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두천역

최근 수정 시각: ()
東豆川驛
Dongducheon Station

1. 개요2. 승강장3. 인접 정차역

1. 개요 [편집]

다시 돌아온 동두천역
동두천역은 1912년 7월 25일 영업을 시작, 남북 분단으로 잠시 경원선 남한 구간의 종착역이었으며, 이후 경원선 복선 전철화로 경원선 통근열차의 시·종착역으로 역할, 현재는 경원선 완행의 종착역이 되었다. 역명은 동두천시 탑동 동쪽에서 발원하여 강화천으로 유입되는 동두천과 동명의 지명에서 유래하였다. 동두천의 옛 이름은 가정자리. 그러나 경원선 개통과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동쪽에 근원을 두고 냇물이 흐른다는 동두내, 동두천으로 바뀌게 되었다. 그러나 실제 역사 위치가 새롭게 형성된 동두천 시가지와 거리가 멀고 새롭게 생긴 어수동역이 이용률이 증가하면서 1983년 어수동역에게 동두천역 이름을 양보하고 동안역으로 명칭을 변경한다. 이후 2006년 12월 동두천역이 경원선 완행의 종착역이 되면서 열차 이용객들의 편의와 지역 인지도 향상을 위해 동두천역으로 환원되어, 잠시 동두천역의 이름을 썼던 어수동역은 동두천중앙역으로 바뀌게 되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경원선 복복선은 이 역까지만 되어있고 이 역 이북구간부터는 복선으로 되어있다.

2. 승강장 [편집]

2.1. 경원선·의정부선 [편집]

6
5
4
3
2
1
보산
1
의정부·창동·청량리 방면
(직통 용산·구로·인천 방면)
2
3
4
의정부·창동·청량리 방면
(직통 수원 · 천안 · 대전 · 홍성 방면)
5
당역 시종착 열차
6

3. 인접 정차역 [편집]

특별쾌속
特別快速
보통
普通
대전 방면
지 행
4.0 ㎞ →
쾌속
快速
대전·대천 방면
지 행
4.0 ㎞ →
시종착
각역정차
各驛停車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