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흥역

최근 수정 시각: ()
器興驛
Giheung Station
파일:NS_Wlogo.svg남서울철도
기흥역
(백남준아트센터)
파일:NS-SB.png
수인·분당선
SB37
파일:NS-Y.png
용인선
Y10
주소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중부대로 지하460 (구갈동 227-25)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중부대로 468 (구갈동 480-36)
역 운영기관
파일:NS_logo.png파일:NS_logo_black.png
개업일
2011년 12월 28일
2013년 4월 26일
철도거리표
분당선
기 흥
용인선
기 흥

1. 개요2. 역 정보3. 승강장4. 인접 정차역

1. 개요 [편집]

2011년 말 분당선 연장개통과 함께 출발
전철역 주변 명소, 백남준 아트센터 위치
기흥역은 오리-수원을 잇는 분당선 연장개통과 함께 2011년 12월 28일 처음 영업을 시작하였다. 처음 2011년 연장개통 당시에는 분당선의 출발역이자 종착역으로 역할하였으나 이후 2020년 수인선이 완전 개통하며 수인·분당선 노선이 탄생, 현재에는 중간역으로 기능하고 있다. 기흥역의 역사는 지하 3층 규모로 총면적 13,077.11㎡이며 건물 아래 신갈천이 흐르고 있다. 6번 출구에서 약 1Km 정도 떨어진 거리에 백남준 아트센터가 위치하고 있어 남서울철도가 뽑은 수도권 전철역 주변 명소에 오르기도 하였다.

남서울철도 공식 소개 문구

* 수인·분당선 SB37번.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중부대로 지하460 (구갈동 227-25) 소재.
* 용인선 Y10번.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중부대로 468 (구갈동 480-36) 소재.

2. 역 정보 [편집]

2011년 12월 28일 분당선 연장개통 신설역사 중 하나다. 수인·분당선 승강장은 2면 4선의 8량 대응 쌍섬식 승강장이며, 용인선 승강장은 구조상으론 3면 2선 상하행 분리형 쌍상대식 승강장이다. 수인·분당선은 용인시의 정중앙을 동서로 가르지르는 중부대로와 교차하고 있으며, 용인선은 중부대로를 나란히 달린다. 수인선의 수원역 연장개통과 용인선 광교중앙역 연장 개통 이후, 용인시의 주요 교통중심지가 되었다.

이 역이 들어서기 전에는 원래 이 일대에 제약회사인 GC녹십자의 공장이자 연구시설이 있었다. 그러나 신갈, 구갈, 구성 지역에 택지지구 개발이 많아지고 수원과 분당을 오가는 교통망이 필요해짐에 따라 노선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용인시의 중재로 여기에 역이 들어서게 되었다. 정확히 말하면 민간이 점유하고 있는 토지에 허가 없이 철도 시설을 건설할 수 없으므로, 용인시에서 직접 녹십자 측과 공장 이전을 중재, 협의해 해당 문제를 해결하는 조건을 걸어 현재의 노선 선형과 역사 위치가 확정된 것이다. # 언론으로 발표된 내용이 중재와 협의였지만 사실 이 내용 당시 해당 지역에 거주했던 사람들의 기억에는 지하철을 건설하기 위해 공장을 내쫓는 그림으로 기억하는 사람이 많다. 물론 녹십자 입장에서도 손해만 보는 조건으로 이전을 했을 리 없고 그 이전부터 지방으로 공장을 이전하는 것을 내부적으로 계획하고 있었다고 하니 재산권 침해 등의 권익 문제는 없었던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이런 복잡한 사정으로 인해 건설기간이 2~3년 정도 지연되는 결과를 낳았다.

분당선에서 가장 먼저 TTS 안내방송으로 교체된 역들 중 하나이다.[1] 2018년 4월에 환승역이 된 미금역은 성우 방송이었는데,[2] 기흥역의 AK플라자 기흥점 개장 시기인 2018년 12월은 남서울철도가 안내방송을 전부 TTS로 교체하던 때였기 때문에 역에 AK& 광고 멘트를 덧붙히는 김에 기흥역의 안내방송을 성우에서 TTS로 전부 개정했다.[3]하지만 모든 역의 정차 안내방송이 TTS로 교체되면서 이제 기흥역만의 큰 특징은 아니다.

수도권 전철역 중 수원역에 이어서 2번째로 가장 남쪽에 위치한 환승역이다. 위도 차이도 거의 없다.

이 역과 상갈역 사이에는 이른바 상갈 드리프트이라 불리는 R=200의 급커브가 있어 상역에서 이 역으로 올 때 칠판 긁는 소리와 철판 긁는 소리가 동시에 들리는 듯한 소음이 들린다.[4] 일반적인 도시철도 차량이 지나가도 시끄러운 소음이 발생할 만한데 수인분당선 전동차는 차량의 한계와, 콘크리트 도상의 설계 결함, 비교적 빠른 속도로 인하여 안내 방송이 잘 들리지 않는다. 즉, 사실상 남서울 버전 전포드리프트인 셈.

3. 승강장 [편집]

3.1. 수인·분당선 [편집]

신갈
4
3
2
1
상갈

3.2. 용인선 [편집]

1
2
-
1
2
-
당역 종착 (기지 입고 열차)

용인선 역은 3면 2선으로, 평상시에는 2면 1선만 사용한다. 이 역에 도착하기 전에 분기기를 통해 왼쪽 선로로 진입한 다음 하차 승강장(진행 방향 기준으로 왼쪽 승강장)의 문을 열어 승객들을 하차시킨 후 반대쪽 문을 열어 가운데 승강장의 승객들을 태우고 다시 하행 방향으로 출발한다. 나머지 1면 1선은 비상시에 사용되며, 기지 입고 열차가 이 승강장에서 종착하고 차량기지까지 공차회송한다. 1선에는 비상시에만 투입되는 예비 열차가 상시 대기 중이다. 이 예비 열차는 막차 시간대에 막차로 운행된다.

2021년 1월 기준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 되었으며, 2021년 2월 18일 부터 가동 중이다.

4. 인접 정차역 [편집]

각역정차
各驛停車
각역정차
各驛停車
[1] 다른 역들은 2018년 12월 청량리 연장개통으로 인해 일찍 TTS로 교체된 왕십리역청량리역. [2] 다만, 이건 미금역 바로 전 역인 정자역 환승 안내방송을 짜집기 식으로 편집한 것이기에 실질적으로 남서울철도의 마지막 성우방송은 2017년 9월 우이신설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된 성신여대입구역신설동역. 또한 이 때문에 당시 미금역 안내방송은 환승안내가 나온 이후 내리는문 안내가 그 뒤에 송출되었다.영상[3] 허나 동 노선의 서현역은 기흥역과 비슷한 시기에 개정되었는데 이쪽은 기흥역과 달리 성우 안내방송은 그대로 두고 광고 멘트만 TTS로 땜질했었다. 2019년 후반부에 전부 TTS로 변경되었다. [4] 부산 2호선의 수영역 드리프트나 서울 지하철 8호선잠실역 근처에서의 급커브도 유명하다.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