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량진역

최근 수정 시각: ()
鷺梁津驛
Noryangjin Station
파일:SR_Wlogo.png서해철도
노량진역
파일:NS-GB.png
경부선
GB36
천안·동탄 방면
대 방
1.5 km →
파일:NS-GI.png
경인선
GI36
파일:SM-9.svg
9호선
917
주소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로 151 (노량진동 67-2)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로 지하130 (노량진동 60-11)
역 운영기관
파일:SR_logo.png파일:SR_logo_black.png
파일:서메9_logo.svg파일:서메9_logo_black.svg
개업일
1899년 9월 18일
1905년 1월 1일[1]
1974년 8월 15일
2009년 7월 24일
철도거리표
경부본선
노량진
기점
종점 방면
삼각선[3]
0.5 km →

1. 개요2. 역 정보3. 승강장4. 인접 정차역

1. 개요 [편집]

대한민국 철도사의 새벽을 열다
1899년 9월 18일 인천역에서 진행된 경인선 개통식에 참석하기 위한 귀빈들을 태우기 위한 열차가 노량진역(영등포 위치 임시역사)에 도착한다. "화륜거의 소리는 우레와 같아 천지가 진동하고 기관차의 굴뚝연기는 하늘 높이 솟아오르더라. 차창에 앉아서 밖을 내다보니 산천초목이 모두 움직이는 것 같고 나는 새도 미처 따르지 못하더라." 1899년 9월 19일에 발행된 독립신문은 시속 20km로 노량진과 인천을 달리던 경인선 열차를 보고 이와 같이 표현했다. 한강철교가 완공되기 전 노량진역은 경인선의 시종착역으로, 이를 기념하기 위한 철도시발지 기념비가 역 구내에 건립되어 있다.

서해철도 '철도역 이야기'에서 발췌.

2. 역 정보 [편집]

다른 일부 경인선 역과 더불어 한국 최초의 철도역이자 기점이다.

1899년 9월 18일 개업한 한반도 최초의 철도였던 경인선의 시·종착역이었다. 이후 1900년 한강철교가 개통되어 남대문역(현 서울역)까지 노선이 연장되면서 중간역이 되었다. 이후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경인선 구간 중 구로역 이북 구간이 경부선으로 넘어가면서 경부선의 역이 되었다.

1974년 수도권 전철 1호선, 더 나아가 2004년 경부고속선 개통 이후에도 이 역에 일반열차가 정차하였으나, 2005년 1월 20일 경부선 전철 병점 - 천안 연장개통과 동시에 일반열차 취급이 중지되었다.

3. 승강장 [편집]

3.1. 경부본선 [편집]

용산
7
6
5
4
3
2
1
대방
1
2
용산·서울 방면
3
사용하지 않는 승강장 (구 급행 승강장, 간혹 건설화물이나 입영열차 혹은 갑종회송 열차가 이 대피선에서 대기했다가 출발.)
4
5
6·7
사용하지 않는 승강장 (과거에 사용했던 일반 열차용 저상홈 승강장)

4. 인접 정차역 [편집]

<:>경인선 급행
急行
<:>경부선 쾌속
快速
<:>경인선 쾌속
快速
<:>각역정차
各驛停車
천안·인천·동탄 방면
대 방
1.5 km →
[1] 개통과 동시에 경부선으로 편입.[2] 경원선 서울기점 4.0km 지점[3] 경원선 용산기점 0.8km 지점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