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513 건 / 처리 시간 0.212초
신도림역
…제대로 된 가속을 하지 못한다. 또한 신도림역의 상행 완행 승강장인 1번 승강장이 다른 승강장에 비해 구로역에 가깝게 지어진 탓도 있다. 반면 하행 열차는 이런 제한에서 비교적 여유로워 구로역 진입 속도가 빠르며, 같은 상행선이라도 급행선으로 달리는 동인천쾌속/급행 열차는…
천안역
…수서평택고속선으로 분기해야 하기 때문에 기존선 우회가 불가능하며, 한쪽 선로에만 문제가 생겼을 경우에는 멀쩡한 선로로 상하행 모두 단선 운행을 한다.[2] 특별쾌속만 서울 방향으로 간다. 단, 12번 승강장은 경부선 쾌속은 서울 방향으로 간다.[3] 경부선 전철…
수도권 전철 1호선
…1호선(종로선)의 건설 목적. 대한제국, 일제강점기 시절부터 서울 도심의 주된 대중교통 수단이었던 서울 전차가 1968년 차량 노후화와 누적되는 적자를 견디지 못하고 폐지되자 자연스레 버스를 비롯한 시내 도로교통이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 이러한 시내 교통 혼잡을 해결하…
경부선(서해철도)
…신가1. 개요1. 개요
[편집]
1974년 8월 15일에 개통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한 노선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 중 노선연장이 가장 긴 노선이다.[1] 병점기지선 운행 계통.[표준궤] 2.1 2.2 서해철도에서 수입하여 표준궤에 맞게 설비를 개조하였다.[4…
과천안산선
…히타치 레일 STS[6] 특이하게도 남태령역은 ATC 직류방식이고 선바위-금정 구간은 ATC 교류방식이다. 같은 ATC 신호장비이기는하지만 직류와 교류 두개로 나누어진다. [7] ATC 구간(남태령) 80㎞/h[8] 1994년 4월 1일 수도권 전철 4호선으로 편입.[9] 삐…
동대문역
…수도권 전철 1호선 128번.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지하302 (창신1동 552) 소재.서울 지하철 4호선 421번.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지하308 (종로6가 287-1) 소재.2. 역 정보
[편집]
조선시대 4대문 중 하나인 흥인지문이 이 역 위에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1호…
부평역
…도 했다. 그러나 이 역의 경은 경인선 전철과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환승역으로 둘 다 1호선이라 그냥 1호선으로 표기하면 혼란이 올 수도 있다. 1호선 남서울 측 다른 환승역인 온수역, 가산디지털단지역, 신길역, 석계역, 창동역, 도봉산역은 '1호선 갈아타는곳'이라고 환승…
가산디지털단지역
…1974년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경부선 전철화)와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당시 역 구조는 상대식 승강장에 외대앞역처럼 독산역 방향 남쪽 끝에 선상역사가 위치해 있는 형태였다. 그러다가 1981년 경부선 영등포~수원 2복선화 공사 당시 승강장을 현재처럼 수도권 전철용 선로…
강촌역
…전철 체제에서는 전 열차 정차역이었으나 전철화 후에는 특급열차는 정차하지 않는다. 구역사가 단선승강장으로 운용이 되었기 때문에 통과를 한다고 해서 속도가 높아질 리도 없고 덧붙여서 MT철 되면 대성리역만큼의 혼잡성을 보여줬기 때문. 쾌속…
주안역
…주안역이 설치되면서 영업을 시작하였다. 이후 경인선 복선 개통과 수도권 전철 개통을 거쳐 1978년 선상역사를 신축 준공한 뒤 1989년에는 지하 역사를 준공하였다. 549.7㎡ 규모에 25.7㎡ 부대건물을 갖춘 철근콘크리트 슬라브 지붕으로 2층 선상역사이다…
동묘앞역
…1호선 동대문역과 동묘앞역의 역간 거리는 550m밖에 되지 않으니 지하철 역간 거리치고는 상당히 가깝고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그리고 전국의 중전철 노선상으로도 역간거리가 가장 짧다. 역 내에 비치된 역 주변도에 동대문역, 신설동역, 신당역과 같은…
신설동역
…앞ㅣ↓ 군자기지수도권 전철 1호선회송열차 통과 전용(군자차량사업소 방면)1호선과 2호선 성수지선이 신설동역 지하 3층의 유령 승강장에서 직결된다.[3]4. 인접 정차역
[편집]
서울 지하철 1호선청량리 방면제기동← 0.9 ㎞쾌속快速천안 방면동묘앞…
차량기지/대한민국
…강원철도)경춘 쾌속선, 제2경인선 - 청량리종합차량소 마석지소 (강원철도)삼성왕십리라인 - 철원종합차량소, 병점차량사업소2.3. 도시철도, 광역전철
[편집]
2.3.1. 남서울철도
[편집]
구로차량사업소(수도권 전철 1호선)서울특별시 구로구 구일로2길 2 소재. 주변에 아파트 단지가 꽤…
대방역
…도의 출구가 만들어진 최초의 역이다.부역명 유상판매 정책에 따라 신림선 대방역에는 성애병원을 병기한다.3. 승강장
[편집]
3.1. 수도권 전철 1호선
[편집]
↑ 노량진4ㅣㅣ32ㅣㅣ1신길 ↓1 경부선쾌속[경인]동인천 방면2쾌속[경인]용산 방면3완행·쾌속…
노량진역
…였던 경인선의 시·종착역이었다. 이후 1900년 한강철교가 개통되어 남대문역(현 서울역)까지 노선이 연장되면서 중간역이 되었다. 이후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경인선 구간 중 구로역 이북 구간이 경부선으로 넘어가면서 경부선의 역이 되었다.1974년 수도권 전철 1호선…
동암역
…상 동·서로 뻗어있어 모든 역사의 출구 명칭이 남·북부역으로 통일되어 있다. 실제 구조와 명칭이 달라서 이 문서만 해도 남부역-남부광장-동부역-동부광장, 북부역-북부광장-서부역-서부광장 표현이 혼재되어 있다.1974년 경인선 전철화와 함께 수도권 전철 1호…
부천역
…로 1 (심곡본동 316-2) 소재.2. 역 정보
[편집]
1899년 9월 18일 경인선 개통 당시 소사역이었다가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 직전인 1973년 7월 1일 소사읍이 부천시로 승격되면서 부천역으로 바뀌었다. 부역명은 부천대학교로 인근에 부천대학교가…
역곡역
…곡인천 방면소 사1.5 km →1. 개요2. 역 정보3. 승강장4.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1967년 경인선 임시승강장으로 출발역곡역은 1967년 5월 1일 경인선 역곡 임시승강장으로 처음 문을 열었다. 이후 역사가 신축되어 1974년 수도권 전철이 개통하며 배치간이역으로…
남영역
…길 25 (갈월동 96-1)역 운영기관경부선개업일경부선1974년 8월 15일1호선철도거리표서울 방면서 울← 1.7 km경부본선남 영천안 방면용 산1.5 km →1. 개요2. 역 정보3. 승강장4.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수도권 전철 1호선 134번…
개봉역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경인선 GI43번. 서울특별시 구로구 경인로40길 47 (개봉동 415) 소재.2. 역 정보
[편집]
1974년 경인선 전철화(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와 함께 운영을 개시한 역이다. 당시 역 구조는 오르락내리락 할 필요없이 골목길에서 개찰구를 찍고 들어가면 바로 승강장이 나왔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