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차량기지/대한민국
최근 수정 시각: ()
1. 개요 [편집]
2. 목록 [편집]
2.1. 고속 및 일반철도차량 [편집]
-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본단 (강원철도)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동에 있는 KTX 전용 차량사업소로, 줄여서 수도단으로 부른다. 건설에 상당한 진통을 겪었으며, 이 때문에 보상 차원에서 행신역에 일부 KTX가 운행 중이다.[1] KTX-I, KTX-산천 전동차의 주박 및 청소, 중정비, 경정비를 모두 담당한다. 구내에 KTX 행신역이 있는데, KTX 행신역은 경의·중앙선 행신역과는 떨어진 차량사업소 구내에 있는지라 개통 후 17년간 경의·중앙선 행신역에서 억지로 육교를 통해 이었으나, 현재는 KTX 통합 역사 완공으로 육교를 타지 않고 대합실에서 바로 승강장으로 이어진다. 이 곳으로 들어오는 고양기지선은 한국항공대역에서 분기한다. - 고속철도 광명기지
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에 있으며, 일부 광명역 착발 KTX 열차의 주박과 1호선 광명셔틀의 회차에 쓰인다. 차량사업소가 아닌 주박기지라 불리는 이유는 별도의 정비를 담당하는 시설이 없고 그냥 유치를 위한 선로만 깔려 있기 때문이다. 원래는 정비시설도 건축하려 했으나 광명역에서 끊으려던 경부고속철도 계획을 서울역으로 늘리면서 광명시 지역의 님비를 맞을까봐 정비시설을 뺀 것이다. 2023년 기준 광명주박기지를 확장해서 정식 차량사업소로 승격,구로차량사업소를 통합 이전하려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광명 연장 계획을 국토교통부에서 밀어 붙이고 있다. 그러나 직후 구로차량사업소/이전 계획에 나오듯 구로기지 광명 이전은 완전히 무산. - 부산철도차량정비단 고속단
KTX와 SRT의 정비를 담당한다. 일반단과 떨어져 부산차량사업소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 이문차량사업소
전동열차 중정비를 하던 사업소였으나 중정비를 중지하고 간선형 전기동차와 KTX-이음 중정비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 SRT 전용 차량기지로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였다.
- 일반철도차량
- 수송차량처(본단): 신탄진역과 인입선으로 연결된다. 객화차, 발전차, 디젤동차 중정비를 수행하고 있다. 한솔 컨테이너 야적장과 현대시멘트, 아세아시멘트의 화물 취급도 수행한다.
- 동력차량정비처: 제천차량사업소 인근에 위치해 있으며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용산)의 철거로 업무가 이관되면서 신축되었다. 전기기관차 중정비를 담당하고 있다.
- 차량사업소 - 철도공사 지역본부 차량처 산하의 사업소. 대체로 경정비를 담당한다.
- 수색차량사업소, 서울차량사업소 (강원철도)
수도권의 대표적인 일반열차 차량사업소. 서울에서 출발하는 대부분의 열차가 이곳에 있으며 경의선 수색역, DMC역, 지상가좌역과 연결되어 있다. 경의본선에 문제가 생기면 전국 철도가 마비될 정도로 중요한 곳이다.
수색차량은 기관차, 서울차량은 객화차 및 전기동차 정비를 각각 담당한다.
- 대전차량사업소 - 과거 대전역에 있다가 2003년경 대전조차장 구내로 이전하였다.
- 천안주재
경주주재[2]
- 부산차량사업소, 가야차량사업소 - 가야역 구내 위치, 가야차량은 기관차, 부산차량은 객화차 및 전기동차 정비
- 부산신항차량사업소 - 부산신항역 구내 위치, 기관차 및 화차의 경정비 업무 수행
- 진주주재
- 제천종합차량소 - 제천역 구내 위치, 전기기관차 중정비(GI) 가능 (강원철도)
- 조차장 지소 - 제천조차장역 구내 위치, 화차 중정비 업무 수행 (강원철도)
- 영주차량사업소 - 영주역 구내 위치
안동주재[3]
- 동해차량사업소 - 기관차 (강원철도)
- 포항차량사업소 - 쌍도교통
- 강릉차량사업소 - 전동차 (강원철도)
- 울산차량사업소 - 전동차 (쌍도교통)
기관차 차량사업소의 경우 지속적인 기관차 보유량 감소로 인한 실적 저하 등의 이유로 차후 규모 축소 및 통폐합이 이뤄질 전망이다. (수색+서울, 가야+부산 등)
2.2.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편집]
2.3. 도시철도, 광역전철 [편집]
2.3.1. 남서울철도 [편집]
-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일로2길 2 소재. 주변에 아파트 단지가 꽤 있다.
- 1호선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 열차 일부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일산선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의 명목상(서류상) 소속을 구로로 해두고 있다.
- 광명시로 옮긴다는 이야기가 계속 흘러나왔지만, 무산된 것으로 알러져 있다.
- 구로차량 주재소가 3곳 존재한다.(성북주재, 인천주재, 천안주재) 각 주재소에 6~8개 편성의 유치가 가능하다.[5]
- 1977년 8월 까지는 1호선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도 이곳에 배속됐었다.[6]
- 경기도 화성시 태안로 68-45 소재
- 1호선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 일부와 간선형 전기동차(한국철도공사 200000호대 전동차(누리로급 열차)[7]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 과천선 VVVF 전기동차가 여기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 중정비를 담당한다. 또한 1호선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가 이곳에서 중정비를 받는다.
- 서해선 한국철도공사 391000호대 전동차 전부가 여기에 배속되어 있으며, 송산차량사업소 공사가 완료될 때까지만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 중정비를 담당하는데 송산차량사업소 완공 후에도 중정비를 맡게 된다.
- 한때 수인선에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도입분이 안산선에서 시운전하던 시절 여기에 배치되었던 적이 있었고 현재 수인선 차량 전부가 여기에 배속되어 있다.
- 초지주재: 과거 안산역 구내 정비고에 사무실이 위치하여 경정비를 수행하였다. 현재는 서해선 통합사무실로 이전하여 정비업무는 수행하지 않는다. 과천·안산선 및 서해선 전기동차 차량고장시 초동조치 업무를 수행한다.
- 선바위주재: 과천·안산선 전기동차 차량고장시 초동조치 업무를 수행한다.
- 분당선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의 전부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고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 2015년까지는 신분당선 D000호대 전동차 전부가 광교차량사업소를 만들 때 까지 임시로 배속되어 유치, 경정비, 중정비를 담당했었다. 지금은 모두 광교차량사업소로 이전되어 신분당선 열차의 정비는 담당하지 않는다. 또 시흥차량사업소 완공 이전 과천안산선 전기동차의 중정비도 담당했다.[a]
- 2018년경 조직개편으로 더 이상 중정비를 수행하지 않는다. 중정비는 전부 시흥차량사업소에서 진행한다.
- 수도권 전철 경강선의 한국철도공사 371000호대 전동차가 배속되어있으며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중정비는 본래 분당차량사업소에서 수행할 예정이었으나 조직개편으로 중정비 업무가 폐지되면서 시흥기, 이문기, 문산차에서 각각 수행할 예정이라고 한다.
- 2021년 9월 1일 제주순환선 개통과 동시에 영업을 개시하였다. 거의 대부분의 제주순환선 차량들은 여기서 입/출고하며, 중정비까지 맏고 있다.
2.3.2. 쌍도교통 [편집]
2.3.3. 강원철도 [편집]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한천로 472 소재
- 1호선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 일부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또한 한국철도공사 200000호대 전동차와 한국철도공사 210000호대 전동차의 중정비를 이곳에서 담당한다.
- 한때는 광운대역 구내에도 성북차량기지라 하여 1호선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의 경정비와 유치를 담당하였으나, 이문차량사업소에 통합되어 이문차량사업소의 주박 보조 역할만을 맡고 있다.
- 중앙선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 전부가 여기에 배속되었으나 전 차량이 용문차량사업소로 이관되었다. 단, 이들 차량의 중정비는 여기서 받았지만 경의·중앙선 직결 이후에는 문산차량사업소에서 중정비를 담당한다.
- 한때 수인선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일부가 중앙선에서 운용되었을 때 여기에 배속된 바가 있다.
- 경기도 파주시 파주읍 통일로 1365 소재
- 중정비동이 2017년경 개소하였다.
- 경의선에서 운행하는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 일부,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 전부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 중정비를 담당한다. 직결 이후 321000호대의 중정비도 담당한다.(용문차량사업소는 중정비 시설이 없다.)
-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화전로105번길 76
- 2011년경 완공 예정이었지만 지연되어 2012년 4월 3일부터 운영을 시작했다. 이문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있던 중앙선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 전부가 이곳으로 배치되었고 이들 차량의 유치 및 경정비를 담당한다. 단, 중정비는 종전대로 이문차량사업소에서 했지만 동국철도 해산 사태 이후 경의·중앙선 직결 이후에는 문산차량사업소에서 중정비를 담당한다.
- 인천국제공항철도의 모든 열차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열차의 유치와 경정비, 중정비를 담당한다.
2.3.4. 서울교통공사 [편집]
- 1호선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기지 입고를 위해 1호선 동묘앞역에서 2호선 성수지선 신설동역 승강장 밑을 통해 성수지선으로 합류하는 연결선이 존재한다. 여기에도 통행 방향의 차이로 인해 꽈배기굴이 있다.
- 1호선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전부와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주로 GEC Chopper차량과 VVVF 차량, 성수지선용 4량 1편성 차량) 일부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 중정비를 담당한다.
- 신정차량기지의 구내의 일부가 복개되어 그 위에 양천아파트가 지어진, 상당히 보기 드문 차량사업소이기도 하다.
- 2호선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주로 본선용 (과거)저항제어 차량과 MELCO Chopper차량, VVVF 차량, 신정지선용 6량 1편성 차량) 일부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 중정비를 담당한다.
- 3호선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 일부와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 열차의 전부가 이 곳에 배속[14]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또한 3호선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와 4호선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 모두의 중정비를 이 곳에서 담당한다.
- 4호선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의 중정비를 위한 기지 입고를 위해 4호선 충무로역 당고개방향에서 3호선 충무로역 대화방향으로 이어지는 단선 연결선이 존재한다.
- 3호선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의 일부가 여기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 4호선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의 전부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 바로 옆에 있는 도봉 운전면허 시험장과 함께, 노원구에서 부지이전을 시시탐탐 노리고 있었고, 마침 전철 유치를 원하는 남양주시 진접읍에서 기지 이전을 조건으로 받아들이면서 4호선의 남양주 연장이 성사되었다.
- 위와 같은 사유로 남양주시 진접 일대로 이전 예정이다.
- 수리산주재: 4호선 전기동차 차량고장시 초동조치를 수행한다.
- 창동차량사업소가 진접선의 연장과 함께 이전하면서 만들어지는 차량사업소.
- 상일동역에서 하남방향으로 더 나아간 곳에 기지가 있다.
- 5호선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의 일부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또한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와 8호선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모두가 이곳에서 중정비를 받는다.
- 8호선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의 중정비를 위한 기지 입고를 위해 8호선 가락시장역 송파 방향에서 5호선 방이역 방화 방향으로 이어지는 단선 연결선이 존재한다. 이후 강동역 근처에서 상일동방향 본선과 마천방향 지선을 잇는 강동삼각선을 지나 고덕기지로 입고.
- 방화역에서 김포방향으로 더 나아간 곳에 기지가 있다.
- 5호선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의 일부가 여기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 6호선 서울교통공사 6000호대 전동차 모두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 7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 7000호대 전동차 일부 열차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또한 6호선 서울교통공사 6000호대 전동차와 7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 7000호대 전동차의 모든 열차가 이곳에서 중정비를 받는다.
- 7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 7000호대 전동차 일부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열차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 모란역에서 판교방향으로 더 나아간 곳에 기지가 있다.
- 8호선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모두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열차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2.3.5. 서울시메트로9호선 [편집]
- 9호선 서울 지하철 9호선 9000호대 전동차 모두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열차의 유치와 경정비, 중정비를 담당한다.
2.3.6. 인천교통공사 [편집]
- 1호선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모두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열차의 유치와 경정비, 중정비를 담당한다.
- 기지내에 종착역인 운연역이 존재한다.
- 2호선 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모두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열차의 유치와 경정비, 중정비를 담당한다.
- 검단오류역에서 약 700m 거리에 있다.
- 2호선 전동차의 주박 및 단순 검수를 담당하며 기지 규모가 작다.
2.3.7. 신분당선, 경기철도, 새서울철도 [편집]
2.3.8. 우진메트로 [편집]
- 탑석역에서 의정부경전철 차량기지 임시승강장 중간에 분기선이 있으며, 차량기지 내에 의정부경전철 차량기지임시승강장이 있다. 탑석역에서 임시 승강장까지는 기관사가 수동으로 운행한다.
- 의정부 경전철 U100호대 전동차 모두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열차의 유치와 경정비, 중정비를 담당한다.
2.3.9. 용인에버라인운영 [편집]
- 용인 경전철에서 운행하는 INNOVIA Metro Mark II 모두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열차의 유치와 경정비, 중정비를 담당한다.
2.3.10. 우이신설경전철운영 [편집]
- 북한산우이역을 바로 지나 지하에 위치해 있고, 우이신설선 우이신설경전철주식회사 UL000호대 전동차 모두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열차의 유치와 경정비, 중정비를 담당한다.
2.3.11. 로템SRS [편집]
- 신림선 남서울경전철주식회사 SL000호대 전동차 모두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열차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15]
2.3.12. 김포골드라인운영 [편집]
- 김포 도시철도의 김포 도시철도 1000호대 전동차 모두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열차의 유치와 경정비, 중정비를 담당한다.
2.3.13. 부산교통공사 [편집]
- 1호선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25개 편성(200량)이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또한 1호선의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51편성 모두가 이곳에서 중정비를 받는다.
- 1호선 열차 26개 편성(208량)이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 2호선 부산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56개 편성(336량)이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와 중정비를 담당한다. 또한 2호선 부산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와 3호선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20개 편성(80량) 모든 차량의 중정비도 이곳에서 받는다. 이 때 3호선 차량의 공차거리는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로 매우 길다. 덕천역에서 2호선으로 넘기는 것도 아니고 대저역에서 수영역까지 간 다음 연결선로를 통해 광안역으로 가서 그대로 호포역까지 공차회송. 이쯤되면 충격과 공포다.[16]
- 앞에서 서술했듯이 이곳의 부지를 양산시에서 제공한 덕분에 양산시는 김해보다 적은 인구임에도 비교적 도시철도를 2호선 연장으로 쉽게 유치할 수 있었다.
- 3호선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20개 편성(80량) 모두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중정비는 위에서 말한 것 처럼 호포기지에서 한다.
- 4호선 부산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 17개 편성(102량) 모두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 중정비(예정)를 담당한다.
2.3.14. 부산김해경전철운영 [편집]
2.3.15. 대구교통공사 [편집]
- 1호선 대구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의 일부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열차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또한, 1호선 대구도시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모두가 이곳에서 중정비를 받는다.
- 안심역에서 하양방향으로 더 나아간 곳에 기지가 있다.
- 1호선 대구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의 일부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열차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 주변에 공원을 만들어서 주민들에게 무료 개방을 해놓았다.
- 2호선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모두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열차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 서리못 바로 남서쪽에 자리잡고 있다.
- 칠곡경대병원역에서 복선 선로로 이어져 있다. 이 곳에 대구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모두가 이 곳에 배속되어 있고, 경정비와 중정비 모두 담당한다.
- 경전철차량기지사업소와 다르게 이곳에서는 주박만 가능하다.
2.3.16. 광주교통공사 [편집]
- 1호선 광주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모두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열차의 유치와 경정비, 중정비를 담당한다.
- 평동역에서 노안 방향으로 더 나아간 곳에 소규모 주박기지가 있다. 원래는 정식 사업소를 지으려고 했으나, 예산 절감을 목적으로 단순 주박 목적 기지로 격하되었다.
2.3.17. 대전교통공사 [편집]
- 1호선 대전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모두가 이곳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열차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또한 대전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모두의 중정비는 이 곳에서 담당한다.
- 이 곳에 배속되어 있는 차량은 없으며, 대전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열차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1] 이 덕분에 파주,고양에서 행신역 까지만 가면 KTX를 탈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이때 서울역을 필수로 정차하며, 호남 방향일 경우 행신역에서 출발해서 서울역을 통과하고 바로 용산역에 정차하는 편성도 있다.[2] 2021년 말 구 경주역의 폐지로 포항차량사업소와 울산차량사업소로 기능을 이전하였다.[3] 구 안동역 폐지로 사라졌다.[4] 일반적으로 동인천발 한정. 가끔 용산발 구로행 중 전 구간 3선으로 운행하는 열차가 구로급행을 띄우고 다니는 경우가 있긴 하다.[5] 때문에 천안역이나 신창역 출발 계통의 경우 첫차는 대부분 구로차량사업소 소속의 전동차가 운행한다.[6] 군자차량기지는 1호선 개통한지 3년만에 완공되었다.[7] 병점기지는 광역본부의 기지이고 누리로는 본래 여객본부에서 운용하는 일반여객열차인데 왜 병점기지에 있는지는 항목으로.[8] 분당선이 기흥까지 뚫리고나서 보정역은 지하로 신갈방향으로 이전. 지하로 이전하기 전에는 (구)보정역에 도착한 열차가 기지로 회송하기 위해서는 죽전역으로 되돌아가야 했었다. (구)보정역뿐만 아니라 차량기지 내의 역이 모두 이런 식이다.[a] 9.1 9.2 충무로연결선을 통해 3호선으로 넘어오고, 현재는 철거된 수서차량사업소 연결선로를 통해 분당선으로 넘어오는 긴 과정을 거쳐야 했다.[11] 신정지선은 6량 1편성으로 운행되나, 도림천역은 8량 승강장이다.[12] 사실 구파발행은 많은 경우가 일산선 구간과 서울시내 3호선 구간의 수요 차이 때문에 다시 회차하여 하행으로 내려가는 것이긴 하나...[13] 지축역 정차 후 기지 입고는 불가능하다. 입고될 때는 무조건 지축역의 외선을 이용할 수 밖에 없는 구조기 때문에 3호선 열차들은 입고될 때 무조건 상술한 두 역에서 운행을 중단하며 지축역에 정차하지 않는다.[14] 한국철도공사 차량이기 때문에 서류상으로는 구로차량사업소 배속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거기까지 가서 검수를 받는게 불가능하니..[15] 중정비 시설이 따로 없다. 대신 전동차 1량을 실을 수 있는 초대형 엘리베이터를 마련하고, 엘리베이터를 통해 전동차를 반출하여 외부 업체에 중정비를 맡길 예정이다.[16] 이건 어쩔 수 없는 게 만약 덕천역에서 이어지게되면 구배와 곡선반경이 매우 심해지기 때문이다.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