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513 건 / 처리 시간 0.253초
강남역
…제외한 개찰구를 통한 승하차 기준으로 수도권 전철에서는 물론 전국의 모든 도시철도를 통틀어 대한민국에서 1위이다. 물론 여객열차와 지하철을 모두 포함한다면 서울역이 1위이지만 도시철도만 집계한다면 강남역이 1위이다.서울 지하철 2호선만으로 일평균 승하차객 15만 명…
부평역
…것 때문에(남서울철도 쪽과 인천교통공사 쪽 환승띠 둘 다) 철도 동호인들한테 비난받기도 했다. 그러나 이 역의 경은 경인선 전철과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환승역으로 둘 다 1호선이라 그냥 1호선으로 표기하면 혼란이 올 수도 있다. 1호선…
노량진역
…역(현 서울역)까지 노선이 연장되면서 중간역이 되었다. 이후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경인선 구간 중 구로역 이북 구간이 경부선으로 넘어가면서 경부선의 역이 되었다.1974년 수도권 전철 1호선, 더 나아가 2004년 경부고속선 개통 이후에도 이 역에 일반열차가 정차하였으나…
녹번역
…이 곳은 교통경찰들이 수시로 나와 수신호 및 교통법규 위반 단속을 하는 곳이니 주의하자.4. 승강장
[편집]
녹번역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 있는 지하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불광 ↑ㅣ하상ㅣ↓ 홍제상 수도권 전철 3호선불광·연신내·구파발…
역삼역
…정차역
[편집]
서울 지하철 2호선잠실·왕십리 방면선 릉← 1.2 ㎞외선外線내선內線신도림·홍대입구 방면강 남0.8 ㎞ →6. 기타
[편집]
수도권 전철 역들 중에서 역명을 거꾸로 말해도 되는 세 역 중 하나이다. 나머지 둘은 역곡역과 역촌역이다…
대방역
…판매 정책에 따라 신림선 대방역에는 성애병원을 병기한다.3. 승강장
[편집]
3.1. 수도권 전철 1호선
[편집]
↑ 노량진4ㅣㅣ32ㅣㅣ1신길 ↓1 경부선쾌속[경인]동인천 방면2쾌속[경인]용산 방면3완행·쾌속[경부]구로·인천·동탄·천안 방면4완행·쾌속[경부]용산…
스크린도어/종류
…식 스크린도어가 시범 설치되었었다. 일반철도에도 주요역을 중심으로 차차 스크린도어가 설치될 것으로 보인다.처음 보는 사람이 보면 이어져 있는 줄이 옆으로 열리는 듯한 착각을 일으키게 하며, 놀라는 경우도 간혹 있다고 한다.도큐 전철에서 이거에 눈독 들여…
신촌오거리역
…1호선 서울역과 함께 둘 뿐이다.[5] 2024년 기준 고양시에서 전철을 이용해 서울 도심으로 가는 경우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나 수도권 전철 3호선(일산선)이 있지만, '경의·중앙선'은 용산 쪽으로 내려가는 쪽은 배차 간격이 최장 30분, 서울역 쪽은 4량…
신탄리역
…에 인구가 증가하여 정식 역이 개업하게 되었다.신탄리역의 상행에 대한 논쟁이 있는데, 경원본선의 철도요람상으로는 서울 방면이 상행이지만 운행계통상으로는 서울 지하철 1호선과 경부선과 맞추기 위해 철원 방면을 상행으로 잡았다고 한다.수도권 전철 운임…
송내역
…은 1974년 수도권 전철이 개통하며 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1983년 보통역 승격하였는데, 당시 역사는 141㎡ 규모의 아담한 철근콘크리트 슬라브 2층 선상 역사였다. 1998년 9월 현재의 역사로 이전한 이후 광장도 새롭게 단장하여 쾌적한…
중동역
…소사역은 수도권 전철 서해선과의 환승역이 되었고, 역곡역은 부천 동부의 소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는데, 이 역만 남다른 특징이 없다.2번 출구 지붕에 철도청체로 된 큼지막한 구형 역명판이 남아 있다. 상단의 사진에 찍힌 흰 배경에 검은 글씨로…
병점역
…수 없었다. 그러나 1990년 5월 1일부로 승차권 차내취급역 지정, 2001년 6월 1일부터는 일반열차 통과역이 되었다. 일반여객 중단 당시 이 역에는 서울 ~ 온양온천 구간을 운행하는 통일호만 정차하고 있었으며, 여객취급 중단 사유는 경부선 전철…
동암역
…동·서로 뻗어있어 모든 역사의 출구 명칭이 남·북부역으로 통일되어 있다. 실제 구조와 명칭이 달라서 이 문서만 해도 남부역-남부광장-동부역-동부광장, 북부역-북부광장-서부역-서부광장 표현이 혼재되어 있다.1974년 경인선 전철화와 함께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오류동역
…했던 곳이다. <철도 100년사>에 따르면 오류동역 때문에 최초로 주모들이 시위를 주도하는 사건도 있었다고 한다. 이후 1959년 오류동선이 준공된 후 역사 신축과 증·개축을 통해 성장, 1974년 수도권 전철 개통에 따라 새로운 선상 역사로 문을 열고…
인천역
…전철화 사업 2차 구간의 종점이다. 수인선 인천역은 인천역 앞 도로의 지하 3층에 섬식 승강장으로 새로 건설되었다. 수인선이 이곳까지 개통했지만 종착역인 관계로 경인선과 직결되지 않아 양쪽 모두 종착역이 계속 유지된다. 기존의 수인선은 지상 노선이라 경인선과…
공덕역
…2012년 수도권전철 경의선이 개통하면서 공덕역에서 디지털미디어시티(DMC)역 구간이 신설되었다. 오늘날 4개 노선의 환승역으로 교통의 요충지로 역할하고 있다. 역 인근에 학교 및 관공서 등이 밀집하여 접근성이 뛰어나다. 때문에 역사 자체가 문화예술의 갤러리이자…
과천역
…를 빠르게 달리는 것과 버스들이 안양 시내를 통과해 시간을 잡아먹는 점들 덕분에 사당까지 전철이 경쟁력이 있지만, 과천안산선이 대공원-경마공원 쪽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여기서는 버스를 타고 가는 것이 훨씬 빠르다. 버스 정거장 수도 얼마 안 되고 정말…
진위역
…도농분리시이고 화성시와 나머지 평택시 구간은 동 지역을 지나기 때문이다. 동시에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한강이남으로는 탕정역과 함께 면에 소재한 단 4개의 역 중 하나이자 경기남부에 유일하게 존재하는 면소재지 역이다.지하철 노선도 가운데 가나 표기가…
구로역
…운전 취급의 중요성으로 인해 이 역은 직영으로 운용 중이다.이 역에도 광운대역, 병점역과 같이 승무사업소(서해철도 수도권광역본부 구로승무사업소)가 있다.수도권 전철 1호선 중에서 서해철도 소속 열차는 이 역에서 승무교대를 하기 때문에 열차가 이…
수원역
…부터 현재까지도 이 역 일대가 경기 남부의 중심지이다.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개통 당시 상행 방면 다음 역은 군포역, 하행 방면 다음 역은 병점역이었다.1974년 8월 수도권 전철 1호선이 개통하며 1호선 경부선 계통의 시종착역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