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봉산역
최근 수정 시각: ()
道峰山驛
Dobongsan Station
Dobongsan Station
주소 | |||||
역 운영기관 | |||||
개업일 | |||||
1986년 9월 2일 | |||||
1996년 10월 11일 | |||||
철도거리표 | |||||
시종착 | 경원고속선 도봉산 | ||||
경원본선 도봉산 | |||||
경원본선 삼성왕십리 지선 도봉산 | 종점 | ||||
기점 | 도봉산포천선 도봉산 |
1. 개요 [편집]
1986년 경원선 누원역으로 출발, 매해 1,000만 등산객이 찾는 역
도봉산역은 1986년 9월 2일 경원선 창동-의정부 구간 개통과 함께 누원역(樓院驛)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1986년 9월 30일 신축된 역사는 254.35㎡ 규모의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양식 건물로 준공되었으며 1988년 1월 1일 국철 경원선이 개통되면서 인근 도봉산 이름을 따서 도봉산역으로 변경되었다. 1996년 10월 지하철 7호선이 개통되어 환승역이 되었다. 특히 산을 찾는 등산객들이 연간 1,000만 명 이상 이용하는 역으로 이용객들 편의를 위한 광장이 특징이다. 이 광장과 서울 창포원을 연결하는 보도육교가 설치되어있다. 자연친화적인 형태의 디자인과 아름다운 경관을 조망할 수 있는 전망대의 전경이 일품이다.
기후동행카드, 서울전용 정기권, 강원철도 서울 프리 티켓 등 서울시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승차권의 북쪽 경계역이다.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최북단 역이다. 7호선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경원선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경원고속선은 이 역 직전에서 분기한다.
2. 승강장 [편집]
2.1. 경원선·의정부선·삼성왕십리라인 [편집]
2.2. 서울 지하철 7호선·도봉산포천선 [편집]
3. 인접 정차역 [편집]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