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선(서해철도)(r6)

해당 리비전 수정 시각: ()
[주의!] 문서의 이전 버전(에 수정)을 보고 있습니다. 최신 버전으로 이동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파일:다른 뜻 아이콘_White.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쌍도교통의 경부선에 대한 내용은 경부선(쌍도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파일:다른 뜻 아이콘_White.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노선을 포함하는 일반철도 노선에 대한 내용은 경부본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NS-GB.png
경부선
京釜線
Gyeongbu Line

노선 정보
분류
기점
종점
역 수
41개
구성 노선
상징색
남색 (#0052A4)
개통일
1974년 8월 15일(50주년)
소유자
운영사
사용차량
차량기지
노선 제원
노선연장
103.4km
궤간
1,435mm
선로구성
복선(병점~동탄)
복복선(구로~천안)
2복선+2단선(서울역~용산)
3복선(용산~구로)
급전방식
교류 25,000V 60Hz 가공전차선(카테너리가선)
신호방식
지상신호방식
폐색방식
4현시 복선자동폐색방식
신호장비
ATS-S2
최고속도
110km/h
광운대동탄 36.3km/h
광운대천안 44.5km/h
청량리천안 쾌속 52.0km/h
서울역천안 통근쾌속 64.0km/h
통행 방향
개통 연혁
[ 펼치기 · 접기 ]
1974. 08. 15. 서울역수원
1979. 02. 01. 율전
1982. 08. 02. 석수
1984. 05. 22. 신도림
1988. 10. 25. 금정
1997. 04. 30. 신길
1998. 01. 07. 독산
2003. 04. 30. 수원병점
2005. 01. 20. 병점천안
2005. 12. 27. 세마, 오산대
2006. 06. 30. 진위, 지제
2006. 12. 15. 시흥광명[4]
2008. 12. 15. 천안신창[5]
2010. 01. 21. 당정
2010. 02. 26. 병점서동탄
2024. 08. 01. 서동탄동탄
2025. 09. 21. 부성
2026. 01. 11. 신가

1. 개요

1. 개요 [편집]

1974년 8월 15일에 개통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한 노선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 중 노선연장이 가장 긴 노선이다.
[1] 병점기지선 운행 계통.[표준궤] 2.1 2.2 서해철도에서 수입하여 표준궤에 맞게 설비를 개조하였다.[4] 2023년 1월 1일 폐지.[5] 2012년 장항선 전철로 편입.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