화역은 2001년 11월 30일 경인선 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기존 경인선에는 없던 역으로, 1995년과 1996년 제물포역과 주안역 사이 쑥골 고가교 아래 부근에 역사 신설을 요구하는 민원에 의해 새로 생긴 역이다. 예상 이용 인원이 부족하여 역사 건립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결국 지역 주민들의 편리한 교통 이용을 위해 문을 열게 되었다. 역사는 작은 규모로, 공사 당시에는 쑥골 고가교 아래에 있어 쑥골역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최근에는 쑥골고가교에 벽화 거리가 조성되어 색다른 재미를 주고 있다.

남서울철도 공식 소개 문구
경인선 GI57번.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숙골로24번길 9 (도화동 668) 소재.

2. 역 정보 [편집]

경인선 역들 중에서 가장 최근에 개통한 역이다. 경인선 제물포역주안역 사이가 2.0km로 먼 편이라 1995년과 1996년에 두 역 중간지점에 있는 도화동 주민들이 역 신설에 대한 민원을 두 차례 제기하였다. 출처 이에 철도청인천광역시가 협의를 통해 1997년 말에 역사 건립을 확정하고 12월에 착공하여 2001년에 개통했다. 그런데 2000년에 철도청이 망하는 바람에(...) 공사가 잠시 중단된 적이 있었다. 사업비는 총 218억 원이었다. 도화역 개통 기사 쑥골고가교 옆에 역이 있어서 공사역명은 쑥골역이었다.

이 역은 인천 도시철도 2호선환승역이 될 것을 염두에 두어 건설되었다. 1990년대 말 인천 2호선 계획 당시에는 경인선과의 환승역으로 현재의 주안역 말고도 도화역이 거론되었고, 따라서 환승역이 될 것을 대비하여 도화역의 환승통로 부지도 마련해두었다. 그러나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은 결국 주안역을 거치게 되었다. 쓰이지 않게 된 환승통로 부지는 나중에 철도부지에서 제척됐고 인천도화도시개발사업에 따른 도화역 주변 도로 확장에 사용됐다. 환승통로 부지는 주안역 방면 승강장 끝에 있었다. 경인선 2복선화 후에도 선로 양 옆을 약간 더 매입하여 부지에 여유를 뒀는데, 이게 인천 2호선 환승통로 신설을 대비한 부지였다. 인천 도시철도 2호선 도화역 계획 때 쑥골고가교 쪽에 인천 2호선을 만들 계획이라 쑥골고가교가 없어질 예정이었다.

지붕이 투명하게 되어있어 역사는 자연채광이 가능하다. 1990년대 말부터 지어진 지상역들이 맞이방에 유리를 많이 써서 자연채광이 되게끔 되어 있지만, 경인선 중에 자연채광이 들어오는 역은 도화역이 최초이다. 경인선의 경우 도화역 개업 후 개통된 역은 없지만, 복복선공사와 함께 역사를 새로 지은 역이 많다. 인천시의 경인선 역 중에 역사를 새로 짓지 않은 역은 처음부터 복복선을 고려하고 설계/건설된 도원역, 도화역, 간석역, 부개역과 아예 쾌속이 지나가지 않는 인천역뿐이다.

2001년 개통 이래 사용된 노후 건축물이었지만, 2023년 역명판이 교체됐다.

승강장은 1층에 있고, 승강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2층의 맞이방을 거쳐야 하는 근처의 다른 경인선 역들과 비슷한 구조이다. 엘리베이터 등의 장애인을 위한 시설도 잘 갖추어져 있다.

쾌속열차가 주안역까지만 다니던 시절에 쾌속열차가 이 역에 반쯤 걸려 있는 상태로 회차를 했다. 즉, 4, 5량까지는 도화역 역구내에 걸쳐 있어서 만약 출입문이 열린다면 타고 내릴 수도 있었지만 엄연히 "주안행 쾌속열차" 였으므로 이 역에서 승하차를 처리하는 등, 쾌속열차의 여객을 취급하는 일은 없었다. 다만 졸다가 미처 내리지 못했는데, 목적지가 도화역이거나 더 가야 했던 경우에는 승무원에게 말하면 열차 맨 앞의 승무원들의 출입문으로 내릴 수 있게끔 승무원들이 배려해주는 경우가 간혹 있었다.

당시 대구 지하철 참사로 인해 "비상시 행동요령" 안내 등을 자주 했었는데, 이 때문에 종종 졸다가 열차가 이 역에 서 있는 걸 보고 그 안내방송을 떠올리고는 스스로 비상밸브를 돌려 출입문을 손으로 열고 빠져나오는 승객도 있었다. 이러면 출입문을 여닫을 때 필요한 공기가 빠져나가기 때문에 전동차가 출입문을 닫지 못하여 출발할 수 없다. 차장실에서 차장이 조작할 때 출입문이 열리지 않는다. 현재 도화역에서 회차하는 열차는 없으므로 이런 일은 더 이상 벌어지지 않고 있다.

이 역에는 타임아웃 매점이 없지만 대합실과 서울역 방면 승강장에 자동판매기가 설치되어 있다.

2015년 가을에는 화장실을 리모델링했다. 칸막이를 투명한 옥색으로 바꾸고 휴지를 칸 안으로 넣는 등 인근 주민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2022년 12월 ~ 2023년 1월쯤, 1, 3번 출구에 에스컬레이터 공사가 완료되었다. 2023년 5월 기준 2, 3번 출구에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었다.

2022년 2층 맞이방과 1층 승강장을 왕복하는 엘리베이터 앞에 있던 개표구가 이동되어 엘리베이터에서 내리자마자 나갈 수 있었지만 지금은 ㄱ자로 꺾어 나가야 한다.

3. 승강장 [편집]


통과
1
2
3
4
통과
1
각역정차
2
쾌속
당역 통과
3
4
완행
인천 방면

4. 인접 정차역 [편집]

<:>각역정차
各驛停車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