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역(경기)

최근 수정 시각: ()
중앙역(안산)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파일:다른 뜻 아이콘_White.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역에 대한 내용은 중앙역(부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中央驛
Jungang Station
파일:NS_Wlogo.svg남서울철도
중앙역
(서울예술대학교)
파일:NS-GA.png
과천안산선
GA51
파일:NS-SB.png
수인·분당선
SB52
파일:NS-NA.png
신안산선
NA22
주소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중앙대로 918 (고잔동 167-378)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554-2
역 운영기관
파일:NS_logo.png파일:NS_logo_black.png
개업일
1988년 10월 25일
1994년 4월 1일
1937년 8월 5일
~1995년 12월 31일
2020년 9월 12일
2020년 9월 12일
2022년 9월 6일
철도거리표
안산선
중 앙
수인선
중 앙
신안산선
중 앙

1. 개요 [편집]

예로부터 명당자리로 안산시청 입주
중앙역은 1988년 10월 25일 안산선 개통과 동시에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역사는 997.8㎡ 규모의 적벽돌 단층 슬라브 건물로 역사가 설립되었던 1988년 당시, 행정동명이었던 안산 중앙동에 인접한 것에서 역명이 유래하였다. 일대는 오래전부터 명당이라 불리던 곳으로 장차 큰 대궐이 들어선다는 예언이 이어져오다 신도시 개발로 안산시청이 자리하게 되었다. 부역명 서울예술대학교를 비롯한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등 여러 대학이 위치하고 주거지가 밀집하고 있어 신도시다운 젊은 청년들의 로데오거리가 형성되어 있다.

남서울철도 공식 소개 문구

과천안산선 GA51번, 수인분당선 SB52번, 신안산선 NA22번.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중앙대로 918 (고잔동 167-378) 소재.

2. 역 정보 [편집]

2.1. 과천안산선/수인·분당선 [편집]

1980년대 중반 안산에 신도시를 계획함에 따라 안산선 계획이 입안되면서 정차역으로 내정되었다. 당시 계획도시로 준비 중이었던 안산시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다 보니, 안산선 초기 기획 당시의 역 명칭은 반월출장소(당시 행정구역)에서 따온 반월역 혹은 안산시에서 따온 안산역이었다.[1] 하지만 이 역은 안산선의 시종착역이 아니었기에 행선지 측면에서 안산선이라는 노선 이름이 부각되지 못할 것 같다는 철도청의 판단 하에, 최초 명칭이 원곡역으로 내정되었던 원곡동에 위치한 시종착 역명을 오늘날의 안산역으로 변경했고, 대신 1980년대 중반 당시 이 역 부지의 행정동 명칭이었던 중앙동의 이름을 따서 중앙역으로 최종 확정되었다. 이후 반월역이라는 역명은 건건동에 있는 역의 이름이 되었고, 중앙동은 고잔1동, 고잔2동, 성포동으로 분동되었지만 지역 주민들은 이 근처 시내를 여전히 습관적으로 '중앙동'이라고 부른다. 그래서 이 역 주변인 고잔2동을 '중앙동으로 환원하자'는 설문 조사를 하였다.[2] 설문조사 결과 중앙동으로 바꾸는 것에 대한 찬성비율이 92.9%가 나왔으며, 실제로 환원되었다. 한편 고잔1동은 그대로 고잔동이 되었다.[3][4]

부역명 유상판매 정책이 시행되면서 '서울예술대학교'라는 부역명이 붙었다. 남서울철도 전동차 안내방송에서는 부역명(서울예술대학교)까지 방송하지만, 서울교통공사 전동차에서는 중앙 역명만 방송한다.

과천안산선 각역정차 열차와 수인·분당선에서는 환승 안내방송이 송출되지 않지만, 과천안산선 준쾌속 안내방송의 경우 얼씨구야와 함께 수인·분당선과의 환승 안내방송이 송출된다. 노선 공용 구간이고, 이동역에는 과천안산선 준쾌속이 정차하지 않으므로 가장 가까운 환승역인 중앙역에서 송출되는 듯 하다.

2010년 1월 18일부터 안산선 준쾌속열차가 이 역에 정차한다. 다만 같은 노선의 다른 준쾌속 정차역들과는 달리 승강장 시설이 다소 부족하다. 다른 안산선 준쾌속 정차역은 부본선이 있지만, 중앙역과 초지역, 정왕역은 부본선이 없다. 이 역은 노반이라도 있지만, 초지역과 정왕역은 전형적인 상대식 승강장의 구조를 채택하고 있어 부본선을 설치하려면 역 외벽을 모두 뜯고 다시 공사해야 한다. 다만 초지역은 KTX 정차 때문에 부본선을 저상홈으로 설치할 계획이 있다.

과천안산선(준쾌속)과 수인·분당선의 공용 구간에서 상행(당고개/왕십리 방면) 열차를 잘못 탔을 경우 이 역이 환승 가능한 마지막 역이다. 과천안산선 준쾌속의 경우 이동역을 통과하기 때문이다. 이 역을 마지막으로 과천안산선은 상록수역으로, 수인·분당선은 이동역으로 갈라져 나가며, 두 노선 모두 해당 구간에서의 배차간격이 다소 길기 때문에 이 역에서마저 환승하지 못했을 경우 곤란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운영기관 측에서도 인지하고 있는지 기관사도 도착 전 해당 내용을 방송하고 있다.

2.2. 수도권 전철 신안산선 [편집]

신안산선 중앙역은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554-2에 위치한다. 지하 3층의 역사로 지어졌으며, 2홈 2선식의 상대식 역사로 건설되었다. 중앙역과 건너편을 연결하는 지하도를 신안산선 역사와 연결하며, 이 지하도가 신안산선 중앙역의 출입구가 된다.

이 역을 기준으로 성포역호수역 양방향으로 급곡선이 있다.

3. 승강장 [편집]

3.1. 과천안산선수인·분당선 [편집]

이동
1
2
고잔
투신사고가 잦았는데도 스크린도어가 오랫동안 설치되지 않았으나, 2018년부터 스크린도어가 완공되며 투신사고는 해결됐다. 역 구내에 고잔 방면으로 2퍼밀의 하구배가 있다.

이 역 또한 초지역이나 고잔역처럼 2면 4선식 확장을 대비하여 설계되었는데, 두 역과는 달리 고가 구조물까지 이미 만들어져 있다.

역 지붕이 전철 기준 3번 칸 ~ 8번 칸인 6량에 맞춰져 있다. 그래서 기상 상황이 나쁜 날에는 1, 2, 9, 10번 칸 승하차가 불편하다. 수인·분당선의 경우 1번 칸과 2번 칸만 피한다면 비를 피할 수 있다.

3.2. 신안산선 [편집]

성포
1
2
호수

4. 인접 정차역 [편집]

준쾌속
準快速
각역정차
各驛停車
안산선 준쾌속은 산본역 이북부터 당고개역까지 모든 역에 정차한다.
<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5f5f5,#373a3c> 파일:NS-SB.png 수인·분당선
각역정차
各驛停車

[1] 실제로 이 근처에 안산시청(이전에는 반월출장소 청사)이 있다.[2]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3] 「안산시, 동 명칭 변경사업 '주춤'…"주민의견 수렴 중"」, 뉴시스, 2016-09-22[4] 「안산시 해양동, 중앙동, 백운동 등 행정복지센터 현판식… 본격 업무 돌입」, 경인일보, 2017-07-06
파일:ccl logo.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나무위키 중앙역(안산) 문서의 r75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l logo.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나무위키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5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