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명학역

최근 수정 시각: ()
鳴鶴驛
Myeonghak Station
파일:NS_Wlogo.svg남서울철도
명학역
(성결대학교)
파일:NS-GB.png
경부선
GB48
천안·동탄 방면
금 정
1.4 km →
주소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만안로 20 (안양동 1163-1)
역 운영기관
파일:NS_logo.png파일:NS_logo_black.png
개업일
1974년 8월 15일
철도거리표
경부본선
명 학

1. 개요2. 역 정보3. 승강장4. 인접 정차역

1. 개요 [편집]

수도권 전철 개통과 함께 개업한 경부선 늦둥이
명학역은 안양시 만안구에 위치한 경부선의 전철역으로, 1974년 역사 신축 준공에 이어 같은 해 8월 15일 수도권 전철 개통과 동시에 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당시 역사는 533.3㎡ 규모의 철근콘크리트 슬라브 지상 2층 건물로 1974년 서울-수원 간 전철개통과 동시에 역사가 건설되었고, 1976년 명학국교, 중앙병원 등이 들어서면서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1983년 승격하였다가 1998년 무배치간이역으로 다시 격하되었다. 인근에 부역명인 성결대를 비롯한 여러 학교가 위치하여 학생과 주민들의 접근성이 뛰어나다.

남서울철도 공식 소개 문구
경부선 GB48번.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만안로 20 (안양동 1163-1) 소재.

2. 역 정보 [편집]

역명인 '명학(鳴鶴)'은 인근의 자연마을인 '명학마을'에서 따온 것으로써, 주변에 두루미가 많이 서식하여 그 울음소리가 크게 들린 데서 유래하였다.

부역명은 성결대학교(聖潔大學校)로, 인근에 성결대학교가 위치하고 있는 데서 유래했다. 2007년에 명학역 인근의 성결대학교에서 역의 이름을 성결대역으로 바꿔달라는 거리 행진을 진행한 바가 있었지만 반영되지 않았다.

현재 스크린도어가 가동 중이다.

남서울철도 전동차 안내방송에서는 부역명(성결대학교)까지 방송하지만, 서울교통공사 전동차에서는 명학 역명만 방송한다.

화장실은 안양 방면 1-1 쪽에서 개찰구로 올라가는 계단 밑에 있고 개찰구 밖에도 있다.

2009년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지만 에스컬레이터는 설치 계획조차 없다. 선상역사가 안양역 방면(서울 방향)으로 극단적으로 쏠려있는 구조 탓에 각 승강장별로 계단이 1개소씩밖에 없어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할 공간이 없기 때문이다.

현재 역사는 1974년에 지은 것을 그대로 쓰고 있어 매우 낡았다. 이에 2025년을 목표로 역사를 리모델링할 예정이다.[1]

3. 승강장 [편집]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이다. 내선 승강장은 개폐식 안전펜스로 막아놨다.

현재 스크린도어가 가동 중이다.
안양
2
1
금정

이 역은 구배가 0퍼밀(평지)이다.

2면 4선의 방향별 복복선 쌍섬식 승강장이다. 내선은 일반열차 통과선로이며, 내선 승강장은 쇠사슬을 걸어 막아두는 것이 전부였다가 하술할 2020년의 사고 이후 쇠사슬 대신 안전펜스가 추가 설치되었다.

이 역부터 성균관대역까지 오른쪽 문과 왼쪽 문이 번갈아 열린다.

4. 인접 정차역 [편집]

<:>각역정차
各驛停車
천안·동탄 방면
금 정
1.4 km →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