삽교역

최근 수정 시각: ()
揷橋驛
Sapgyo Station
파일:NS-JM.png
장항 쾌속선
(삼성왕십리라인)
JM24
파일:NS-JH.png
장항선
JH22
주소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 삽교역로 101-14 (신가리)
역 운영기관
파일:NS_logo.png파일:NS_logo_black.png
개업일
1955년 9월 1일[1]
2012년 8월 10일
철도거리표
장항선
삽 교

1. 개요2. 역 정보3. 승강장4. 인접 정차역

1. 개요 [편집]

한때 인근 고찰 수덕사역으로 개명되기도
2008년 한옥양식에서 현대식 역사로 탈바꿈
삽교역은 1923년 11월 장항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1946년 조선경남철도주식회사에서 사철철도 국유화 정책에 따라 국철로 편입하였으며 1973년 노천대합실 설치, 역사신설 등을 거쳐 인근 유명 사찰인 수덕사역으로 역명을 변경하였으나 8년 후 1981년 11월 1일 삽교역으로 역명을 재변경하였다. 1992년 역사 개보수를 통해 재탄생했던 옛 삽교역은 오늘날과는 다른 전통한옥양식의 역사로 221.25㎡ 규모에 부대건물을 갖춘 철근콘크리트 단층 기와지붕 역사였다. 그러나 2008년 장항선의 선로개량사업의 완공으로 약 2km 떨어진 현재의 위치에 현대식 역사를 신축 이전하였다.

남서울철도 공식 소개 문구
장항선 JH22번, 장항 쾌속선 JM24번,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 삽교역로 101-14 (신가리) 소재.

2. 역 정보 [편집]

1923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고, 1973년 11월 3일에 수덕사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고, 같은 해 11월 14일에 구 역사가 신축되었다.

1980년 11월 1일부로 다시 기존 역명인 삽교역으로 되돌아왔다.

2008년 11월 28일, 장항선의 직선화 사업으로 삽교읍 동남부의 외곽지역에 컨테이너 야적장을 갖춘 현재의 신 역사로 이설, 개업하면서 삽교읍내와의 접근성이 줄어들었다. 대신 삽교역 남측으로는 예산일반산업단지가 있어 산업단지와의 접근성은 뛰어나다.[2]

장항선에서 컨테이너를 취급하는 유일하다시피 한 역이다. 남서울철도 직영으로 16,500㎡ 규모의 컨테이너 야적장을 갖추고 있다. 이 역을 배후로 예산일반산업단지가 위치해있어 화물역으로서의 전망도 나쁘지 않다.

장항선을 경유하는 모든 일반열차가 정차하고 있다.

서산시 해미면에 있는 한서대학교에서 차로 20분 정도 걸리며, 한서대학교와 삽교역 사이 무료 셔틀버스[3]가 운행하고 있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이곳에 들르기도 했으며 열차순례를 기념하기 위해 기념비가 있다.

영화 부산행의 촬영지이기도 하다. 진짜 대전역 대신 여기를 대전역으로 설정하고 촬영했다고 한다.[4]

3. 승강장 [편집]

예산
1
2
3
4
화양
1
2
완행·준급·쾌속급행
3
홍성·대천 방면
4

승강장 구조는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이다.

4. 인접 정차역 [편집]

<:>각역정차
各驛停車
<:>준쾌속
準快速
장항선 준쾌속은 홍성역 이남부터 대천까지 모든 역에 정차한다.
[1] 전신인 충남선 개업일은 1922년 6월 1일[2] 구 삽교역 자리에는 삽다리공원, 삽교국민체육센터가 들어서면서 흔적이 모두 사라졌다.[3] 삽교(삽교역), 내포(충남도서관), 서산은 무료 운행이다.[4] 정확하게는 극중 대전역 승강장 플랫폼에서 KTX 101열차에 올라타는 장면의 촬영 장소.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