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역

최근 수정 시각: ()
대곡역(고양)에서 넘어옴
高陽驛 (大谷)
Goyang Station (Daegok)
파일:KANGWON_Wlogo.svg강원철도
고양역
(대곡)
파일:KTX BI_White, Red.svg
경의고속선
파일:DH-UT.png
운정동탄라인
UT03
동탄 방면
연신내
9.9 km →
파일:DH-KO.png
경의
쾌속선

KO06
파일:DH-KO.png
경의
쾌속선

KO06
파일:NS-SO.png
서해선
SO11
파일:DH-KE.png
교외선
KE11
파일:DH-KJ.png
경의·중앙 완행선
KJ26
파일:DH-KI.png
일산선
KI14
교외선은 직결임을 명확히 하기 위해 방향을 돌려놓음.
주소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주로107번길 71-81
(대장동 420-1)
역 운영기관
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png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_White.png
개업일
1996년 1월 30일
2005년 3월 19일
2023년 7월 1일
2024년 12월 28일
철도거리표
경의본선
고 양
교외선
고 양
일산선
고 양
기점
서해선
고 양

1. 개요 [편집]

일산선 개통과 함께 간이역으로 출발, 편리한 연계성의 환승 역사로 탈바꿈
대곡역은 1996년 일산선 개통과 동시에 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일산선과 경의선, 서울 교외선이 함께 하던 역사로 2004년 4월 서울 교외선이 영업을 중지하면서 철로가 이설되고 교외선 승강장은 철거되었으나 2009년 7월 수도권 전철 경의선이 개통되면서 오늘에 이르렀다. 서울지하철 3호선 등 편리한 교통 연계성을 지닌 환승 역사로 2018년 고양시에서는 대곡역의 역명을 고양중앙역으로 변경하는 제안을 하기도 하였다. 현재의 역명인 대곡역은 고양시 덕양구 대장동(大莊洞)과 내곡동(內谷洞)의 경계 지점에 있어 역명 결정 과정에 논란이 일자, 두 동명에서 한 글자씩 조합하여 ‘대곡’으로 역명이 결정되여 탄생하였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승강장 [편집]

  • 노선별로 승강장이 다르고 환승 거리도 꽤 길기 때문에 시간이 없을 때 승강장을 잘못 찾으면 난처해질 수 있다. 특히 서해선 완행열차는 착발편성과 교외선 직통편성이 승강장이 아예 다른 곳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용시 주의가 필요하다.

2.1. 경의고속선·운정동탄라인 [편집]

14
13
12
11
서울
11
하행
12
상행
서울 방면
(직통 대전·부산·익산·목포 방면)
13
하행
14
상행

2.2. 일산선 [편집]

6
5
1
2
삼송·지축 방면
(직통 충무로·옥수·오금 방면)

2.3. 경의 쾌속선·경의·중앙 완행선·서해선 [편집]

  • 서해선 열차의 경우 서해쾌속 및 당역시종착 열차가 경의선 승강장을 이용한다.
곡산
4
3
2
1
능곡

2.4. 교외선·서해선 [편집]

  • 교외선 - 서해선 직통편성이 사용하는 승강장이다.
대정
8
7
능곡

3. 인접 정차역 [편집]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